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요타 그룹)] [include(틀:10대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제조회사)] [include(틀:산업용 로봇 제조회사)] ||<-2> {{{#white {{{+1 '''주식회사 덴소'''}}}[br]株式会社デンソー / DENSO Corporation}}} || ||<-2> [[파일:덴소 로고.svg|width=200]] || || '''정식 명칭''' ||주식회사 덴소 || || '''종류''' ||주식회사 || ||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일본]] || || '''본사 소재지''' ||[[아이치현]] 가리야시 쇼와쵸 1-1 || || '''창립''' ||[[1949년]] || || '''업종''' ||자동차 부품 제조업 || || '''대표자''' ||아리마 코지 || || '''모기업''' ||[[토요타 그룹]] || || '''링크''' ||[[https://www.denso.com/jp/ja/|홈페이지]] [[https://www.denso.com/kr/ko/|덴소코리아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자동차]] [[부품]] 회사. 회사의 이름은 '전기장치'(電気装置)의 준말인 '전장'(電装)에서 유래했으며 이를 [[일본어]]로는 '덴소'라 읽는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사명을 電装이라고 쓰지 않고 デンソー라 쓴다.] 2022년 기준 연간 매출 6조 4,013억 엔, 영업 이익 4,260억 엔을 기록하고 있으며 토요타그룹에서 [[토요타|토요타자동차]]와 함께 핵심 기업 중 하나다. 토요타 그룹에 속해 있지만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수많은 메이커에 부품을 공급하는 세계 4대 자동차 부품 회사이며 [[포춘]] 선정 'Global 500 기업'에 포함된 기업이다. == 사업 분야 == 자회사로 덴소웨이브(デンソーウェーブ)[* 약칭 DNWA]가 있으며 이곳은 [[QR코드]]를 발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바코드, QR코드 단말기 개발 및 제조를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창사 초기부터 차량용 공조기에 기술 경쟁력을 갖고 있어서 80년대 유럽 고급차 [[에어컨]]의 [[컴프레서]]가 덴소 제품이 상당히 많이 들어갔다. 의외로 [[CRDi]] 시스템을 최초로 상용화했고[* 1995년 [[히노 레인저|히노 라이징 레인저]]에 처음으로 장착했다.], 현재 [[보쉬]], [[델파이]]와 함께 뛰어난 디젤 엔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참고로 현대 [[현대 A 엔진|A2 엔진]][* 유로3~4는 보쉬 인젝터, 유로5는 델파이 인젝터, 유로6 때 덴소 인젝터를 잠시 사용했다.], [[현대 F 엔진|F 엔진]], [[현대 G 엔진|G 엔진]]에 덴소 인젝터를 사용한다. 전기 전장 특기를 살려 과거 토요타가 [[포뮬러 1]]에 있던 마지막 해인 2009년 TF109 차량 및 [[르망 24시]] LMP1 TS030부터 TS050 시리즈까지 KERS를 개발했으며 이때 습득한 노하우로 양산 승용차량 하이브리드 시스템쪽 기술력도 매우 뛰어나다. 비자동차 분야 사업으로는 산업용 로봇, 휴대용 결재기, 가정 및 대형 건물의 에너지 관리와 냉난방 시스템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 한국에서 == 국내 일반 소비자에게는 고품질 점화 플러그[* 흔히 [[이리듐]] 플러그로 알려진 그것이다.]와 와이퍼로 유명하다. 국내에는 풍성전기[* 現 피에스텍]와 합작 법인인 "덴소풍성"으로 진출했으며 이후 1997년, 서울에 영업사무소인 한국덴소판매(주)를 설립했다. 2013년에 풍성 측 지분을 모두 인수해 덴소코리아오토모티브[* DNKA는 이의 약자다.],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DNKE는 이의 약자다.], 덴소인터내셔널코리아[* DIKR은 이의 약자다.]로 법인명을 변경했다.[* 그래서 피에스텍 홈페이지와 덴소코리아 홈페이지의 연혁을 보면 겹치는 부분이 많다.] 피에스텍(舊 풍성전기)은 지금도 상장되어 있으나(종목 코드 002230) 덴소풍성은 2004년경 상장 폐지했다.(당시 종목 코드 047060) 실적에 문제가 있던 건 아니었고 극심한 거래량 부족이 원인이었기에 사실상 자진 상장 폐지에 가깝다. 덴소코리아오토모티브,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덴소인터내셔널코리아는 2018년 경영 합병을 통해 덴소코리아주식회사[* DNKR은 이의 약자다.]로 사명을 변경했다. 국내에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와 성산구, 경기도 화성시에 생산 공장이 있으며 경기도 의왕시에 기술 연구소가 있다. == [[토요타|토요타자동차]]와의 관계 == 1949년 [[토요타|토요타자동차]]에서 분리되며 '닛폰덴소'라는 회사로 출범한 이후, 토요타자동차의 주요 부품 회사로 크게 성장하였다. 덴소는 토요타자동차에 대한 종속 관계를 탈피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토요타 자동차가 덴소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까지 줄어들었다. 그 덕분인지 2022년 6월 현재, 토요타 계열(豊田通商株式会社)의 [[https://www.denso-wave.com/ja/about/outline/|지분]]은 15% 정도다. 토요타의 직속 레이싱팀인 '[[토요타 가주 레이싱]]'의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WEC]]팀의 메인 스폰서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랜섬웨어 공격 피해: 2021년 12월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서 멕시코 공장의 직원들 개인정보가 유출되었고, 2022년 3월에 또다시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서 도면과 발주서류 데이터가 털렸다.[[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2/03/14/VZQVI45GZBGI7OPTXF7DGYINEE/|#]] * 상습적 담합: 자동차 부품 입찰에서 담합을 한 것이 적발되어 2016년 미쓰비시와 함께 공정위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았다.[[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1611011850001|#]] 2017년 1월에도 역시나 일본의 부품회사인 NGK와 함께 담합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2017년 기준으로 이미 덴소는 공정위에 7번이나 담합으로 적발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170116048700002|#]] 2017년 11월에도 담합으로 적발되었다.[[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7110623651|#]] 2021년에는 [[남아공]]에서도 담합으로 과징금을 받았다.[[https://news.g-enews.com/article/Global-Biz/2021/12/2021122409133784102bb03d9507_1?md=20211224113359_S|#]] * 자회사 먹튀 논란: 2022년 9월 [[MBC]] [[https://www.youtube.com/watch?v=m0Cd3I1E9m0|단독 보도]]로 알려졌다. 자회사인 한국와이퍼는 2023년 2월 18일부로 209명을 전원 해고하고 청산 절차에 들어갔다.[[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11537|#]] * 2016년 토요타에서 덴소 [[에어백]] 결함으로 32만대를 [[리콜]] 하였다. [[http://www.ekn.kr/news/article.html?no=198924|도요타, 에어백 결함으로 32만대 리콜]] == 기타 == 2019년 한국에서 자사 제품의 안전성 관련 광고를 찍었는데, 그 광고모델이 다름아닌 [[오버워치]]의 [[트레이서]] 성우로 유명한 [[성우]] [[박신희]]와 그녀의 딸 류지안 양. 잠깐이지만 가족사진을 통해 박신희의 남편인 [[성우]] [[류승곤]]도 나온다. [youtube(1pqGoC8pqEk)] [[분류: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