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릭 로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개막전 선발 투수)] ---- [include(틀:애틀랜타 브레이브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데릭 로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BOS_2004_WSChampion.gif|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04년 월드 시리즈|{{{#ffffff 2004}}}]]''' || ---- [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 ---- ||<-5> '''{{{#C4CED4 [[시애틀 매리너스|{{{#C4CED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36번}}}''' || || 크리스 위저[br](1995~1996) || {{{+1 →}}} || '''{{{#FFFFFF 데릭 로우[br](1997)}}}''' || {{{+1 →}}} || 호세 파니아과[br](2000~2001)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43번}}}''' || || 리키 트리섹[br](1997) || {{{+1 →}}} || '''{{{#FFFFFF 데릭 로우[br](1997)}}}''' || {{{+1 →}}} || [[데니스 에커슬리]][br](1998)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32번}}}''' || || 크리스 해먼드[br](1997) || {{{+1 →}}} || '''{{{#FFFFFF 데릭 로우[br](1998~2004)}}}''' || {{{+1 →}}} || 제레미 곤잘레스[br](2005)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23번}}}''' || || [[로빈 벤추라]][br](2003~2004) || {{{+1 →}}} || '''{{{#005A9C 데릭 로우[br](2005~2008)}}}''' || {{{+1 →}}} || 케이시 블레이크[br](2009~2011)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32번}}}''' || || [[마이크 햄튼]][br](2003~2005, 2008) || {{{+1 →}}} || '''{{{#FFFFFF 데릭 로우[br](2009~2011)}}}''' || {{{+1 →}}} || 채드 더빈[br](2012) || ||<-5> '''{{{#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26번}}}''' || || 오스틴 컨스[br](2010~2011) || {{{+1 →}}} || '''{{{#FFFFFF 데릭 로우[br](2012)}}}''' || {{{+1 →}}} || [[스캇 카즈미어]][br](2013) || ||<-5> '''{{{#FFFFFF [[뉴욕 양키스|{{{#FFF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34번}}}''' || || [[A.J. 버넷]][br](2009~2011) || {{{+1 →}}} || '''{{{#132448 데릭 로우[br](2012)}}}''' || {{{+1 →}}} || 짐 밀러[br](2013)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55번}}}''' || || [[로스 울프]][br](2013) || {{{+1 →}}} || '''{{{#FFFFFF 데릭 로우[br](2013)}}}''' || {{{+1 →}}} || 로만 멘데스[br](2014~2015)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rek_Lowe_Red_Sox.webp|width=100%]]}}} || ||<-2> '''{{{+2 데릭 크리스토퍼 로우}}}[br]Derek Christopher Lowe''' || || '''생년월일''' ||[[1973년]] [[6월 1일]] ([age(1973-06-01)]세)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 || '''출신지''' ||[[미시간|미시간 주]] 디어본 || || '''출신학교''' ||포드 고등학교 || || '''신체조건''' ||198cm / 104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91년 드래프트 8라운드 전체 214번 ([[시애틀 매리너스|SEA]]) || ||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 (1997) [br]'''[[보스턴 레드삭스]] (1997~2004) [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05~2008)''' [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09~2011) [br][[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12) [br][[뉴욕 양키스]] (2012) [br][[텍사스 레인저스]] (2013) || || '''기록''' ||'''Pitched a No-Hitter (2002.4.27)'''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한 우완 투수이자 메이저를 대표하는 싱커볼러[*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선발 투수들 중에서 로우와 