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헤센카셀의 빌헬름 공자비[br]{{{+1 덴마크의 샤를로테 공주}}}[br]Prinsesse Charlotte af Danmar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harlotte_Denmark.jpg|width=100%]]}}} || || '''이름''' ||루이세 샤를로테[br](Louise Charlotte) || || '''출생''' ||[[1789년]] [[10월 30일]][br][[덴마크]] [[코펜하겐]] 크리스티안보르 궁전 || || '''사망''' ||[[1864년]] [[3월 28일]] (향년 74세)[br][[덴마크]] [[코펜하겐]] 크리스티안보르 궁전 || || '''배우자''' ||헤센카셀의 빌헬름 ,,(1810년 결혼),, || || '''자녀''' ||카롤리네 프리데리케, 마리 루이제 샤를로테, [[헤센카셀의 루이제|루이제]], [[프리드리히 빌헬름(헤센카셀)|프리드리히 빌헬름]], 아우구스테 조피, 조피 빌헬미네 || || '''아버지''' ||덴마크의 왕세자 프레데리크 || || '''어머니'''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조피 프리데리케 여공작 || || '''형제''' ||[[크리스티안 8세]], 율리아네 소피, 페르디난트 || || '''종교''' ||[[루터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덴마크]]의 국왕 [[프레데리크 5세]]의 손녀. 덴마크 [[글뤽스부르크 왕조#s-3|글뤽스부르크 왕조]]의 초대 국왕 [[크리스티안 9세]]의 왕비 [[헤센카셀의 루이제]]와 헤센카셀 가문의 수장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어머니로, 크리스티안 9세의 즉위에 기여했다. == 생애 == 1789년 10월 30일 덴마크의 추정 상속인 프레데리크 왕자의 차녀로 태어났다. 5살 때 어머니를 여의었다. 1810년 11월 10일 21살의 나이에 헤센카셀의 빌헬름과 결혼했다. 샤를로테는 결혼하자마자 임신했고, 1남 5녀를 낳았다. 부부는 덴마크에서 살았으며 빌헬름은 덴마크의 군인으로 활동했다. 1839년 오빠 [[크리스티안 8세]]가 즉위하면서 왕실의 주요 어른으로 대접받게 되었다. 샤를로테는 머리가 좋아 현명하게 왕실 업무를 처리했다. 그리고 매우 엄격해 왕족으로써 항상 모범적인 모습을 보일 것을 강조했다고 한다. 그와 동시에 야망이 넘친다는 평을 받았는데, 크리스티안 8세 사후 즉위한 조카 [[프레데리크 7세]]가 몇차례 결혼에 실패하고 자식을 낳지 못한 데에는 고모의 뒷공작이 있었다는 소문이 있었다. 1848년 프레데리크 7세는 덴마크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 1864년까지는 덴마크 국왕이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을 통치했다.]을 덴마크 왕실의 여계후손이 계승해 통치할 수 있는 법안을 발표했다. 프레데리크 7세와 추정 상속인 페르디난트는 자식이 없었고 후사를 볼 가능성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로써 샤를로테는 왕위 승계에 있어 유리한 입장이 되었다. 샤를로테의 3녀 [[헤센카셀의 루이제]]는 [[크리스티안 9세|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의 크리스티안]]과 결혼했는데 그 역시 덴마크 왕실의 후손으로 유력한 왕위 계승 후보였다. 샤를로테는 자신의 왕위 계승권을 딸 루이제에게 양보했다. 사실 덴마크 왕위계승서열에서 더 앞선 사람이 유일한 아들인 [[프리드리히 빌헬름(헤센카셀)|프리드리히 빌헬름]]이였지만, 그 역시 누나 루이제에게 왕위계승권을 양보했다. 루이제는 남편이 왕위에 오를 수 있게 전폭적으로 지원했고, 1863년 11월 15일 크리스티안은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9세]]로 즉위했다. 딸과 사위가 덴마크의 왕과 왕비 자리에 오른 것을 본 다음 해인 샤를로테는 74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유해는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덴마크]]의 샤를로테[br]{{{-2 (Princess Charlotte of Denmark)}}} ||<|6> 덴마크의 왕세자 프레데리크[br]{{{-2 (Frederick, Hereditary Prince of Denmark)}}} ||<|3> [[프레데리크 5세]][br]{{{-2 (Frederick V)}}} || || [[크리스티안 6세]][br]{{{-2 (Christian VI)}}} || ||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의 조피 막달레네[br]{{{-2 (Sophie Magdalene of Brandenburg-Kulmbach)}}} || ||<|3> [[율리아네 마리|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율리아네 마리 여공작]][br]{{{-2 (Duchess Juliana Maria of Brunswick-Wolfenbüttel)}}} ||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페르디난트 알베르트 2세[br]{{{-2 (Ferdinand Albert II, Duke of