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과학사 4대 악마)] [목차] == 개요 == {{{+1 Descartes' Demon}}} [[파일:religion-rene_descartes-philosophies-scientifc_revolution-demon-intellectual-gson54_low.jpg|width=300]] 모든 감각을 통해 획득한 정보가 불확실함을 가정했을 때, 어떤 결론이 도출될 수 있는지 추론한 [[르네 데카르트]]의 [[사고실험]]. == 설명 == 데카르트는 연역적으로 추론한 정리를 쌓아나아가 의심스럽게 여겨지는 명제들을 논리에 기반하여 증명하려 하였는데, 이를 토대주의(foundationalism)라고 일컫는다. 이를 해내기 위해서는 모든 추론의 기반이 되는 공리가 전제되는데, 따라서 데카르트는 자신의 철학 전체를 떠받칠 수 있는 공리를 추론해 낼 필요가 있었다. 데카르트는 이를 위하여 모든 감각기관에 의한 정보를 의심하기로 한다. 사람은 환상을 보기도 하고 꿈을 꾸기도 하며, 때때로 과거의 경험으로 생겨난 편견 때문에 잘못된 믿음이나 판단을 하게 되는데, 어떤 명제가 의심의 여지 하나 없이 진실이라면 그것은 모든 감각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가 거짓일 지라도 참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데카르트는 '''[[통 속의 뇌|어떤 강력한 능력을 가진 악마가 자신에게 개입하여 나의 모든 감각기관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을 경우]]'''를 상정하고 사고실험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데카르트가 얻은 결론은 자신의 모든 감각기관으로 인한 정보가 거짓일 지라도, 그 사유하는 나, 다시 말해 강력한 악마에게 '감각이 속고 있는 나'라는 존재는 있을 수밖에 없기에 악마가 나를 속이고 있다 할지라도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나라는 존재가 사유하고 있고, 그렇기에 존재한다는 것만은 의심의 여지 없이 진실이다]]라는 결론을 얻게 된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웹소설 [[우주 망나니에서 교수까지]]의 외신 중 하나로 등장한다. == 관련 문서 == * --[[모든 것의 이론]]-- * --[[다중우주#s-2.5|시뮬레이션 다중우주]]-- * --[[모의실험 가설]][* 모의실험 가설을 제안한 닉 보스트롬 교수는 모의실험 가설은 데카르트의 악마와는 다르다고 했다.]-- * [[존재론]] * [[실재론]] * [[통 속의 뇌]] [[분류:철학]][[분류:과학철학]][[분류:과학사]][[분류:뇌과학]][[분류:신경과학]][[분류:악마]][[분류:르네 데카르트]][[분류:사고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