같이 메이저를 대표하는 싱커볼러였던 [[브랜든 웹]] 다음으로 높은 그라운드볼 비율을 기록했다. ]로, 마무리 투수에서 선발 투수 전환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는 선수다. == 선수 경력 == === [[보스턴 레드삭스]] ===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1년 드래프트에서 8라운드 전체 214순위로 [[시애틀 매리너스]]에게 지명받았지만 1997년 데뷔하자마자 [[제이슨 배리텍]]과 함께 보스턴 레드삭스로 트레이드되었고, 보스턴에서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며 2000년에는 42세이브로 세이브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후 2002년부터 선발 투수로 보직을 전환하며 첫해부터 32경기 219.2이닝 21승 8패 ERA 2.58 127탈삼진이라는 훌륭한 활약을 보여주면서 [[매니 라미레즈]], [[페드로 마르티네스]]와 함께 팀을 이끌어 나갔고, 포스트 시즌마다 큰 활약을 선보였는데, 정규 시즌에 5점대 ERA로 부진해 기대를 접고 있던 2004년에도 [[2004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ALCS]]에서 의외의 활약을 보여주며 월드 시리즈에서도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월드시리즈에서도 4차전에 선발등판해 7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004년 종료 후 보스턴이 재계약을 오퍼하지 않았고, 결국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4년 $36M으로 계약하며 팀을 옮겼다. 다저스에서도 선발 로테이션을 꾸준히 지키며 4년동안 137경기 850.1이닝 54승 48패 ERA 3.59 563탈삼진으로 준수한 활약을 펼치며 매우 좋은 계약이라 호평받았다. === [[애틀란타 브레이브스]] === 2009년에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4년 $60M이라는 초대박 계약에 성공했고,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경기에 [[펜웨이 파크]]로 돌아가 기립박수를 받는 명장면도 연출했지만 계약이 시작되자마자 로우는 먹튀 기미를 보이기 시작했는데, 구속이 저하되며 싱킹 무브먼트도 떨어지고 대안으로 장착한 커터 역시 첫해부터 말을 듣지 않으며 삼진이 급감해 리그 최다 피안타를 기록하는 등 승수를 제외하면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2010년에도 연봉에 비해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고, 이런 페이스가 2011년에도 이어져 10년 연속 10승 도전에 실패하며 17패로 리그 최다패를 기록하며 결과적으로 먹튀가 되었다.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결국 2011년 이후에는 좋은 선발 투수 유망주들이 많은 애틀랜타 팜의 사정상 트레이드가 결정되었고,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이적하며 클리블랜드는 리그 최고의 [[http://www.fangraphs.com/fantasy/index.php/ground-balls-aplenty-in-cleveland/|그라운드볼러 로테이션]]을 지니게 되었다. 애틀랜타에서는 대체로 노쇠화도 있었지만 [[댄 어글라]]와 [[치퍼 존스]]라는 터널 때문인지 수비의 도움을 제대로 받지 못한 측면도 있다는 점에서 대체로 리바운딩을 기대할 만하다는 평이다.[* 다만 클리블랜드의 수비진도 평가가 좋지 않은데, 2011년 클리블랜드 내야진의 UZR은 1루수는 -9.8, 2루수는 -19.8, 유격수는 -13.6, 3루수는 9.1로 3루수 [[잭 한나한]]을 제외하면 처참한 수준이고, [[런 세이브#s-3|DRS]]에서도 1루수는 -7, 2루수는 -8, 유격수는 -5, 3루수는 8이다. ] 초반에는 9경기 58.2이닝 6승 2패 ERA 2.15 15탈삼진을 기록하며 선전하다가 5월 26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경기에서 2.1이닝 8실점 3탈삼진으로 부진한 뒤 페이스가 급격히 떨어졌고, 이후 12경기 60.1이닝 2승 8패 ERA 8.80 26탈삼진을 기록하며 나락으로 떨어졌고, 결국 7월이 지나자 지명할당 조치가 내려지고 말았다. === [[뉴욕 양키스]] === 2012년 8월 뉴욕 양키스와 계약을 맺었는데, [[보스턴 레드삭스]]로의 복귀 가능성도 점쳐졌던지라 보스턴 팬덤에서는 실망하는 의견도 많았지만 커리어를 이어나가는 측면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클리블랜드에서와는 달리 불펜으로 활약하며 준수한 활약을 보여줘 시즌이 종료될 때까지 양키스 소속으로 있었다. === [[텍사스 레인저스]] === 2013년에 텍사스 레인저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고 스프링 트레이닝에 합류해 이후 개막 로스터에 진입했지만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며 방출당했고, 결국 은퇴를 선언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9마일싱킹.gif|width=100%]]}}}|| ||<#bd3039> '''89mph [[싱커볼|싱커]]'''[* 경기는 [[2003 ALDS]] 5차전. 로우가 오클랜드 외야수 테런스 롱을 루킹 삼진으로 잡아내며 [[보스턴 레드삭스|레드삭스]]는 [[2003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챔피언십 시리즈]]로 진출하게 된다. ] || == 연도별 성적 == ||<-18>
