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스스톤/용의 위상)] [목차] == 데스윙 == ||<-6>|| || '''한글명''' || [[데스윙]] ||<-4><|8> [[파일:Deathwing-hs.png|width=200]] || || '''영문명''' || Deathwing || || '''카드 세트''' || 오리지널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공용}}} || || '''종족''' || 용족 || || '''[[http://static2.wikia.nocookie.net/__cb20131211224253/hearthstone/images/9/91/Deathwing.gif?width=200|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10 || '''공격력''' || 12 || '''생명력''' || 12 || || '''효과''' ||<-5>'''전투의 함성:''' 전장의 다른 '''모든''' 하수인을 처치하고 내 손에 있는 카드를 모두 버립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5>한때 고귀한 용족 넬타리온이었던 데스윙은 이성을 잃고 아제로스를 산산조각 냈습니다. 사춘기였나봐요.[br]''(Once a noble dragon known as Neltharion, Deathwing lost his mind and shattered Azeroth before finally being defeated. Daddy issues?)'' || 소환 시 음악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대격변|대격변]] 시네마틱 트레일러 배경음악이다. [[https://youtu.be/jLw5MX7bZqI?t=12|12초부터]]. === 상세 === 오리지널 공용 전설 카드. 한때 대지를 관장하는 용의 위상 넬타리온이었으나, 고대 신에 의해 타락하여 아제로스를 대격변으로 혼란에 빠뜨린 [[검은용군단]]의 수장 [[데스윙]]이다. 별명은 내는 순간 모든 하수인이 퇴근한다고 해서 데스윙 + 사장인 '''데사장''', 하스스톤 갤러리의 질문글에서 유래한 '''[[http://m.dcinside.com/view.php?id=hearthstone&no=827575&page=1&exception_mode=recommend|임금 잡채]]'''.[* 하스스톤 갤러리의 한 [[유동닉]]이 데스윙의 예전 등장 대사 "난 힘 그 자체다!"를 [[몬더그린|"난... 임금 잡채다!"라고 들은 것]]에서 유래.][* 이후 하스스톤에 업적이 대거 추가됐는데 '전장에서 데스윙으로 첫 플레이/4위 안에 들기/1위 하기' 업적의 이름이 임금 잡채가 되면서 공식 밈이 되었다.] 전투의 함성으로 내 손의 카드를 전부 버림과 동시에 필드의 데스윙을 제외한 하수인들도 피아 구분없이 싹 쓸어버린다.[* 하스스톤 내에서 '''조건 없이''' 필드의 모든 하수인을 처치하는 카드는 데스윙과 흑마법사의 [[흑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s-4.3|뒤틀린 황천]], [[흑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6년#s-1.3.2|파멸!]], [[흑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7년#s-3.3.1|대격변]] 뿐이다. 모티브는 아제로스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대격변으로 추정.] 내 손의 카드를 모두 잃으니 다음 턴에 사용할 전략 따위는 다 포기하고 사실상 최후의 발악으로 내는 하수인으로, 상대의 제압기가 모두 빠졌지만 필드가 꽉 차 있어 압박당하는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이다. 양 쪽 모두 패가 너덜너덜해진, 처절한 상태에서 쓸수록 강해지는 카드이며, 뒤로 갈수록 1턴 드로우해서 1턴 버티는 신세가 되기 쉽고 광역기가 강력하며 제압기가 흔치 않은 [[하스스톤/투기장|투기장]]에서는 최고의 카드 중 하나다. 