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덴마크의 발데마르 왕자}}}[br]Prins Valdemar af Danmark'''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ince_Valdemar_of_Denmark_1936.jpg|width=100%]]}}} || || '''출생''' ||[[1858년]] [[10월 27일]][br][[덴마크]] 겐토프테 베른스토르프 궁전|| || '''사망''' ||[[1939년]] [[1월 14일]] (향년 80세)[br][[덴마크]] [[코펜하겐]] 옐로우 팰리스|| || '''배우자''' ||오를레앙의 마리 공녀 ,,(1885년 결혼 / 1909년 사망),, || || '''자녀''' ||오게, 악셀, 에리크, 비고, 마르그레테|| || '''아버지''' ||[[크리스티안 9세]]|| || '''어머니''' ||[[헤센카셀의 루이제]]|| || '''형제''' ||[[프레데릭 8세]],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알렉산드라]], [[요르요스 1세]], [[덴마크의 다우마 공주|다우마]], [[덴마크의 티라 공주|티라]]|| [목차] [clearfix] == 개요 == [[덴마크]]의 왕자.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9세]]의 막내 아들이다. == 생애 == 1858년 베른스토프 궁전에서 [[크리스티안 9세]]와 [[헤센카셀의 루이제|헤센카셀의 루이제 공녀]]의 3남 3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당시 아버지는 덴마크 국왕이 되기 전이라서 방계왕족으로 있었다. 1863년 3월 10일 첫째 누나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알렉산드라]]가 [[대영제국]]의 [[에드워드 7세|에드워드 왕세자]]와 결혼하면서 왕세자비가 되었고, 같은 해 3월 30일 둘째 형 [[요르요스 1세]]가 [[그리스 왕국]]의 국왕으로 선출되면서 그리스로 갔고, 그 해 11월 15일 아버지 크리스티안 9세가 덴마크의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덴마크의 왕자가 되었다. 조카 [[그리스와 덴마크의 요르요스]]와 [[동성애]] 관계였다. 1885년 10월 20일 파리에서 [[페르디낭 필리프|오를레앙 공작 페르디낭 필리프]]의 손녀인 오를레앙의 마리 공녀와 결혼해서 슬하에 4남 1녀를 두었다. 1886년 [[불가리아 공국]]의 공작 [[알렉산더르 1세]]가 친러시아 불가리아군 장교들의 쿠데타로 퇴위하면서 불가리아의 공위가 발데마르 왕자에게 제의되었지만 거절하면서 불가리아 공위는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의 [[페르디난트 1세(불가리아)|페르디난트 1세]]에게 돌아갔다. 1939년 [[덴마크]] [[코펜하겐]] 옐로우 팰리스에서 사망했다. [[크리스티안 9세]]와 [[헤센카셀의 루이제|루이제 왕비]]의 자녀들 중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한 자녀였다. 사후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덴마크의 발데마르 왕자[br]{{{-2 (Prince Valdemar of Denmark)}}} ||<|6> [[크리스티안 9세]][br]{{{-2 (Christian IX)}}} ||<|3> [[프리드리히 빌헬름(글뤽스부르크)|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br]{{{-2 (Frederick William, Duke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Glücksburg)}}}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베크 공작 프리드리히 카를 루트비히[br]{{{-2 (Frederick Charles Louis, Duke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Beck)}}} || || 쉴리벤의 프리데리케 여백작[br]{{{-2 (Countess Friederike von Schlieben)}}} || ||<|3> 헤센카셀의 루이제 카롤리네 공녀[br]{{{-2 (Princess Louise Caroline of Hesse-Kassel)}}} || || 헤센카셀의 카를 공자[br]{{{-2 (Prince Charles of Hesse-Kassel)}}} || || [[덴마크]]의 루이세 공주[br]{{{-2 (Princess Louise of Denmark)}}}[* [[프레데릭 5세]]의 3녀이자 [[조지 2세]]의 손녀이다.] || ||<|7> [[헤센카셀의 루이제|헤센카셀의 루이제 공녀]][br]{{{-2 (Princess Louise of Hesse-Kassel)}}} || ||<|3> 헤센카셀의 빌헬름 공자[br]{{{-2 (Prince William of Hesse-Kassel)}}} || || 헤센카셀의 프리드리히 공자[br]{{{-2 (Prince Frederick of Hesse-Kassel)}}}[* [[조지 2세]]의 외손자이다.] || || 나사우우징겐의 카롤리네 공녀[br]{{{-2 (Princess Caroline of Nassau-Usingen)}}} || ||<|3> [[덴마크의 샤를로테 공주]][br]{{{-2 (Princess Charlotte of Denmark)}}} || || [[덴마크]]의 왕세자 프레데릭[br]{{{-2 (Frederick, Hereditary Prince of Denmark)}}}[* [[프레데릭 5세]]의 3남이다.] || ||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조피 프리데리케 여공작[br]{{{-2 (Duchess Sophia Frederica of Mecklenburg-Schwerin)}}}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로센보르 백작 오게 왕자[br]{{{-2 (Prince Aage, Count of Rosenborg)}}} || [[1887년]] [[6월 10일]] || [[1940년]] [[2월 19일]] || 베르골로 여백작 마틸데 칼비[br]슬하 1남 || || '''2남''' || 악셀 왕자[br]{{{-2 (Prince Axel)}}} || [[1888년]] [[8월 12일]] || [[1964년]] [[7월 14일]] || [[스웨덴]]의 마르가레타 공주[* 스웨덴 [[오스카르 2세]]의 3남인 칼 왕자와 덴마크의 잉에보르 공주의 장녀][br]슬하 2남 || || '''3남''' || 로센보르 백작 에리크 왕자[br]{{{-2 (Prince Erik, Count of Rosenborg)}}} || [[1890년]] [[11월 8일]] || [[1950년]] [[9월 10일]] || --로이스 프랜시스 부스--[br]슬하 1남 1녀 || || '''4남''' || 로센보르 백작 비고 왕자[br]{{{-2 (Prince Viggo, Count of Rosenborg)}}} || [[1893년]] [[12월 25일]] || [[1970년]] [[1월 4일]] || 엘리너 마거릿 그린 || || '''1녀''' || 부르봉파르마의 르네 공자비 마르게리타[br]{{{-2 (Margherita, Princess René of Bourbon-Parma)}}} || [[1895년]] [[9월 17일]] || [[1992년]] [[9월 18일]] || 부르봉파르마의 르네 공자[* [[부르봉파르마의 치타|지타 황후]], [[부르봉파르마의 펠릭스 공자]]의 친동생][br]슬하 3남 1녀[* [[루마니아]]의 왕비 아나 등] || [[분류:1858년 출생]][[분류:1939년 사망]][[분류:덴마크의 왕자]][[분류:덴마크의 게이]][[분류:겐토프테 시 출신 인물]][[분류:글뤽스부르크 가문(덴마크)]][[분류:로스킬레 대성당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