{{{#FFFFFF 역대 기록}}} || || {{{#C4CED4 연도}}} || {{{#C4CED4 소속팀}}} || {{{#C4CED4 경기수}}} || {{{#C4CED4 승}}} || {{{#C4CED4 패}}} || {{{#C4CED4 세}}} || {{{#C4CED4 홀}}} || {{{#C4CED4 이닝}}} || {{{#C4CED4 ERA}}} || {{{#C4CED4 피안타}}} || {{{#C4CED4 피홈런}}} || {{{#C4CED4 볼넷}}} || {{{#C4CED4 사구}}} || {{{#C4CED4 탈삼진}}} || {{{#C4CED4 WHIP}}} || {{{#C4CED4 ERA+}}} || {{{#C4CED4 fWAR}}} || {{{#C4CED4 bWAR}}} || || 1997 || [[시애틀 매리너스|SEA]] || 12 || 2 || 4 || 0 || 0 || 53 || 6. 96 || 59 || 11 || 20 || 2 || 39 || 1.491 || 65 || 0.0 || -0.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이닝}}}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FFFFFF ERA+}}} || {{{#FFFFFF fWAR}}} || {{{#FFFFFF bWAR}}} || || 1997 || [[보스턴 레드삭스|BOS]] || 8 || 0 || 2 || 0 || 1 || 16 || 3.38 || 15 || 0 || 3 || 2 || 13 || 1.125 || 141 || 0.4 || 0.3 || ||<-2> 1997 시즌 합계 || 20 || 2 || 6 || 0 || 1 || 69 || 6.13 || 74 || 11 || 23 || 4 || 52 || 1.406 || 75 || 0.4 || -0.5 || || 1998 ||<|7> [[보스턴 레드삭스|BOS]] || 63 || 3 || 9 || 4 || 12 || 123 || 4.02 || 126 || 5 || 42 || 4 || 77 || 1.366 || 117 || 2.4 || 0.6 || || 1999 || 74 || 6 || 3 || 15 || 22 || 109⅓ || 2.63 || 84 || 7 || 25 || 4 || 80 || 0.997 || 191 || 2.2 || 3.5 || || 2000 || 74 || 4 || 4 || '''42''' || 0 || 91⅓ || 2.56 || 90 || 6 || 22 || 2 || 79 || 1.226 || 199 || 2.3 || 3.5 || || 2001 || 67 || 5 || 10 || 24 || 4 || 91⅔ || 3.53 || 103 || 7 || 29 || 5 || 82 || 1.440 || 127 || 1.6 || 2.2 || || 2002 || 32 || 21 || 8 || 0 || 0 || 219⅔ || 2.58 || 166 || 12 || 48 || 12 || 127 || 0.974 || 177 || 4.7 || 7.3 || || 2003 || 33 || 17 || 7 || 0 || 0 || 203⅓ || 4.47 || 216 || 17 || 72 || 11 || 110 || 1.416 || 105 || 2.3 || 2.7 || || 2004 || 33 || 14 || 12 || 0 || 0 || 182⅔ || 5.42 || 224 || 15 || 71 || 8 || 105 || 1.615 || 89 || 2.3 || -0.7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이닝}}}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FFFFFF ERA+}}} || {{{#FFFFFF fWAR}}} || {{{#FFFFFF bWAR}}} || || 2005 ||<|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35 || 12 || 15 || 0 || 0 || 222 || 3.61 || 223 || 28 || 55 || 5 || 146 || 1.252 || 114 || 2.8 || 1.7 || || 2006 || 35 || '''16''' || 8 || 0 || 0 || 218 || 3.63 || 221 || 14 || 55 || 5 || 123 || 1.266 || 124 || 4.3 || 4.5 || || 2007 || 33 || 12 || 14 || 0 || 1 || 199⅓ || 3.88 || 194 || 20 || 59 || 1 || 147 || 1.269 || 114 || 3.0 || 2.3 || || 2008 || 34 || 14 || 11 || 0 || 0 || 211 || 3.24 || 194 || 14 || 45 || 1 || 147 || 1.133 || 129 || 4.2 || 4.5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이닝}}}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FFFFFF ERA+}}} || {{{#FFFFFF fWAR}}} || {{{#FFFFFF bWAR}}} || || 2009 ||<|3>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34 || 15 || 10 || 0 || 0 || 194⅔ || 4.67 || '''242''' || 16 || 63 || 4 || 111 || 1.414 || 89 || 2.4 || 1.4 || || 2010 || 33 || 16 || 12 || 0 || 0 || 193⅔ || 4.00 || 204 || 18 || 61 || 4 || 