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 기술, 풀=, 물리=, 파일=덩굴채찍.png , 한칭=덩굴채찍, 일칭=つるのムチ, 영칭=Vine Whip, 위력=45, 명중=100, PP=25, 효과=채찍처럼 휘어지는 가늘고 긴 덩굴로 상대를 힘껏 쳐서 공격한다., 변경점=4세대: 10 → 15 PP 증가, 변경점2=6세대: 15 → 25 PP 증가\, 35 → 45 위력 증가, 성질=접촉)] [목차] == 개요 ==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스터/기술|기술]]. 많이들 덩'''쿨'''채찍으로 알고 있는데, 틀린 기술명이다. 국어사전을에도 '덩쿨'이 아닌 [[덩굴|덩'''굴''']][* 또는 '''넝'''쿨]이 맞는 맞춤법이라고 나온다. 하지만 [[덩쿠림보|덩쿠리와 덩쿠림보]][* 사실 이 경우 덩굴 + 넝쿨일 가능성도 있다.]는 4세대에 와서도 지켜지지 않았다. [[불꽃세례]], [[물대포]]과 함께 스타팅 육성용 기술 3인방 중 하나. 예전에는 불꽃세례, [[전기쇼크]]와 달리 [[쪼기#포켓몬스터의 기술]]와 위력이 같은 35였다. 풀 타입 홀대가 그대로 드러났던 기술인데, 다른 타입 기술들은 위력 40이었기 때문이다. 불꽃세례나 거품처럼 부가 효과[* 불꽃세례에는 10%의 확률로 화상, 거품에는 10%의 확률로 속도 1랭크 다운의 효과가 있다.]가 붙어 있는 것도 아니고, 위력도 특별할 것 없는 주제에 PP는 고작 10이고,[* 분명히 상위 기술인 [[잎날가르기]]가 1세대부터 PP가 25였기에, 둘의 PP가 바뀐 게 아닌가 하는 말도 있었다.] 4세대부터는 PP가 조금 늘었지만, 그래봤자 15다.[* 이 기술 외에도 대부분의 풀 타입 기술은 위력과 PP가 적다. 4세대 와서 범용성 좋은 기술이라고 추가된 게 위력 80짜리 [[에너지볼]]이다.] 다른 원소계 초반용 기술들과 달리 이건 4세대에서 물리기가 되었다. 그래서인지 결국 풀 타입은 특수형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불꽃세례, [[물대포(포켓몬스터)|물대포]]와 달리, 초반에 덩굴채찍을 배우는 포켓몬이 얼마 되질 않는다. 심지어는 최초의 물리형 풀 스타팅 [[모부기]]마저도 못 배운다. 애니메이션에서 [[한지우]]와 [[나진(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나진]]의 [[치코리타]]가 주요 공격기로 쓰는데, 사실 유전기로만 배울 수 있다(...) 6세대에서 그동안의 홀대를 보상이라도 하려는 건지 위력이 45로 증가하였고,[* 다른 기본기가 부가 효과가 있는 걸 생각하면 원래 이게 당연한 거다.] PP도 동일하게 25로 증가하였다. 7세대에서는 비슷한 기술로 [[나뭇잎(포켓몬스터)|나뭇잎]]이 새로 등장하였다. == 여담 == [[파일:Honeycam 2016-08-20 17-21-18.gif]] [[파일:Honeycam 2016-08-20 17-07-12.gif]] 게임에서는 그냥 단순 공격기인데 반해, 애니메이션에서는 [[허밋 퍼플|덩굴이라는 것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상황에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언덕을 오르거나, 계곡을 건너거나, [[자물쇠]]를 따는 등 게임상으로 따지자면 [[비전머신]] 수준으로 편리하게 사용된다. 특히 지우의 [[이상해씨]]가 이걸로 누구를 구해주거나, 함정을 탈출하게 해주는 등 수많은 활약을 해 줬다. 이상해씨같이 손이 없는 포켓몬들은 이걸 손 대신 쓰기도 한다. 또한 외전 [[포켓몬 퀘스트]]의 1티어 기술이다. 세계 신기록도 덩굴채찍 우츠동으로 세웠다. [[포켓몬 GO]]에서는 위력 7의 노말 어택으로 같은 풀 타입 노말 어택인 잎날가르기의 절반 정도로 약하지만 에너지 수급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서 pvp에서 쓰는 포켓몬들이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주] [[분류:포켓몬스터/풀타입 기술]][[분류:포켓몬스터/물리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