능력치도 빵빵하고 적의 모든 하수인을 처치하는 건 좋지만 내 하수인과 카드도 다 사라진다는 점은 뼈아프다. 혼자 남게 되니 온갖 제압기의 사냥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나와도 활약하기 쉽지 않다. 특히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s-1.10|정신 지배]]로 빼앗긴다면 항복 눌러야 한다. 그리고 깡능력치로 밀어붙이는 단일 하수인답게 도발에 막힌다는 아주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http://www.playxp.com/sc2/hearthstone/view.php?article_id=5312036&search=1&search_pos=&q=#!2|#]] 특히 들창코나 전사의 딱사붐같이 도발 토큰을 계속 생성하는 하수인은 절대로 혼자 뚫을 수 없다. 또한 2코스트짜리 [[안녕로봇]]은 천상의 보호막 덕분에 혼자서 데스윙을 두 번까지 막아낼 수 있으며, 같은 2코스트인 [[완강한 복족이]]는 독성으로 데스윙을 처치할 수도 있다. 데스윙이 발동되며 처치되는 하수인들이 죽음의 메아리 효과가 있다면 모두 발동된다. 따라서 적에게 강력한 죽메 효과를 가진 하수인이 있다면 내기 전에 고민을 좀 해 봐야 한다. 누군가 조종하는 벌목기에서 파멸의 예언자나 침착한 암살자가 나올 수도 있으며, 특히 '''[[실바나스 윈드러너(하스스톤)|실바나스 윈드러너]]가 상대 필드에 있다면 절대 내보내면 안 된다.''' 실바나스의 죽음의 메아리 효과는 '무작위 적 하수인 하나를 우리 편으로 만든다'인데, 데스윙이 뜨는 순간 필드에는 '''데스윙 혼자만 남게 되므로''' 100% 확률로 데스윙을 뺏긴다. 그리고 다음 턴에 내가 가진 카드는 새로 들어오는 1장뿐… 물론 내 필드에도 실바나스가 있다면 도로 상대 필드로 갔다가 즉시 다시 데려오므로 내도 된다.[* 하지만 오히려 뺏긴다는 것과 하스스톤의 효과 발동 매커니즘을 이용한다면 내 패가 아닌 상대의 패를 다 날려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하스스톤에서 하수인이 필드에 나올 때는 효과 처리 순서가 "소환 시 발동 효과 → 전투의 함성 → 소환 시 발동 비밀" 순으로 진행되는데, 이 때 상대 필드에 실바나스가 있고 다른 하수인의 소환 시 발동 효과로 실바나스가 파괴될 경우 전투의 함성이 발동되기 전에 먼저 실바나스의 효과가 발동된다. 그 때 실바나스가 데스윙을 가져갈 경우 데스윙은 상대의 필드에서 전투의 함성을 발동시켜서 상대의 패가 모조리 날아간다. [[https://www.youtube.com/watch?v=yQqbDdesdH0&feature=youtu.be&t=2m58s|예시 영상]]. 이 경우에는 소환 시 발동 효과 하수인으로 단검 곡예사를 쓴 영상이다. 물론 데스윙을 제거할 수단이 없다면 맞아 죽을 것이고, 애당초 이런 일 자체가 굉장히 희귀하기에 실전에서 볼 일은 없다.] [[파일:데스윙 거울상.png]] 전투의 함성은 비밀보다 먼저 발동되는지라, 상대 비밀이 거울상이라면 데스윙으로 필드 전멸 → 상대 필드에 데스윙 복사가 되어서 양쪽 필드에 데스윙 하나씩만 남는다. 마찬가지로 상대 필드에 미치광이 과학자가 있는 상태에서 데스윙을 내고 과학자가 거울상을 물어왔다면 전투의 함성 → 하수인 사망 → 죽음의 메아리 → 비밀 걸림, 발동의 순서라 데스윙이 복사된다. 도적의 아눕아르 잠복자[* 죽음의 메아리로 무작위 아군 하수인 하나를 내 손으로 되돌림.]가 있는 상태에서 데스윙을 내면 필드, 패가 전멸한 후 내 손에 데스윙이 올라온다.--10코 대격변-- [[파일:external/pbs.twimg.com/CRStmEeUcAA36U-.png]] 반대로 내 필드에 좋은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이 많다면 데스윙 + 다량의 하수인이라는 꿈의 필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탈라그 + 퓨진 + 데스윙''''이라는 말도 안되는 콤보가 존재한다. 이 경우 11/11, 12/12, 11/11의 하수인 세 마리가 튀어나온다. 