Brunswick-Wolfenbüttel)}}} ||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안토이네테[br]{{{-2 (Princess Antoinette of Brunswick-Wolfenbüttel)}}} || ||<|7>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br]조피 프리데리카 여공작[br]{{{-2 (Duchess Sophia Frederica[br]of Mecklenburg-Schwerin)}}} || ||<|3>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작 루트비히[br]{{{-2 (Duke Louis of Mecklenburg-Schwerin)}}} || ||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작 크리스티안 루트비히 2세[br]{{{-2 (Christian Ludwig II, Duke of Mecklenburg-Schwerin)}}} ||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구스타프 카롤리네 여공작[br]{{{-2 (Duchess Gustave Caroline of Mecklenburg-Strelitz)}}} || ||<|3>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샤를로테 조피 공녀[br]{{{-2 (Princess Charlotte Sophie of Saxe-Coburg-Saalfeld)}}} || ||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랜시스 요지아스[br]{{{-2 (Francis Josias, Duke of Saxe-Coburg-Saalfeld)}}} || ||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 후국|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의 안나 조피[br]{{{-2 (Princess Anna Sophie of Schwarzburg-Rudolstadt)}}}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헤센카셀의 카롤리네 프리데리케[br]{{{-2 (Princess Caroline Frederica of Hesse-Kassel)}}} || [[1811년]] [[8월 15일]] || [[1829년]] [[5월 10일]] || || || '''2녀''' || 안할트데사우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공자비[br]마리 루이제 샤를로테[br]{{{-2 (Marie Luise Charlotte, Princess Frederick Augustus of Anhalt-Dessau)}}} || [[1814년]] [[5월 9일]] || [[1895년]] [[7월 28일]] || 안할트데사우의 공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br]슬하 3녀[* 장녀 룩셈부르크 대공비 아델라이드 마리가 현 룩셈부르크 대공 [[앙리(룩셈부르크)|앙리]]의 직계 조상이다.] || || '''3녀''' || [[헤센카셀의 루이제|덴마크의 왕비 루이세]][br]{{{-2 (Louise, Queen of Denmark)}}} || [[1817년]] [[9월 7일]] || [[1898년]] [[9월 29일]] || [[크리스티안 9세]][br]슬하 3남 3녀[* 덴마크의 국왕 [[프레데리크 8세]], [[대영제국|영국]]의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알렉산드라 왕비]], [[그리스 왕국|그리스]]의 국왕 [[요르요스 1세]], [[러시아 제국]]의 [[마리야 표도로브나|마리야 황후]], [[덴마크의 티라|하노버의 왕세자비 티라]] [[덴마크의 발데마르|덴마크의 발데마르 왕자]]] || ||<|2> '''1남''' ||<|2> [[프리드리히 빌헬름(헤센카셀)|헤센카셀 방백 프리드리히 빌헬름]][* 명목상의 방백이다.][br]{{{-2 (Frederick William, Landgrave of Hesse-Kassel)}}} ||<|2> [[1820년]] [[11월 26일]] ||<|2> [[1884년]] [[10월 14일]] || [[알렉산드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러시아의 알렉산드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br]슬하 1남 || || 프로이센의 아나[br]슬하 3남 3녀[* [[프리드리히 카를|헤센카셀 방백 프리드리히 카를]] 등] || || '''4녀''' || 블릭슨피네케 남작부인 아우구스테[br]{{{-2 (Auguste, Baroness of Blixen-Finecke)}}} || [[1823년]] [[10월 30일]] || [[1889년]] [[7월 17일]] || 블릭슨피네케 남작 카를 프레데리크[br]슬하 2남 || || '''5녀''' || 헤센카셀의 조피 빌헬미네[br]{{{-2 (Princess Sophie Wilhelmine of Hesse-Kassel)}}} || [[1827년]] [[1월 18일]] || [[1827년]] [[12월 20일]] || || [[분류:덴마크의 공주]][[분류:노르웨이의 공주]][[분류:올덴부르크 가문]][[분류:헤센카셀 가문]][[분류:1789년 출생]][[분류:1864년 사망]][[분류:코펜하겐 출신 인물]][[분류:로스킬레 대성당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