||<-2> '''{{{#fff {{{+1 도끼고기}}}(납작앨퉁이, 자귀어)[br]Hatchet fis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끼고기.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Sternoptychinae'''[br]Duméril, 1805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앨퉁이목]](Stomi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앨퉁이과(Sternoptychidae)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바다자귀어아과(Sternoptychinae) || ||<-2>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 ||<-2> 은색도끼고기속(''Argyropelecus'') 폴리입누스속(''Polyipnus'') 도끼고기속(''Sternoptyx'') || [[파일:Sternoptyx diaphana.png|width=450]] 실제 살아있는 개체의 모습 [[https://blog.naver.com/23hyunsj/60209226029|도끼고기 표본의 앞모습(깜놀주의)]] [목차] [clearfix] == 개요 == [[앨퉁이]]목 앨퉁이과의 심해성 경골어류로 도끼고기란 명칭은 특정 종이 아닌 바다자귀어아과의 모든 [[어류]]를 통틀어 말하는 이름이다. == 생태 == [[심해어]]의 일종으로 옆에서 보면 도끼처럼 생겼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옆에서 보면 그럭저럭 멀쩡한데 몸통이 좌우로 납작한 형태라서 앞에서 본 모습은 상당히 무서운 편. 한때 '심해의 [[유령]] 도끼고기'라는 제목으로 사진이 돌아다닌 적도 있을 정도. 몸길이가 2~12cm 정도인 작은 물고기인데, 큰도끼고기라고 훨씬 더 큰 종도 있다. 도끼고기와 같은 과에 속하는 심해어가 43종이 있으며 개중에는 엄청나게 밝게 빛나는 종도 있다. 몸무게는 평균 0.75g에 불과하다. 몸빛은 주로 은백색, 외양은 전체적으로 손도끼 모양을 하고 있다. 몸체의 아랫부분이 빛을 발하며[* 이렇게 생물체가 빛을 내는 현상을 생체발광(生體發光)이라 한다.], 이 빛은 수면에서 내려오는 빛과 동일한 색을 내뿜기 때문에 아래쪽에서 --매의 눈으로-- 노리는 포식자를 속일 수 있다.[* 그런데 포식자 중에는 이런 생체발광과 햇빛을 구분할 수 있는 놈도 있으니 생물들의 진화경쟁은 실로 경이롭다.] 눈은 위쪽을 향하고 있다. 열대 또는 온대 수역의 수심 180~1,370m의 심해에 서식하며, 대구나 기타 물고기의 치어 따위를 잡아먹고 산다. 여담으로 카라신목에 속하는 어류 중에서도 도끼고기라고 불리는 전혀 다른 종들이 있는데, 이들은 민물에 살며 테트라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한다. == 대중 매체 == [[ABZÛ]]에서는 챕터 2에서 해류 사이의 동굴을 지날 때 모습을 보이며 이후 챕터 4에서도 등장한다. [[어비스리움]]에서는 납작앨퉁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분홍 나무 산호를 얻었을 경우 창조 할 수 있다. [[낚시의신]]에서는 왜인지 심해어인 이녀석을 양쯔강에서 잡을 수 있다. [[Seashine]]에선 플레이어를 보면 적극적으로 공격하는 중형 천적으로 등장한다. 자주 볼 수 있는 편은 아니다. [[분류:바다자귀어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