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주식회사 데즈카 프로덕션'''}}}[br]'''株式会社手塚プロダクション'''[br]'''TEZUKA PRODUCTIONS Co., Ltd.''' || ||<-2> [[파일:데즈카 프로덕션 로고.png|width=80%]] || ||<|1> '''{{{#ffffff 정식명}}}''' ||'''株式会社手塚プロダクション''' || || '''{{{#ffffff 창립일}}}''' ||[[1968년]] [[1월 23일]] || || '''{{{#ffffff 국가}}}''' ||[[일본]]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 || '''{{{#ffffff 사업 내용}}}''' ||[[애니메이션]] 작품 기획 '''·''' 제작 외 || || '''{{{#ffffff 대표이사}}}''' ||마츠타니 타카유키(松谷孝征) || || '''{{{#ffffff 창업자}}}''' ||[[데즈카 오사무]] || || '''{{{#ffffff 자본금}}}''' ||20,000,000 [[일본 엔|엔]] || || '''{{{#ffffff 직원수}}}''' ||102명 || ||<|2> '''{{{#ffffff 본사}}}''' ||〒 169-8575 [[도쿄도]] [[신주쿠구]] 다카다노바바 4쵸메 32-1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株式会社手塚プロダクション, 너비=100%, 높이=100%)]}}} || || '''{{{#ffffff 웹사이트}}}''' ||[[https://tezuka.co.jp/|[[파일:데즈카 프로덕션 로고.pn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만화가 [[데즈카 오사무]]가 창업한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 역사 == === 설립 === 설립 당시 데즈카 오사무 작품 제작, 그리고 캐릭터 상품 제작과 판매, 관련 이벤트를 열고 있다. 그리고 [[데즈카 오사무]] 기념관, 교토 데즈카 오사무 월드의 운영도 하고 있다. === 성장 === 그 외 작품들은 대부분 다른 기업과의 공동 제작이거나 다른 회사의 하청을 받아서 한다. 특히 회사 중에서 [[매드하우스]]와 협력을 많이 한다. '''2007년부터는 데즈카 오사무 작품 외의 라이트 노벨/소설 등의 애니메이션화를 진행하고 있는데,''' [* 연혁을 보면 2018년부터 자체 제작 비율이 늘었다. 이 시기 근방으로 회사 경영 방침이 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쿠와바라 사토시가 감독을 담당하고 있다.] 원체 만든 경험이 적어 퀄리티가 좋지 않다. 자세한 작품의 비판은 [[다가시카시 2]] 부분과 [[5등분의 신부(애니메이션 1기)/평가]] 문서 참조. 그 외에는 다른 기업 캐릭터를 제작해주거나, 그리고 [[아사히 신문]]과 제휴해 [[데즈카 오사무 문화상]]을 마련해 만화 작품을 표창하고 있다. == 특징 == === 제작 특징 === 회사명에서 알 수 있듯이 [[데즈카 오사무]] 작품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회사였으나, 201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라이트 노벨]], [[만화]] 등의 애니메이션화를 하고 있다. 소속 프로듀서가 [[코단샤]]와 커넥션이 있는지 코단샤 작품 애니화 비중이 많은 편. 시리즈를 안이어가는 제작사로도 유명하다. [[5등분의 신부/애니메이션|5등분의 신부]], [[그녀도 여친/애니메이션|그녀도 여친]]이 대표적으로, 1기는 데즈카 프로덕션이 만들었으나 2기부터는 다른 제작사로 변경되었으며, 그 외에도 [[다가시카시/애니메이션|다가시카시]]와 [[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애니메이션|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은 다른 제작사에서 1기를 만든 작품의 시리즈 2기를 제작했다. == 관련 인물 == 다른 회사도 그렇지만 대부분 [[프리랜서]]다. === 감독 및 연출가 === * 애니메이션 감독 [[데자키 오사무]] - 사망 * 애니메이션 감독 [[타카하시 료스케]] * 애니메이션 감독 [[쿠와바라 사토시]] (전속) * 애니메이션 감독 [[니시타 마사요시]] * 연출가 [[타카다 준]] - 퇴사 후 프리랜서 === 애니메이터 === * 애니메이터 [[스기노 아키오]] * 애니메이터 [[코바야시 토시미츠]] * 애니메이터 세야 신지(瀬谷新二) * 애니메이터 [[호소이 미에코]] - 퇴사 후 프리랜서 === 기타 === * 촬영 감독 [[타카하시 히로카타]] == 작품 목록 == ||<-5>
