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4388%, #214388%, #214388%, #214388)" '''{{{#white 미합중국 연방 상원의원[br]{{{+1 데이비드 앨프리드 퍼듀 주니어}}}[br]David Alfred Perdue J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avid_Perdue_official_photo.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49년]] [[12월 10일]] ([age(1949-12-10)]세) || ||[[미국]] [[조지아 주]] 메이컨 || || '''{{{#ffffff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ffffff 배우자}}}''' ||보니 던 퍼듀 ^^(결혼: 1972년~ )^^ || || '''{{{#ffffff 자녀}}}''' ||슬하 3명 || || '''{{{#ffffff 학력}}}''' ||[[조지아 공과대학교]] {{{-1 ([[산업공학]] / [[학사|B.S.]])}}}[br]조지아 공과대학교 {{{-1 ([[경영과학]] / [[석사|M.S.]])}}} || || '''{{{#ffffff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 || '''{{{#ffffff 약력}}}''' ||'''조지아 연방 상원의원 {{{-2 (2015~2021)}}}'''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조지아 주의 전 연방 상원의원. == 생애 == 조지아 주 메이컨에서 태어나서 워너로빈스에서 자랐다. 부모님은 교사였으며 아버지는 19년동안 조지아 주 휴스턴 카운티 교육감을 지냈다. 사촌형인 소니 퍼듀는 미국 [[농무부]] 장관, 조지아 [[주지사]]를 지냈다. 공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가 조지아 공과대학교로 편입하여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경영 컨설턴트로 일했다. 그리고 섬유 회사 , 운동복 , 물류 회사 등에서 임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대 초 [[리복]] 수석부사장으로 근무할 때 신발 라인업을 혁신해서 큰 성공을 거두었고 CEO로 취임하여 2002년부터 2011년까지 10년간 [[NFL]] 공식후원계약을 따낸 것이 기업인으로서의 가장 큰 업적이다. [[2014년 미국 중간선거]]에 조지아 주 연방상원의원 색스비 챔블리스가 불출마 선언을 하자 퍼듀가 출마했는데 이때는 테네시 주에 본사를 둔 종합잡화 판매점 체인인 달러 제네럴을 확장해 취임시점부터 2200여개의 점포를 늘리고 직원 2만명을 새로 고용했다는 사실을 중점적으로 홍보했다. 이후에 [[도널드 트럼프]] 광풍이 불자 친트럼프 정치인이 되었고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연방상원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품 고관세 정책을 내놓고 비판하고 다녔지만 다른 이슈에 대해서는 알력이 없었다. 연방상원 재선에 도전하여 공천까지는 순조롭게 되었는데 [[2021년 미국 조지아 주 상원의원 결선투표|2020년 선거]]에서 결선 투표 끝에 [[존 오소프]] 민주당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차에서는 앞섰으나, 2차에서 밀렸다.] 낙선하면서 자신의 패배를 인정했지만 당선자인 존 오소프에게 '''축하 전화를 하지 않아''' 구설수에 올랐다. 보통 낙선자가 당선자에게 축하 전화를 하는 게 예의다. 낙선 이후에는 2022년 연방 상원의원 선거에 다시 출마해 [[라파엘 워녹]] 의원과 대결하는 것을 검토하였으나 그보다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원을 받아 조지아 주지사 직에 도전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현직 주지사인 [[브라이언 켐프]] 역시 [[공화당(미국)|공화당]] 소속이지만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지난 대선]] 당시 개표 결과를 뒤집으라는 트럼프의 요구를 거부하면서 사이가 완전히 틀어졌기 때문. 이에 호응하듯 2021년 12월에는 자신이 당시 주지사였다면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았을 거라고 얘기하면서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부정선거 음모론|부정선거 음모론]]을 다시 꺼내들기도 했다.[[https://www.axios.com/david-perdue-georgia-2020-election-certification-56e54cd2-c0c1-41e8-a44e-f582335243da.html|#]] 물론 경쟁자인 켐프 주지사로부터는 강력하게 비판받았다. 2022년 5월 24일 진행된 경선 결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켐프 현 지사에게 약 50%p라는 압도적인 격차로 패배를 맛봐야했다. 조지아 주의회와 켐프 주지사가 주도하여 신원 조회 절차 등을 강화하고 부재자 투표를 어렵게 만든 선거법 개정[* 물론 민주당에서는 이를 [[투표 억압]]으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반발했다.] 때문에 지난 대선 대선 부정투표를 주장하던 공화당 지지층의 불만이 다소 가라앉은 측면이 있다...고는 하는데, 반대로 보면 그만큼 트럼프의 영향력이 조지아에서 점점 옅어지는게[*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트럼프의 지지를 업은 퍼듀가 경선에서 패배한 것이 의외라는 반응을 보였다. 왜냐하면 여론조사에서는 퍼듀가 켐프를 앞질렀기때문.]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4 || [[2014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2> [[조지아주|조지아]] ||<|2> [include(틀:공화당(미국))] || '''1,358,088 (52.89%)''' || '''당선 (1위)''' || '''초선''' || || 2020 || [[2021년 미국 조지아 주 상원의원 결선투표|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2,214,979 (49.38%) || 낙선 (2위) || [*A 결선 투표] || [[분류:미국 상원의원]][[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미국 공화당 소속]][[분류:1949년 출생]][[분류:메이컨 출신 인물]][[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분류:미국의 기업인]][[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조지아 공과대학교 출신]][[분류:미국의 정치인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