136 || 1.368 || 98 || 2.1 || 2.2 || || 2011 || 34 || 9 || '''17''' || 0 || 0 || 187 || 5.05 || 212 || 14 || 70 || 3 || 137 || 1.508 || 76 || 1.9 || -0.5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이닝}}}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FFFFFF ERA+}}} || {{{#FFFFFF fWAR}}} || {{{#FFFFFF bWAR}}} || || 2012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CLE]] || 21 || 8 || 10 || 0 || 0 || 119 || 5.52 || 156 || 8 || 45 || 3 || 41 || 1.689 || 71 || 1.2 || -0.4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이닝}}}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FFFFFF ERA+}}} || {{{#FFFFFF fWAR}}} || {{{#FFFFFF bWAR}}} || || 2012 || [[뉴욕 양키스|NYY]] || 17 || 1 || 1 || 1 || 1 || 23⅔ || 3.04 || 24 || 2 || 6 || 0 || 14 || 1.268 || 141 || 0.1 || 0.4 || ||<-2> 2012 시즌 합계 || 38 || 9 || 11 || 1 || 1 || 142⅔ || 5.11 || 88 || 10 || 51 || 3 || 55 || 1.619 || 77 || 1.4 || 0.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이닝}}}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FFFFFF ERA+}}} || {{{#FFFFFF fWAR}}} || {{{#FFFFFF bWAR}}} || || 2013 || [[텍사스 레인저스|TEX]] || 9 || 1 || 0 || 0 || 1 || 13 || 9.00 || 16 || 3 || 3 || 2 || 8 || 1.462 || 47 || -0.2 || -0.5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7시즌) || 681 || 176 || 157 || 86 || 42 || 2671⅓ || 4.03 || 2759 || 217 || 794 || 78 || 1772 || 1.330 || 109 || 40.2 || 34.3 || == 기타 == * 과거 피부암 투병 경력이 있다.[* [[피부암#s-3|편평세포암]]에 걸렸었다고 한다. ] * 2011년 시즌 중반에 음주운전이 적발되며 [[미겔 카브레라]], [[추신수]]와 함께 충격을 선사했다. * [[성인ADHD]] 진단을 받아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데, 복용하는 약물인 [[애더럴]]의 성분에는 메이저에서 금지 약물로 지정된 각성제 [[암페타민]]이 포함되어있다. 이 때문에 로우는 메이저 사무국에 복용 전 의사 진단서와 함께 신고를 했고, 사무국에서는 정상 참작을 하여 애더럴 복용에 대해 [[http://sports.espn.go.com/mlb/news/story?id=2397789|특별 허가]]를 내줬다고 한다. 이 때문에 금지 약물 복용자 잡아내는데 혈안이 된 팬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비난을 받지 않았다.[* 이걸 허가를 못 받고 복용하다가 약쟁이로 취급받던 선수가 바로 [[크리스 데이비스]]가 있는데, 애더럴 적발 이후에는 약쟁이라며 무수한 조롱을 받았지만 몇 년 후 처참하게 몰락하는 과정에서 정말로 ADHD였음이 밝혀지며 재평가받게 된다. 사실 그럴 만도 한게 ADHD라는 이유로 저 약을 처방받아 합법적으로 암페타민 복용을 하려는 선수들이 꽤 있기 때문이다. 이 중 상당수가 가짜 ADHD 환자이고, 크데도 이런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것이다. 물론 몰락 이후에는 아무도 그를 약쟁이라고 하지 않는다. ] * 하지만 이런 개인사와는 별개로 몸 자체는 단단해 [[리반 에르난데스]]와 함께 단 2명뿐이었던 '''13년 이상 부상자 명단에 들지 않고 활약한 현역 선수'''였다. [[싱커]]가 일반적으로 부상 위험이 큰 구질로 알려졌지만 로우는 메이저에서도 손꼽히는 내구성을 보여준 이닝 이터이자 고무팔이었다. * [[김형준(기자)|김형준]] 기자가 기자 초창기에 자신이 쓴 기사 중 이 선수의 이름(Lowe)을 편집자가 [[외래어 표기법]]상 데릭 로'''위'''로 써야 한다며 수정해서 답답했던 기억이 있다고 한다. 이에 현지에서 실제로 읽는 발음이 로우인데 무슨 소리냐고 말해도 규정이 그렇다며 요지부동이라 속이 터졌다고 한다.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자격 첫해인 2019년에 한표도 얻지 못하고 곧바로 광탈당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디어본 출신 인물]][[분류:1973년 출생]][[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시애틀 매리너스/은퇴, 이적]][[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은퇴, 이적]][[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MLB 다승왕]][[분류:1997년 데뷔]][[분류:2013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