[[파일:데즈카 프로덕션 로고.png|width=33%]] || ||<-5> '''{{{#ffffff,#ffffff 데즈카 프로덕션 제작 작품}}}''' || ||
'''{{{#ffffff,#ffffff 년도}}}''' || '''{{{#ffffff,#ffffff 제목}}}''' || '''{{{#ffffff,#ffffff 종류}}}''' || '''{{{#ffffff,#ffffff 감독}}}''' || ||<-5> '''1970년대''' || || '''{{{#ffffff,#ffffff 1971년}}}''' || [[신비한 메르모]] || TVA || [[데즈카 오사무]] || ||<-5> '''1980년대''' || ||<|2> '''{{{#ffffff,#ffffff 1980년}}}''' || || [[철완 아톰(1980)]] || TVA || [[이시구로 노보루]] || ||<-4> || ||<|2> '''{{{#ffffff,#ffffff 1989년}}}''' || || [[푸른 망아지 브링크]] || TVA || [[데즈카 오사무]][*총 총감독][br]하라 쇼타로 || ||<-5> '''1990년대''' || ||<|2> '''{{{#ffffff,#ffffff 1991년}}}''' || || [[디어 브라더]] || TVA || [[데자키 오사무]] || ||<-4> || ||<|2> '''{{{#ffffff,#ffffff 1999년}}}''' || || [[백경전설]][* 1997년 방송 중단된 애니메이션 후반부를 이어받아 제작. 이후 저작권은 데즈카 프로덕션이 관리 중이다.] || TVA || [[데자키 오사무]] || ||<-5> '''2000년대''' || ||<|2> '''{{{#ffffff,#ffffff 2003년}}}''' || || [[ASTRO BOY 철완 아톰]] || TVA || 코나카 카즈야 || ||<-4> || ||<|3> '''{{{#ffffff,#ffffff 2004년}}}''' || || [[불새]] || TVA || [[타카하시 료스케]] || || [[블랙 잭(만화)/애니메이션|블랙잭]] || TVA || 테즈카 마코토[* [[데즈카 오사무]]의 아들.] || ||<-4> || ||<|2> '''{{{#ffffff,#ffffff 2006년}}}''' || || [[블랙 잭(만화)/애니메이션|블랙잭 21]] || TVA || 테즈카 마코토 || ||<-4> || ||<|2> '''{{{#ffffff,#ffffff 2007년}}}''' || || [[샤먼 시스터즈]][* [[매드하우스]]와 공동 제작.] || TVA || [[니시타 마사요시]] || ||<-4> || ||<|2> '''{{{#ffffff,#ffffff 2009년}}}''' || || [[겐지모노가타리/애니메이션#2009년 TVA|겐지 이야기: 천년기]][* [[TMS 엔터테인먼트]]와 공동 제작.] || TVA || [[데자키 오사무]] || ||<-5> '''2010년대''' || ||<|2> '''{{{#ffffff,#ffffff 2012년}}}''' || || [[언덕길의 아폴론/애니메이션|언덕길의 아폴론]][* [[MAPPA]]와 공동 제작.] || TVA || [[와타나베 신이치로]] || ||<-4> || ||<|3> '''{{{#ffffff,#ffffff 2015년}}}''' || || [[영 블랙잭]] || TVA || [[카세 아츠코]] || || [[전국무쌍 시리즈/애니메이션|전국무쌍]][* [[TYO 애니메이션]]과 공동 제작.] || TVA || 오치 히로히토 || ||<-4> || ||<|2> '''{{{#ffffff,#ffffff 2018년}}}''' || || [[다가시카시 2]] || TVA || [[쿠와바라 사토시]] || ||<-4> || ||<|3> '''{{{#ffffff,#ffffff 2019년}}}''' || || [[도로로(만화)/애니메이션#s-2|도로로]][* [[MAPPA]]와 공동 제작.] || TVA || [[후루하시 카즈히로]] || || [[5등분의 신부(애니메이션 1기)|5등분의 신부]] || TVA || [[쿠와바라 사토시]] || ||<-5> '''2020년대''' || ||<|2> '''{{{#ffffff,#ffffff 2020년}}}''' || || [[아다치와 시마무라/애니메이션|아다치와 시마무라]] || TVA || [[쿠와바라 사토시]] || ||<-4> || ||<|4> '''{{{#ffffff,#ffffff 2021년}}}''' || || [[이세계 마왕과 소환 소녀의 노예 마술 Ω]][* [[오쿠루토 노보루]]와 공동 제작.] || TVA || [[쿠와바라 사토시]] || || [[그녀도 여친(애니메이션 1기)|그녀도 여친]] || TVA || [[쿠와바라 사토시]] || || [[비트킹 THE Dancing HERO]][* [[타츠노코 프로덕션]]과 공동 제작.] || TVA || [[사사가와 히로시]][*이 이그제큐티브 디렉터][br][[타카하시 료스케]][*총][br][[사토 유조]] || ||<-4> || ||<|2> '''{{{#ffffff,#ffffff 2022년}}}''' || || [[마법사의 