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웹툰 신의 탑의 등장인물, rd1=데이비드 호크니(신의 탑))] [include(틀:컴패니언 오브 아너 수훈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vid Hockney00.jpg|width=100%]]}}} || ||<-2><#20D39D> {{{#fff '''{{{+1 데이비드 호크니}}}'''[br]David Hockney}}} || ||<#EE6868> '''{{{#fff 출생}}}''' ||1937년 7월 9일 ([age(1937-07-09)]세), 영국 [[요크셔]] 브래드포드 || ||<#EE6868> '''{{{#fff 국적}}}'''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2]] || ||<#EE6868> '''{{{#fff 학력}}}''' ||[[왕립예술대학]] || ||<#EE6868> '''{{{#fff 직업}}}''' ||[[화가]] || ||<#EE6868> '''{{{#fff 가족}}}''' ||케네스 호크니(아버지), 로라 호크니(어머니) || ||<#EE6868> '''{{{#fff 링크}}}''' ||[[https://www.hockney.com/hom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목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BS_201306300357149630.jpg|width=100%]]}}} || ||<#20D39D> '''{{{#fff 젊은 시절}}}''' || [clearfix] == 개요 == ||<-2><#20D39D> '''{{{#fff 주요 작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ckney3_1-bagahi.jpg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더스플래쉬.jpg|width=100%]]}}} || || '''예술가의 초상, 1972년''' || '''The Splash, 1966년''' || 앨런 존스와 함께 [[20세기]]를 대표하는 영국 출신의 [[팝아트]] 화가다. == 상세 == 테이트 갤러리의 관장이었던 알렌 보우니스의 저서에 따르면 그가 예술 평의회의 의뢰로 회화 작품을 물색하던 중 21살의 신입생인 데이비드 호크니의 그림을 눈여겨 보고 구입을 원했으나 보수적인 평의회의 반대로 무산이 되었다고 한다. 그 후 호크니는 3년 후 [[금색]] [[재킷]]과 금색으로 물들인 머리를 하고 [[금메달]]을 수상하였다. 이후 예술평의회는 그의 [[추상화]]를 구입하게 되는데 그것이 아래의 작품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gether2.jpg|width=100%]]}}} || ||<#20D39D> '''{{{#fff 서로 껴안고 있는 우리 두 사람, 1961년}}}''' || 이후 데이비드 호크니는 화풍을 바꾸어서 새로운 시도를 많이 도전했는데 [[화가]]로서의 작품 이외에도 [[일러스트레이터]], 판화가, [[사진작가]], 무대 디자인, 영화제작자 등으로서도 이름을 날린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g_obj_201506111701132061.jpg|width=100%]]}}} || ||<#20D39D> '''{{{#fff 어머니, 1985년}}}''' || 한 대상을 여러 번의 사진을 찍은 후 [[콜라주]]로 만들어 마치 [[모자이크]]를 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독특한 화법은 호크니의 전형적인 [[트레이드 마크]]다. 그는 한동안 포토콜라주를 이용한 작품을 선보이다가 [[회화]]만이 지닌 [[관찰]]의 중요성에 다시 매료되어 회화로 [[회귀]]한다. 그리고 건조한 [[풍경]] 속에서 [[물]]의 [[운동]]만큼은 생생하게 묘사를 하는 특징 때문에 호크니는 "수영장의 화가"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그의 작품 특징 중 하나는 [[청년]]이 [[나체]]로 [[수영]]을 하거나 [[샤워]]를 하는 모습을 관객이 바라보는 관음적인 묘사가 있다는 점인데 호크니 자신이 [[동성애자]]이기도 하다. 호크니는 자신의 성적 성향 때문에 당시 보수적이었던 영국을 벗어나 [[미국]]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 뒤 이러한 자신의 성향을 숨기지 않고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재미있는 사실은 그가 이주한 미국에서도 당시 [[동성애]]는 [[불법]]이었는데 [[1950년대]]까지만 해도 동성애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로 분류되어서 수많은 [[공무원]]들이 해고당하고 [[군인]]들이 강제 [[전역]] 당하는 등 우여곡절이 많았다. [[1960년대]]부터 각종 [[시위]]와 [[목소리]]가 높아져 동성애자의 사회 권리가 주장되어 불법이 폐지되고 동성애자가 [[시의회]] 의원에도 당선되는 등 여러가지 인권 운동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8년]]에 동성애자 [[정치가]]가 [[암살]] 당하는 등 시대적으로 굉장히 불안정한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크니는 별 일 없이 무사히 잘 지냈는데 하필이면 가장 개방적인 [[도시]]에 거주하는 바람에 본인도 미국에서도 불법이라는 사실을 처음엔 몰랐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ckney3_1-bagahi.jpg|width=100%]]}}} || ||<#20D39D> '''{{{#fff 예술가의 초상, 1972년}}}''' || 이 작품은 [[2018년]] [[11월 16일]], [[뉴욕]] [[경매]]에서 9,030만 달러(약 1,018억원)에 낙찰되어 현존 작가 작품 최고 낙찰가를 기록했다. 이 기록으로 데이비드 호크니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화가라는 [[타이틀]]을 얻게 된다.[* 기존 기록은 [[제프 쿤스]](Jeff Koons)의 풍선개로 5840만 달러(약658억원)였다.] 그림 속 서 있는 남성은 호크니의 11살 연하 [[애인]]이었던 피터 슐레진저를 [[모델]]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 여담 == * 어릴 때부터 [[청력]]이 좋지 않았는데 40대가 될 무렵엔 완전히 청력을 잃었다. * [[2013년]]엔 그의 [[파트너]]와 호크니의 [[조수]]인 23세의 도미닉이 브리들링튼 집에서 [[마약]][[파티]]를 하는데 도미닉이 [[코카인]]과 [[엑스터시]] 등을 흡입한 상태에서 강산성 [[세제]]를 복용하는 바람에 [[사망]]하게 된다. 이 사건으로 현장에 있던 호크니와 파트너가 경찰조사를 받게 되지만 파티를 벌이고 있는 도중에 호크니는 잠들고 있어서 결국 사건은 [[사고사]]로 처리된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큰 충격을 받은 호크니는 집을 처분하고 그 곳에 연관된 모든 [[인연]]을 끊게 된다. * [[미술]] [[이론]]에 대해서도 그가 편찬한 저서인 "명화의 비밀", "그림의 역사", "다시 그림이다"가 국내에 정식 번역되었다. * [[2019년]] [[8월 8일]]부터 "호크니"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 [[영화]]가 상영된다. 5개의 극장 상영 예정이었다가 [[8월 7일]]부로 전국 총 23개 극장으로 늘었다. [[서울시립미술관]]에서 특별전도 개최. [youtube(1Bq3AFzt-mw)] [[분류:컴패니언 오브 아너]][[분류:영국의 화가]][[분류:1937년 출생]][[분류:영국의 성소수자]][[분류:영국의 사진가]][[분류:왕립예술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