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장피에르 죄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2>
{{{#f1a31d '''{{{+2 델리카트슨 사람들}}}''' (1991)[br]''Delicatesse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델리카트슨 사람들 국내 포스터.jpg|width=100%]]}}} || ||<-2> {{{#!folding 프랑스 포스터 ▼ [[파일:델리카트슨 사람들 프랑스 포스터.jpg|width=100%]] }}} || || '''{{{#f1a31d 장르}}}''' ||[[코미디]], [[공포]], [[판타지]], [[SF]] || || '''{{{#f1a31d 감독}}}''' ||[[장피에르 죄네]], 마르크 카로 || || '''{{{#f1a31d 각본}}}''' ||[[장피에르 죄네]], 마르크 카로, 질 아드리엥 || || '''{{{#f1a31d 원안}}}''' ||마르크 카로 || || '''{{{#f1a31d 제작}}}''' ||클로디 오사르 || || '''{{{#f1a31d 주연}}}''' ||파스칼 베네제크 도미니크 피뇽 마리로어 더그나크 장 클로드 드레이퍼스 외 || || '''{{{#f1a31d 촬영}}}''' ||[[다리우스 콘지]] || || '''{{{#f1a31d 편집}}}''' ||에르베 쉬니드 || || '''{{{#f1a31d 미술}}}''' ||밀리언 크레카 클라조빅, 진 라바세, 엘리네 보네토 || || '''{{{#f1a31d 세트}}}''' ||엘리네 보네토 || || '''{{{#f1a31d 음악}}}''' ||Carlos D'Alessio || || '''{{{#f1a31d 의상}}}''' ||Valérie Pozzo di Borgo || || '''{{{#f1a31d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Constellation[br]Hachette[br]Sofinergie[br]UGC || || '''{{{#f1a31d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라맥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드플러스 || || '''{{{#f1a31d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UGC[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라맥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드플러스 || || '''{{{#f1a31d 개봉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1991년]] [[4월 27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92년]] [[4월 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2년]] [[5월 30일]] || || '''[[화면비율|{{{#f1a31d 화면비}}}]]''' ||1.85 : 1 || || '''{{{#f1a31d 상영 시간}}}''' ||99분 || || '''{{{#f1a31d 제작비}}}''' ||'''[[프랑스 프랑|FRF]] 24,000,000''' || || '''{{{#f1a31d 월드 박스오피스}}}''' || || || '''{{{#f1a31d 북미 박스오피스}}}''' ||'''$1,794,187''' || || '''{{{#f1a31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서울 관객 '''99,519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1a31d 상영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피에르 죄네]], 마르크 카로 감독이 공동연출한 1991년작 프랑스 영화. 가상의 [[디스토피아]]를 배경으로 한 [[블랙 코미디]] 영화이다. 제목의 Delicatessen은 영어에도 있는 delicate의 독일어 표현인 Delikatesse의 복수형 표기로, 독일어로는 맛있는 음식이라는 뜻이 추가로 붙은채 19세기 후반 [[아슈케나짐]] 유태인들에 의해 미국으로 수입되어서 이들이 운영하던 고급, 이국적인 또는 외국에서 준비된 음식을 판매하는 소매점을 뜻하는 말로 미국에서 정착되었다. 약자로 델리라고 쓰며, [[델리만쥬]]의 그 델리가 이 델리. == 예고편 == ||
[youtube(GVL5_I4CvTc)] || || {{{#f1a31d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
{{{#f1a31d 세상이 황폐하고 식량을 못구하는 절박한 상황에서 사람의 고기를 먹는게 당연시 되는 기묘한 시대. 푸줏간 간판을 내건 한 낡은 건물에 갖가지 성격의 사람이 살고 있다. 어느날 전직 서커스 광대 출신인 루이종이 푸줏간 주인이 낸 광고를 보고 찾아온다. 잡일 인부로 채용된 루이종은 계단에서 우연히 푸줏간집 딸 줄리를 만나게 되고 둘은 서로 가까워 진다. 푸줏간 주인은 루이종을 계속 죽일 음모를 꾸미고 루이종은 매번 위기를 모면한다. 위기를 느낀 줄리는 지하세계의 지하인간들을 찾아가 도움을 청하는데.}}}|| == 등장인물 == * 파스칼 베네제크 - 탈출시도자 역 뤼종이 오기 전 잡일을 맡아 하던 남자. 클라펫이 자신을 도살하려는 걸 눈치채고 쓰레기통에 들어가 탈출하려고 했다. 하지만 우연히 들어간 담배꽁초를 맞고 신음한 탓에 클라펫에게 들켜 결국 도살당하고 만다. * 도미니크 피뇽 - 뤼종 역 * 마리로어 더그나크 - 줄리 역 * 장 클로드 드레이퍼스 - 클라펫 역 영화의 배경인 아파트에서 정육점 델리카트슨을 운영하는 푸주한이자 아파트의 건물주. 외지인을 꾀어 온갖 잡일을 시킨 뒤 적당한 때가 되면 살해하고 그 인육을 주민들에게 곡식과 옥수수를 받고 팔아왔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delicatessen, critic=66, user=7.6)]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delicatessen, tomato=89, popcorn=91)] [include(틀:평가/IMDb, code=tt0101700, user=7.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delicatessen, user=3.7)]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6649, presse=없음, spectateurs=3.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8365, user=7.234)]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15478, user=3.66)]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6351, user=8.0)]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306666, user=8.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MO2q4W, user=3.7)]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4386, light=84.85)]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1181, expert=없음, audience=10.0, user=8.28)]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181, expert=없음, user=8.0)] [include(틀:평가/CGV, code=69888, egg=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delicatessen-m100002582, critic=78, user=없음)]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없음)] > Director Jean-Pierre Jeunet deftly combines horror, sci-fi, and humor in Delicatessen, a morbid comedy set in a visually ravishing futuristic dystopia. >---- > '''[[장피에르 죄네]] 감독이 호러와 SF, 그리고 코미디 장르를 교묘하게 결합시킨 <델리카트슨 사람들>은 시각적으로 황홀한 미래적 [[디스토피아]]를 무대로 하는, 병적인 코미디 영화이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매력적으로 돌출된 사운드 몽타주''' >---- > - [[이동진]] '''(★★★★)''' 독특한 소재로 묵시록적인 [[SF]]와 [[블랙 코미디]], [[로맨스]]를 독창적으로 결합한 작품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아름다운 미장센과 기묘한 분위기의 음악이 매우 유명하다.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1,794,187''' || 미정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 46회 [[BAFTA]] 외국어영화상 후보 * 제 17회 [[세자르 영화제]] 최우수 신인감독상, 각본상, 편집상, 미술상 '''수상''' == 여담 == *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리스트에 꼽히기도 했다. * 도미니크 피뇽과 마리노어 더그나크는 [[장피에르 죄네]] 감독의 단편영화 '쓸모없는 것들' 이후에 다시 호흡을 맞춘 영화이다. == 관련 문서 == * [[디스토피아]] == 외부 링크 == * [[https://seojae.com/web/film/film9207.htm|정성일 아카이브]] - [[정성일]] 평론가 평 * [[http://www.podbbang.com/ch/1813?e=21873886|정은임의 FM영화음악 팟캐스트]] - [[정은임]] 라디오 92.11.29-[[정성일]]-해설 [[분류:1991년 영화]][[분류:프랑스의 코미디 영화]][[분류:프랑스 공포 영화]][[분류:프랑스의 판타지 영화]][[분류:프랑스의 SF 영화]][[분류:블랙 코미디 영화]][[분류:디스토피아]][[분류:미라맥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