여명기/애니메이션|마법사의 여명기]] || TVA || [[쿠와바라 사토시]] || ||<-4> || ||<|5> '''{{{#ffffff,#ffffff 2023년}}}''' || || [[츤데레 악역 영애 리젤로테와 실황의 엔도 군과 해설의 코바야시 양/애니메이션|츤데레 악역 영애 리젤로테와 실황의 엔도 군과 해설의 코바야시 양]] || TVA || 요시무라 후미히로 || || [[마이 홈 히어로/애니메이션|마이 홈 히어로]] || TVA || 카메이 타카시 || || [[여신의 카페테라스(애니메이션 1기)|여신의 카페테라스]] || TVA || [[쿠와바라 사토시]] || || [[언더닌자/애니메이션|언더닌자]] || TVA || [[쿠와바라 사토시]] || ||<-4> || ||<|2> '''{{{#ffffff,#ffffff 2024년}}}''' || || [[더 페이블/애니메이션|더 페이블]] || TVA || [[타카하시 료스케]] || ||<-4> || ||<|2> '''{{{#ffffff,#ffffff 미정}}}''' || ||<-4> || == 웹툰 == * [[도로로 Re:Verse]] - 해당 웹툰의 감수를 맡고 있다. == 작품 평가 == [[다가시카시 2]]와 [[5등분의 신부(애니메이션 1기)|5등분의 신부 1기]] 이후로 애니 시청자들에게는 작품을 망치는 믿고 거르는 제작사로 찍힌 상태다. === 작화 === 2000년대 이전 작품은 작화나 연출 면에서 뛰어난 작품이 있다. [[데자키 오사무]], [[스기노 아키오]], [[호소이 미에코]], 세야 신지(瀬谷新二) 같은 실력있는 인물들이 있었다. 2010년대 이후의 데즈카 프로덕션 작품을 보던 사람들이 아톰이나 블랙 잭을 보면 그 품질에 놀라기도 한다. 문제는 2010년대 들어 그런 사람들이 다 회사를 그만두었고, 설상가상으로 데자키 오사무는 2011년에 폐암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프리랜서 인력 섭외도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이후로 나온 단독 제작 작품은 작화로 호평을 받는 작품이 거의 없다. 언덕길의 아폴론과 도로로는 준수한 퀄리티가 나왔으나 그건 공동 제작사인 [[MAPPA]]쪽 인력이 더 많았고 이후 [[아다치와 시마무라/애니메이션|아다치와 시마무라]]에서는 그럭저럭 준수한 작화를 보여주어 제작사에 대한 평이 조금은 나아진 편이었으나, 2021년 [[그녀도 여친(애니메이션 1기)|그녀도 여친]]에서는 또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줬다. 다른 회사는 내부에 실력있는 인원을 두고 있어서 작화를 하청사에 주면 대체로 작화가 떨어지는데 이 회사는 희한하게도 하청을 주면 오히려 작화가 좋아지는 현상이 종종 벌어진다. 특히 2022년작인 [[마법사의 여명기/애니메이션|마법사의 여명기]]는 작화를 거의 다 한국 측 하청사에 맡겼는데도 작화가 데즈카 및 쿠와바라 감독의 과거 작품들보다 괜찮다는 평가를 받았다. 즉 회사 내 작화 인력이 어지간한 하청사보다 실력이 떨어진다는 소리. 제작 스케줄 측면에서도 문제가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 한 회차에 총작화감독이 1~3명 정도 붙어서 작업하지만, 데즈카 프로덕션 작품의 경우 6명 이상이 한 회차 크레딧에 올라가는 일이 흔하다. 하청사 이름이 총작화감독 명의로 들어가는 일도 가끔씩 일어나는 만큼 제작 여건이 상당히 열약함을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인지는 단정지을 수 없지만 같은 하청사여도 데즈카 프로덕션 아래에서는 질이 떨어지지만 다른 스튜디오와 일하면 질이 좋아지는 현상 또한 간간히 목격된다. 이 문제는 코단샤와 [[주간 소년 매거진]] 편집부 문제도 크다. 제일 문제가 된 5등분의 신부나 그녀도 여친은 [[주간 소년 매거진]] 연재작인데, 둘 다 급하게 애니 기획이 잡힌 편이라[* 5등분의 신부나 그녀도 여친 모두 인기가 생긴 초창기에 애니화에 들어갔다.] 스케줄을 강행한 출판사 및 편집부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물론 [[뻐꾸기 커플/애니메이션|뻐꾸기 커플]]의 [[신에이 동화]]처럼 같은 잡지 연재작에 비슷한 조건에도[* 심지어 뻐꾸기 커플은 2쿨짜리로 어찌보면 상황이 더 좋지 않았다.] 어떻게든 살려내는 케이스도 있으나, 불행히도 데즈카 프로덕션은 이런 강행군을 감당할 여력이 안 되는 것으로 보인다. === 촬영 === 작화는 이렇게 기복이 심해도 [[촬영]]은 항상 일정한 품질을 보증하는데 일본 최고급 촬영 전문 하청 회사 [[타카하시 히로카타|T2 STUDIO]]와 인맥이 있어 촬영은 대부분 거기서 해주기 때문이다. == 기타 == [[분류:데즈카 프로덕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