스니드가 나온 상태에서 데스윙을 냈는데 스니드에서 켈투자드가 나오는 순간 상대 필드 전멸, 내 하수인은 전부 살아난다는 상대 입장에서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한다. 물론 스니드에서 켈투자드가 나올 확률은 정말로 낮아서 보기가 매우 힘들고, 좀 더 현실적인 전략으로는 필드에 켈투자드가 나와있는 상태에서 해자 잠복꾼으로 켈투자드를 잡아먹은 뒤 데스윙을 내보내면 잠복꾼의 죽음의 메아리에 의해 켈투자드가 다시 소환되고, 죽었던 아군 하수인들도 몽땅 다시 살아난다. [[고블린 대 노움]]에서 [[고블린 벌목기(하스스톤)|벌목기 시리즈]]가 많이 등장함에 따라 데스윙을 냈음에도 필드를 풍족하게 채울 수 있게 되었다. 최후의 뒷심카드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내가 유리한 상황에서는 깡뎀으로 밀어붙이고 싶은데 패에서 놀고 있는 상황이 아쉽긴 하다. 이때 데스윙을 잘 사용할 방법은 강제소환 하수인들도 몇명 섞어줘서 데스윙의 전투의 함성을 무력화 시키는 방법도 유용하다. 대표적으로 자기 자신인 [[뉴스윙]]과의 콤보연계가 굉장히 잘 맞는편이다. 물론 둘다 채용하면 덱이 무거워지는건 각오해야 하지만.... 굳이 저런 어려운 콤보를 쓰지 않아도 데스윙이 제대로 쓰일 방법은 있다. 바로 버리기 흑마. 내 손의 카드를 버려도 유일하게 이득을 볼 수 있는 덱타입이 버리기 흑마법사이기 때문. 자락서스의 주먹, 식기골렘, [[대여사제 제클릭]], [[여왕 자바스]] 등 버렸을 때 이득을 볼 수 있는 카드는 많다. 정리하면, 이 카드는 투기장이 아닌 일반 대전에서는 버리기 흑마법사를 제외하면 진지하게 채용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데스윙이 등급전이나 일반전에서 뜰 경우는 보통 무작위로 생성된 경우가 많다. 데스윙은 '''상대의 손에 있는 카드의 수와 덱에 있는 카드의 수가 적을수록''' 활약을 크게 할 확률이 높아진다. 그래서 게임의 후반으로 갈수록 데스윙의 가치는 점점 상승한다. 또한, 상대가 데스윙을 예상하기 쉽지 않다는 점도 한 몫 한다. === 성우 및 대사 === 성우는 [[장광|원작과 동일]]. 원래 담당 성우는 [[이장원(성우)|이장원]]이었는데 2015년 7월 20일 패치로 바뀌었다. [[https://youtu.be/fqWdSCaXrwg?t=1m41s|변경 전 음성]], [[https://www.youtube.com/watch?v=lzGYC1zXEPE|변경 후 음성]]. 왜 한국 서버만 대사가 바뀌었는지는 불명. 대사야 그렇다쳐도, 고대 신의 속삭임에서도 장광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을 보면 데스윙의 성우를 통일하려고 했던 듯하다.[* 실제로도 이후 나온 데스윙의 바리에이션들은 전원 원작 성우인 장광으로 통일됐다.] [[협동전 임무]]에서 같은 성우의 캐릭터이던 [[로리 스완]]을 녹음할 때 덤으로 더빙한 것으로 추정된다. >소환: 나는 데스윙. '''만물의 종결자. 내가 바로 대격변이다!!'''[* WOW에서 데스윙의 '''유언'''. [[데스윙의 광기]]에서 돌마루에 쓰러지며 2페이즈로 넘어갈 때 하는 대사다. --하지만 유언에 걸맞게 씹어먹듯이 낮게 발음한 WOW에서와는 달리 하스스톤에서는 위엄넘치듯 내지르는 목소리로 바뀌었다.-- WOW에서도 패기넘치는 음성이었다. [[https://youtu.be/bE_J7HPRMJw?t=98|데스윙 WOW 음성]](다만 저 대사할 당시의 상황을 생각하면 취소선이 이해가 된다.) 공격 대사는 전투 시작 시의 대사. [[https://www.youtube.com/watch?v=bE_J7HPRMJw&feature=youtu.be&t=114|데스윙의 광기 전투시작]].] >공격: '''이 세상을 조각 내 주마!'''[* 데스윙의 광기 던전 진입시 외치는 대사. 