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완간 미드나이트에 등장하는 차량, rd1=악마의 Z)]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Decepticon_Mark.png|width=50]] }}} || ||<-2> [[파일:블랙자락 로봇.jpg|width=100%]] || ||<-2> '''{{{#fff {{{+1 데빌 Z / 블랙자락}}} [br] Devil Z / デビルZ [br] BlackZarak / ブラックザラック}}}''' || || '''{{{#fff 알트 모드}}}''' ||요새, 전갈형 전함 || || '''{{{#fff 소속}}}''' ||[[디셉티콘|데스트론]] || || '''{{{#fff 성우}}}'''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시바타 히데카츠]] & [[긴가 반조]](마스터포스) [br] [[키시노 유키마사]] (존) || [목차] == 개요 == [[파일:블랙자락.jpg]] [[트랜스포머 초신 마스터포스]]의 '''[[메인 빌런]]'''. 별칭은 '''[[드라이어스|암흑의 총통&암흑대제]]'''로 디셉티콘을 막후에서 주도한 '''작품 내 모든 스토리의 [[흑막]]이다.''' 실체가 없는 원형의 구체 형태이며 디셉티콘의 모든 구성원이 섬기고 있는 '''[[우주적 존재|절대적인 존재]]'''이다. [[우주정복|전 우주를 모두 지배]]하려는 사악한 야심을 품고 있으며 목소리로 디셉티콘 일당들에게 지령을 내린다. 그 정체가 작 중 수수께끼와 베일에 싸여 있어 알 수 있는 정보가 없는 정체불명의 존재. 중반부에 전작 더 헤드마스터즈의 [[최종보스]]였던 [[스콜포녹(G1)|메가 자락]]의 트랜스텍터를 블랙 자락으로 부활시키기도 하였고 종반부에는 블랙자락과 융합함으로서 완전체로 거듭나게 되었다. 허나 그는 기본적으로 '''부하를 장기말정도로 취급한 [[폭군]] 그 자체'''이어서 종반부에서는 결과적으로 ([[팀킬하는 보스|그의 잔혹성]]을 보고 상당히 실망한)[[오버로드(마스터포스)|오버로드]]를 비롯한 [[자업자득|부하들의 반역을 초래했고]] 결국 [[갓마스터|마스터브레스]]로 위시한 인간을 비롯한 모든 우주의 생명체의 잠재력을 악용하려던 그는 사실 상 그의 창조물 내지 실험체 중 하나인 진라이의 초혼 파워에 의해 최후를 맞이하는 [[인과응보]](혹은 [[자승자박]])적인 결말을 맞이했다. == 트랜스텍터 == === 블랙자락 === [[파일:attachment/Blackzarak_1.jpg]] '''데빌 Z의 전용 트랜스텍터'''(비밀 병기)로[* 헤드마스터라고 표기된 문헌도 있으나 일단 작중에서는 헤드온을 하지 않는다. 변신 구호도 그냥 '''빅 트랜스폼'''. 이후 발간된 설정집에는 헤드 부분은 더미이며 헤드마스터가 들어갈 부분이 텅 비어있는 가면이라고 한다.]으로 종반부 이전까지만 해도 데빌 Z 본인이 원격 조종하고 있었다. 본래는 전작 진 최종 보스였던 스콜포녹(메가자락)이었으며[* 헤드마스터인 스콜포녹(자락)이 트랜스텍터를 놔두고 도망쳤으므로 블랙자락의 베이스는 헤드마스터가 아니라 트랜스텍터인 셈이다.] 육탄전을 벌이던 전작과는 달리 타이런트 스피어 라는 무장이 추가되었다. [[파일:attachment/Blackzarak_dakatsu_mode_1.jpg]] 종반부에는 데빌 Z에 의해 융합되어 데빌 Z의 완전체로 거듭났으나[* 본편에서 데빌 Z는 [[심장원종|이 형태를 본인의 진정한 모습]]이라고 칭했다. 데빌 Z가 처음부터 본인의 육신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부활시켰으며 [[파리앗쵸|그동안도 인격이 없이 원격 조종되고 있었다. 