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생물학자]] [[분류:영국의 화가]] [[분류:인류학자]] [[분류:동물학자]] [[분류:1928년 출생]][[분류:윌트셔주 출신 인물]] [[파일:attachment/Desmond_Morris.jpg|width=200]] Desmond Morris. (1928~) [[http://www.desmond-morris.com/|공식 홈페이지]] [목차] == 개요 == 영국의 [[생물학|동물학자]]이자 [[초현실주의]] [[화가]]. == 생애 == 버밍엄대학에서 동물학을 전공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옥스퍼드 대학]]에서 동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7년까지''' 런던 [[동물원]]의 [[포유류]] 관장을 지내기도 했고 [[BBC]] 방송에 출연을 하기도 했다. 사실 여기까지는 평범한 동물학자의 삶 같아 보였으나... 1967년 동물학적 인간론 '''털 없는 원숭이'''를 출간하면서 전세계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 동시기에 주류 인류학자들이 '털 있는' 인류의 조상을 발굴하여 인간이 동물의 한 부류에 불과하다는 것을 밝혔다면, 그는 진화의 말단에 있는 현생 인류, 즉 우리들을 관찰, 분석했고, 그 결과 우리 인간의 신체와 행동이 동물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음을 분명히했다. 하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인간=동물 이라는 인식은 인간의 존엄성을 크게 손상한다고 받아들이는 사람이 많아서 [[교황청]]에서는 이 책을 금서로 규정하였고, 몇몇 나라에서는 [[분서|불태우기]]까지 하였다. 물론 인기도 대단해서 전 세계적으로 번역되어 천만부 이상 팔려나갔고 1996년에는 개정판이 나와 또 한번 반향이 있었다. 자신의 저서 '털 없는 원숭이'에서 풀어낸 인간의 동물적 모습을 현대의 대도시에 적용하여 풀어쓴 '''인간 동물원'''을 후속작으로 1969년 출간하였고, 이 책 역시, 전작만큼은 아니었지만,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테드 카진스키]]가 이 책의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있다.] 또한 1985년 '맨 워칭'(후에 '피플 워칭'으로 개칭)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또한 인간을 하나의 동물로서 간주하고 동물 행동학적 입장에서 이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영국인이니만큼 [[축구]]에도 관심이 커서, 축구라는 문화를 사랑하는 인류를 '축구족'으로 규정하고, 이를 동물 행동학과 문화 인류학적 관점으로 분석한 '축구 종족'(The Soccer Tribe)이라는 책을 쓰기도 했다. 또 [[옥스포드 유나이티드 FC]]의 부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이런 업적이 있는데 또 초현실주의 화가는 뭐냐는 의문에 답변해보자면, 1948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그림을 그려온 화가 되시겠다. 백문이 불여일견 그의 그림을 보자. [[파일:attachment/T07646_9.jpg]] 이런 느낌의 [[초현실주의]]적 화풍의 그림을 많이 그렸으며, 전시회도 자주 열었다. 과학적 + [[인문학]]적 재능에다가 예술적 감각까지 있으니 후덜덜할 따름. 데즈먼드 모리스의 공식 홈페이지의 art란에 들어가면 그의 다른 작품을 볼 수 있다. 또한 본인의 이런 예술가적 재능을 살려, 인류의 미술 역사에서 나타난 [[고양이]]들의 다양한 모습을 소개하는 동시에 고양이에 대한 생태학적 지식을 접목하여 입체적으로 분석한 '고양이는 예술이다'라는 책을 쓰기도 했다. 또 한때는 영국 현대미술 연구소의 이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 여담 == [[한국]]과는 [[전곡리 선사유적지]]가 발굴될 때 본인이 직접 방한해 '''이거 [[구석기]] 유물 맞다!''' 하고 인증해 준 인연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