은근히 듣기 힘든 대사인데, 데스윙이 등판하는 후반 시점에선 데스윙으로 인한 필드 클리어와 12/12라는 강력한 능력치로 인해 항복을 받아내던지, 손의 카드를 전부 버린 사용자가 주로 [[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s-4.4|주문 카드에 명치를 맞고]] 죽던지, 양이 되든지 개구리가 되는 일이 많기 때문. --[[성기사(하스스톤)|법규를 준수하게 된다던지]]-- --[[도적(하스스톤)|식인꽃에 통째로 먹히던지]]-- --[[사제(하스스톤)|정신을 지배당해 소환한 주인을 배신하던지]]--] <음성 변경 전> >소환: 나는 힘, 그 자체다! ''(I am power, incarnate!)'' >공격: 모두 불타리라! ''(All will burn!)'' === 기타 === 핸드폰 하스스톤 투기장에서 데스윙을 고르면 간혹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earthstone&no=834118&exception_mode=recommend|골라야 할 카드가 전부 없어지는]] 버그도 터지는 모양. --전투의 함성-- 이럴때는 당황하지 말고 컴퓨터 하스스톤으로 접속해서 계속 카드를 고르자. 모험모드 검은바위 산의 네파리안을 상대로 데스윙을 내면 네파리안이 '''아..아빠?'''라면서 당황한다.[[https://youtu.be/ZmS6Z492XPI?t=29s|영상]] [[알렉스트라자(하스스톤)|다른 용의]] [[이세라(하스스톤)|위상들이]] [[말리고스(하스스톤)|공체합 16을]] [[노즈도르무(하스스톤)|찍을 때]] 데스윙은 혼자서 공체합 '''24'''를 찍고 있다. 게다가 다른 용의 위상들이 공격력 4 또는 8, 체력은 8 또는 12인데 혼자서 12/12를 찍고 있어서 다른 위상들을 한방에 죽일 수 있고, 일반적인 교환 외에도 전투의 함성으로 쓸어버릴 수도 있다. 원작에서 데스윙의 강함을 알 수 있는 부분. 하지만 독성에는 얄짤없이 컷 당하기 때문에 저렴한 도발 독성 하수인인 완강한 복족이의 하위호환이라는 농담도 듣는다. [youtube(fJxC7ERUPOs)] 2017년 6월 2일 패치에 소환 이팩트가 새로 생겼다. 데스윙이 하늘에서 전장을 향해 불길을 뿜은 후 불을 휘감으며 내려앉는다. 그리고 카드들이 버려질 때도 그냥 사라지는 것이 아닌, 불에 타 재가 되어 사라지는 연출로 바뀐다. 상황을 자주 타는 이 카드가 유용한지 안유용한지를 떠나서 모든걸 강렬하게 전부 없애버리는 연출은 그야말로 나와 상대가 동시에 경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하스스톤 단편 애니메이션: 하스스톤에 어서 와에 [[https://youtu.be/_SPPh5ugFlg?t=4m50s|굉장히 귀엽게 데포르메된 모습]]으로 전투의 함성 효과로 하수인들을 모두 처리하면서 등장했다. 달라란 침공에서 사용가능한 흑마법사 영웅 테칸을 통해 데스윙이 간간히 언급된다. 이를 통해 [[돌 마이너 갤러리]]에서 다음 확장팩의 내용을 유추해낸 글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ebble&no=3472520&exception_mode=recommend&s_type=search_all&s_keyword=%ED%85%8C%EC%B9%B8&page=1|있다]]. == [[용족의 군주 데스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용족의 군주 데스윙)] == [[광기의 위상 데스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광기의 위상 데스윙)] == [[파괴자 데스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파괴자 데스윙)] == 관련 문서 == * [[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전설 등급]] * [[하스스톤/카드일람/고대 신의 속삭임/전설 등급]] *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9년]] * [[하스스톤/카드일람/핵심/2021년/전설 등급]] * [[데스윙]] * [[하스스톤/전장/우두머리#데스윙|데스윙(하스스톤 전장)]]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전설 등급, version=498)] [[분류:하스스톤/카드/용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