융합 전도 사실상 데빌 Z의 의지대로 말하던 것.]] 작중 데빌 Z가 블랙자락에게도 명령을 내리듯이 말하는 장면이 있는데 어떻게 보면 연기인 셈이다.] 최종화에서 갓 진라이에 의해 패배하여[* 이 때 캐논포도 뜯기고 전갈상태의 다리도 뜯기고 자신의 무장에 당하는 등(...) 여러 추태를 보이기도 했다.] 데빌 Z가 (진라이에 의해)자신의 육체에서 분리되어 나오면서 기능정지하였다.[* 애초부터 생명이 없는 상태였으므로 사망은 아니다.][* 이때 이 과정에서 부품의 일부가 되어버린 스콜포녹이 블랙홀로 빨려들어가 어떻게 용케 살아남았는데 이후 레전즈에서는 블랙자락 완구 부속 컬러(금색 몸체에 검은색 팔다리)의 형태로 스콜포녹이 다시 등장하였다.] [[파일:attachment/ZarakZone1_1.jpg]] 이후 [[트랜스포머 존|후속작]]에서는 디셉티콘의 9대 마장군 일원으로 여기서는 [[바이올렌 자이거]]의 부하로 나왔다. 단 데빌 Z 소멸 후 형성된 트랜스텍터 자체적인 인격인지 데빌 Z 본인의 인격인지는 밝혀지지 않는다. 오른팔은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고 안대를 쓰고 있는 것으로 보아 모티브는 [[후크 선장]]인듯 하다. === 마인 자락 === == 친위대 가드마인더 == [[파일:가드마인더.jpg]] 성우는 '''[[사토 마사하루]]'''(리더)&[[카케가와 히로히코]](전투원)로 데빌Z의 친위대이다 금색 보디의 리더를 필두로 회색의 보디의 양산 타입이 수십구도 있다. 완구자체는 [[스콜포녹(G1)|스콜포녹]]의 부속품 패스트트랙의 색놀이판이라고 한다. == 완구 == [[파일:external/tfwiki.net/Blackzarak_toy.jpg]] [[스콜포녹(G1)|스콜포녹]] 완구의 컬러링을 검은색과 금색으로 바꾸고 머리조형을 바꾼 제품. 무기는 타이런트 스피어가 추가되었다. 원본 스콜포녹과 달리 미국에는 아예 발매되지 않은데다가 복각도 단 한번도 되지 않아 현재에는 엄청난 고가를 자랑한다. ===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워 포 사이버트론: 어스라이즈]] === * '''WFC-E35 디럭스 클래스 패스트트랙''' [[파일:WFC 어스라이즈 디럭스 패스트트랙.jpg]] === [[제네레이션 셀렉츠]] === * '''WFC-GS22 디럭스 클래스 블랙로리치''' [[파일:GS21_블랙로리치.jpg]] 패스트트랙의 리툴및 리데코 제품으로, 얼굴 조형이 바뀌었다. * '''타이탄 클래스 블랙 자락''' [[파일:800px-TF-Generations-Selects-Black-Zarak.jpg]] 어스라이즈 스콜포녹의 금형일부를 변경한 리툴 제품으로, 2022년 1분기에 발매되었다. 헤드마스터는 안대를 끼고 있는데 존에 나온 모습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 [[비스트 워즈 세컨드]] 극장판에 나오는 마진 자락은 사실 데빌 Z가 생전에 만든 새로운 트랜스텍터라고 한다. * 의외로 작 중 행적을 고려하면 대부분 다른 창작물의 [[메인 빌런]]인 [[드라이어스]]나 [[오보스]], [[그리머(아머드 사우루스)|그리머]]와 닮은 구석이 있다. == 관련 문서 == * [[오버로드(마스터포스)|오버로드]] * [[다크윙즈]] * [[시콘즈]] * [[스콜포녹(G1)]] * [[식스 일족]] == 둘러보기 == [include(틀:마스터포스 디셉티콘)] [[분류:트랜스포머 제네레이션 1/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