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데이지 호킹}}}[br]Daisy Hock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데이지 호킹.jpg|width=100%]]}}} || ||<|2> '''출생''' ||[[1888년]] [[11월 26일]]||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퀸클리프|| || '''사망''' ||[[1971년]] [[6월 10일]] (향년 82세) || || '''서훈''' ||[[2022년]]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개요 == 1888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에서 태어난 그녀는 1914년 9월 한국선교사로 승인된 후 18개월동안 훈련을 받고, 1916년 경상남도 마산에 들어왔다. 이후 아이들을 돌보며선교 활동을 하던중 1919년 3월 3.1운동이 일어나자 학생들과 함께 시위에 참가하였다가 체포당하였다. 그러나 국제적 갈등을 우려한 일제가 풀어주었다. 1920년대에는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계속해서 항일운동을 하였으나 1941년 영일관계 악화로 다른 선교사들과 함께 고국으로 귀국하였다. 1971년 6월 10일 사망하였다. 향년 82세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선교사]][[분류:교육자]][[분류:1888년 출생]][[분류:1971년 사망]][[분류:건국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