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덱 빌드 팩]] [include(틀:유희왕/OCG)]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OCG|유희왕 OCG]]의 번외 부스터 팩. 10기에서 처음 등장했다. 9기의 [[부스터 스페셜]]의 컨셉을 계승해, 3개의 테마 및 각 테마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재록 카드가 수록된다. 애니메이션 테마나 정규 부스터 팩에 비해 일러스트나 효과의 컨셉이 실험적인 테마가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 == [[부스터 스페셜]]과의 차이점 == * 울트라 레어가 수록되어 있어 시크릿 레어로만 발매되는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다.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유희왕/카드군|카드군]] 2개 이상과 OCG 오리지널 카드군 하나를 수록했던 부스터 스페셜과 달리, 덱 빌드 팩에 수록되는 카드군 3개는 전부 OCG 오리지널 카드군이며, [[인피니티 체이서즈]]부터는 아예 신규 테마만을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와일드 서바이버즈]]부터는 다시 고대 카드들을 리메이크한 테마들이 수록되고 있다. * 그럭저럭 공통점이 존재했던 부스터 스페셜과는 달리, 덱 빌드 팩의 각 카드군에는 서로 컨셉상 공통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외로 [[히든 서머너즈]]와 [[택티컬 마스터즈]]의 수록 테마들은 공통된 컨셉을 가지고 있다.] * [[부스터 스페셜]]은 60장이나, 덱 빌드 팩은 45장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영미판은 덱 빌드 팩도 60장이다. == 수록 테마와 공개 방식 == 지금까지 덱 빌드 팩을 통해 데뷔하거나 지원을 받은 테마는 다음과 같다. || '''부스터 팩'''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카드군 일람|{{{#white 테마}}}]]''' || '''부스터 팩'''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카드군 일람|{{{#white 테마}}}]]''' || |||||||| '''10기''' || || [[스피릿 워리어즈]] || [[그림자 여섯 무사]], [[마탄환]], [[천후]] || [[다크 세이비어즈]] || [[뱀파이어(유희왕)|뱀파이어]], [[공아단]], [[섬도희]] || || [[히든 서머너즈]] || [[네프티스(유희왕)|네프티스]], [[프랭키즈]], [[마요괴]] || [[인피니티 체이서즈]] || [[무한기동]], [[주안(유희왕)|주안]], [[위치크래프트(유희왕)|위치크래프트]] || || [[미스틱 파이터즈]] || [[참기(유희왕)|참기]], [[제너레이드]], [[드래곤메이드]] || [[시크릿 슬레이어즈]] ||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 [[아다마시아]], [[육화]] || |||||||| '''11기''' || || [[제네시스 임팩터즈]] || [[드라이트론]], [[마기스토스]], [[이빌트윈]] || [[에인션트 가디언즈]] || [[베어루크티]], [[명세계]], [[도레미코드]] || || [[그랜드 크리에이터즈]] || [[P.U.N.K.]], [[용사(유희왕)|용사 토큰]], [[엑소시스터]] || [[택티컬 마스터즈]] || [[밸리언츠]], [[루닉]], [[라뷰린스]] || || [[어메이징 디펜더즈]] || [[R-ACE]], [[퓨어리]], [[미캉코]] || [[와일드 서바이버즈]] || [[초월룡]], [[VS(유희왕)|VS]], [[누밸즈]] || |||||||| '''12기''' || || [[밸리언트 스매셔즈]] || [[메멘토(유희왕)|메멘토]], [[센츄리온(유희왕)|센츄리온]], [[바르모니카]] || 발매일로부터 2~3개월 전에 공식 사이트를 통해 수록되는 세 테마의 커버 카드의 일러스트를 공개하고 덱의 대강의 컨셉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테마들의 대강의 컨셉을 유추할 수 있다. 