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델라웨어 주의 대학]][[분류:1743년 개교]][[분류:주립대학]] [include(틀:카네기 분류 R1)] ||<-2> {{{+2 {{{#white University of Delaware}}}}}} || ||<-2> [[파일:University_of_Delaware_Seal.svg.png|width=150]] || ||<-2> [[파일:University_of_Delaware_wordmark.svg.png|width=150]] || ||<-2> [include(틀:지도, 장소=University of Delaware, 너비=100%, 높이=100%)] || || {{{#white 표어}}} ||'''Scientia Sol Mentis Esto''' ('''지식은 정신의 빛''') || || {{{#white 분류}}} ||[[공립대학|{{{#000000 '''[[주립대학]]'''}}}]] || || {{{#white 개교}}} ||[[1743년|{{{#000000 '''1743년'''}}}]] || || {{{#white 국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white 총장}}} ||'''데니스 아사니스 (Dennis Assanis)''' || || {{{#white 합격률}}} ||[[72% (2023)|{{{#000000 '''72% (2023)'''}}}]] || || {{{#white 위치}}} ||[[미국|{{{#000000 '''미국'''}}}]] [[델라웨어|{{{#000000 '''델라웨어 주'''}}}]] [[뉴어크|{{{#000000 '''뉴어크'''}}}]] || || {{{#white 학생 수}}} ||'''학부 : 18,221명'''^^(2018년)^^'''[br]대학원 : 4,164명'''^^(2018년)^^'''[br]기타 : 1,735명'''^^(2018년)^^ || || {{{#white 교직원 수}}} ||'''1,172명'''^^(2018년)^^ || || {{{#white 상징색}}} ||'''{{{#00539F '''청색'''}}}, {{{#FFD200 '''금색'''}}}''' || || {{{#white 웹사이트}}} ||[[https://www.udel.edu/]]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university_of_delaware_campus.jpg|width=100%]] || || {{{#ffffff '''델라웨어 대학교 전경'''}}} || '''델라웨어 대학교, University of Delaware''' [[1743년]]에 개교한 미국 [[델라웨어|델라웨어 주]] [[뉴어크]]에 위치한 공립 종합대학이자 [[플래그십 주립대학]].[* [[미국]] 건국 전, [[13개 식민지]] 시절에 세워졌지만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인가는 미국 건국 후에 받았으므로 [[콜로니얼 칼리지]]는 아니다.] 델라웨어 주를 대표하는 명문 [[주립대학]]이며, UD라는 약칭으로 유명하다. 학부에서는 148개, 대학원에서는 176개의 전공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 내 탑티어 수준인 [[화학공학|Chemical Engineering]]을 선두로,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와 [[정보보호|Cybersecurity]] 등 [[공과대학]]이 강세이며, [[경영학]] 및 [[행정학]]도 우수하다. [[농학]], [[체육학]], [[보건학]] 분야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Howard and Matthew Green이 분류한 퍼블릭아이비(New Public Ivy) 31개 중 하나로 소속되어있다. [[주립대학]]이면서도 15:1이라는 상대적으로 타 명문주립대학교 대비 낮은 학생 대 교수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학부 과정에서도 연구 활동(Research)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 특징 == * [[토플]] iBT 기본 점수를 90점 이상을 받아야 입학할 수 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계명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와 자매결연 관계이다. (한국외대에서 2년, 델라웨어대에서 2년을 수학하면 [[복수학위]]를 받을 수 있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 * 어학코스인 ELI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인들이 많이 가는 편이다. * 2018년 Best Chemical Engineering Program (US News)에서 Georgia Tech, Princeton, UT Austin과 함께 공동 6위를 기록하였다. * 2021년 Best Chemical Engineering Program (US News)에서 UCSB 와 함께 공동 8위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Princeton 및 Michigan (공동 10위) 보다 높은 수치이다. * 2022년 Best Undergraduate Chemical Engineering Program (US News)에서 Georgia Tech 와 함께 공동 2위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1위인 MIT와 비교되는 수치이다. [[파일:DoctoralHooding.jpg]] * 박사학위 수여식 == 출신 인물 == *동문 *맷 네기 - [[NFL]] [[시카고 베어스]]의 감독 *'''[[조 바이든]]''' - 미합중국 제47대 [[미국 부통령|부통령]], 미합중국 제46대 [[미국 대통령|대통령]]. 역사학과 정치학을 복수전공하고 영어를 부전공했다.[* 대통령이 된 덕분에(?) 이 학교 정책 및 행정대의 이름은 Biden School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이다.] *[[조 플라코]] - [[슈퍼볼 XLVII]] MVP *[[존 카니(정치인)|존 카니]] - 제74대 델라웨어 주지사. *[[질 바이든]] - [[조 바이든]]의 배우자이자 미국의 교육자. *[[크리스 크리스티]] - 정치학 전공 *[[토머스 카퍼]] - [[MBA]] 졸업. *[[김민웅]] - 정치학 박사 수료. *[[김병준(정치인)|김병준]] - 정치학 박사 *[[김인철]] -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제10-11대 [[총장]]. [* 제60대 [[교육부장관]] 후보자로 지명되었으나 본인이 후보직에서 사퇴했다.] *김종달 - 경제학 박사. 現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명예교수. *[[박광석]] - 정책학 박사. *[[홍정기]] - 에너지 환경정책학 석사. *교원 *리처드 F. 헥 - 명예교수 - [[팔라듐]] 촉매교차결합 연구에 관한 업적으로 [[네기시 에이이치]] 미국 [[퍼듀 대학교]] 특별교수, [[스즈키 아키라]] 일본 [[홋카이도대학]] 명예교수와 함께 201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이건홍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박범준 -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이승종 -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명예교수 *강춘형 - 전남대학교 화학공학과 명예교수 *위정재 - 한양대학교 유기나노공학과 부교수 *손아정 -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구근호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조교수 == 관련 문서 == * [[미국/교육]] * [[Precalculus]] * [[대학입시/미국]] * [[SAT]] * [[ACT(시험)|ACT]] * [[Advanced Placement|AP]] * [[Common Application]]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북미]] * [[주립대학]] * [[대학 서열화/외국/미국]] * [[카네기 분류]] * [[유학/국가별 정보]] * [[외국 유학 장학금]] * [[NC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