예컨대 [[명세계]]는 "묘지를 마음대로 사용하는 대형 몬스터"를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웠고 실제로 묘지를 사용하는 덱, [[베어루크티]]는 [[베어루크티#베어루크티-셉텐=트리온|베어루크티-셉텐=트리온]]의 일러스트를 보여주고 "에이스가 되는 싱크로 몬스터"를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웠는데 실제로도 [[싱크로 소환|싱크로]] 덱인 형식. 예외적으로 [[제네시스 임팩터즈]]의 경우 이런 컨셉을 소개하는 대신 대신 카드 이름을 공개했다. 컨셉 소개 이후로는 한 달 간격으로 한 테마씩 카드를 공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것도 일종의 [[전통]]이 있어 대개 덱 빌드 팩마다 하나씩 있는 괴수나 로봇을 내세우는 테마들이 맨 처음으로 공개되며, 역시 덱 빌드 팩마다 하나씩은 있는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를 내세우는 테마가 보통 마지막에 공개된다. 이 경우 발매일이 아슬아슬하게 남을 정도로 공개를 늦추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공개 당시에는 일부러 카드 1장을 공개하지 않다가 3번째 테마가 공개된 이후, 1장씩 공개한다. 즉 현행 덱 빌드 팩의 카드 공개 방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발매일로부터 2~3개월 전에 공식 사이트를 통해 3개의 테마의 커버 카드의 일러스트와 컨셉을 소개한다. >2. 발매일로부터 1~2개월 전에 첫 번째 테마가 공개된다. 첫 번째 테마는 대개 로봇과 괴수 등의 카드를 내세운 테마[* [[드라이트론]], [[P.U.N.K.]], [[R-ACE]], [[메멘토]] 등.]가 많다. >3. 발매일로부터 0~1개월 전에 두 번째 테마가 공개된다. 즉 두 번째 테마와 세 번째 테마가 같은 주에 공개되는 경우도 있다. >4. 발매일로부터 1~2주 전에 세 번째 테마가 공개된다. 세 번째 테마는 대개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를 내세운 테마[* [[이빌트윈]], [[엑소시스터]], [[라뷰린스]], [[센츄리온(유희왕)|센츄리온]] 등.]가 많다. >5. 발매일로부터 1주 내에 마지막 지원 카드를 1장씩 공개한다. 수록되는 테마의 성능 차이가 큰 편이고, 심한 경우에는 세 테마가 모두 저열한 성능일 때도 있어서 유저들 사이에서는 "딕 빌드 팩"이라며 까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스피릿 워리어즈]] ~ [[인피니티 체이서즈]]의 초기 팩들이 이런 경향이 심해서 [[섬도희]] 등의 예외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테마가 발매 시점의 성능이 나빴다. 다행히도 [[미스틱 파이터즈]]부터는 개성을 살리면서도 성능적으로 준수한 테마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하술하듯 성능이 나빠도 지원을 통해 준수한 성능을 갖추는 경우가 많다. 보통 덱 빌드 팩 발매 이후에 출시되는 정규 부스터 2~3팩 안에 1~2장씩 추가 지원이 나오는 편이다. 흔히 메인 팩 DLC/메인 팩 A/S라 불리는 것으로, 덱 빌드 팩 출시 당시에는 성능이 너무 나빴던 테마도 이 추가 지원을 잘 받아 성능 개선을 크게 이루는 경우가 많다. [[드래곤메이드]], [[엑소시스터]] 등 약소 덱에서 상위 티어까지 발전하는 테마도 있다. 이는 11기 [[그랜드 크리에이터즈]] 이후로 더더욱 부각되어, 그랜드 크리에이터즈 이후로는 이러한 지원 등을 통해 약한 테마 없이 전부 다 강한 테마가 되는 경우가 많다. [[와일드 서바이버즈]]부터는 다시 성능이 떨어져가는 추세. 거기에 수록되는 신규 카드 매수도 39장에서 31장으로 팍 줄었다. == 덱 빌드 팩 일람 == [INCLUDE(틀:유희왕 덱 빌드 팩 일람/10기)] [INCLUDE(틀:유희왕 덱 빌드 팩 일람/11기)] [INCLUDE(틀:유희왕 덱 빌드 팩 일람/12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