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공동주택)] || [[파일:33AE7602-9F27-408A-91DE-342F9470D94A.png]][[파일:6586FD45-5800-4408-8439-B0AE52534040.png]] || ||<-2> [[청구지벤|[[파일:청구지벤 BI.svg|width=4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덕포 청구아파트, 너비=100%)]}}} || || '''명칭''' || ''' 덕포 청구아파트''' || || '''영문 명칭''' || Deokpo Chonggu Apt. || || '''종류''' || [[아파트]] || || '''주소''' ||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700번길 23 (덕포동) || || '''지번 주소'''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부산)|덕포동]] 58 || || '''착공''' || [[1996년]] [[5월 16일]][* 건축물대장 확인] || || '''입주''' || 2000년 10월 || || '''동수''' || 4개동 || || '''층수''' || 지하 1~4층, 지상 13~24층 || || '''높이''' || 최고 66.19m || || '''세대수''' || 432세대 || || '''면적''' || 80㎡, 91㎡, 109㎡, 125㎡ || || '''시공사''' || [[청구(기업)|[[파일:청구 로고.svg|width=120]]]] || || '''주차대수''' || 479대(세대당 1.1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부산)|덕포동]]에 위치한 [[아파트]]이다. == 연혁 == [[청구(기업)|청구]]에서 [[부산광역시|부산]]에 진출한 후 3번째로 건설한 아파트이다.[* 참고로 청구가 부산에 최초로 건설한 단지는 하단청구아파트, 2번째는 [[연지청구 1차]]이다.] [[1996년]] [[5월 27일]]부터 3일간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960527100082|우선순위에 한해서]]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960520100080|분양이 이루어졌고]]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19960603.01016173005|그 후에도 미분양 세대의]]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19970218.01011239622|분양이]]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970218000288|이루어졌다.]] 아파트의 건축허가일자는 [[1996년]] [[4월 24일]]이고 당해 5월에 아파트 공사착공을 하여 [[2000년]] [[10월]] 초에 임시사용승인을 받아 최초 입주가 이루어졌다. [[2001년]] [[1월 20일]]에 준공승인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정식사용승인이 이루어졌다. [[2012년]] [[11월]]에 아파트 외장 재도색과 엘리베이터 내장재 리모델링이 이루어졌다.[* 인근 아파트단지 건설로 인한 보상금과 장기수선충당금을 합쳐서 진행됐다.] == 특징 == 80㎡(구 24평), 91㎡(구 28평), 109㎡(구 33평) 및 125㎡(구 38평) 중•소형평수로 이루어진 아파트이다. 총 432세대 중 24평형은 185세대, 28평형은 22세대, 33평형은 177세대, 38평형은 48세대로 구성되어 있다.[* 38평은 남향을 바라보는 안방 이외의 작은 방이 실내앞마당으로 설계됐으나 대다수의 세대는 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960318100092|#]][[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960527100082|#]]] 28평형의 경우 102동의 8라인 세대만 해당이 되고 102동의 1 ~ 7라인과 104동은 24평형이다. [[엘리베이터]]는 [[오티스 엘리베이터]]의 13인승 모델 10대가 설치되어 있다. 난방방식은 개별난방 방식이고 도시가스를 사용한다. 각 동 출입의 경우, 입주 초기([[2000년]]~[[2001년]])에는 중앙 현관에 있는 로비폰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출입하였지만, [[2000년대]] 중반 들어서는 로비폰 비밀번호 잠금장치의 작동을 사실상 방치시켜 놓고 자동문을 개방하여 이용하는 상태였다가 [[2011년]] [[11월]]말에 중앙현관 자동문의 작동버튼을 새로 설치하여 현재까지 운영중에 있다. === 주차 === 총 주차대수는 479대로 지상 121대, 지하 358대까지 주차가 가능하고[* 층별 주차가능대수: 지하 1층 67대, 지하 2층 85대, 지하 3층 및 지하 4층 81대, 주차장 건물 1층 23대, 주차장 건물 2층 21대, 총 358대.] 세대당 주차가능대수는 1.1대이다. 지하주차장은 101동의 5•6호와 7•8호 출입구 사이의 앞에 2층건물 형식으로[* 내부 계단을 통해 각종 설비실로 출입할 수 있다.], 103동과 104동 사이의 공간에 [* 건축물 등기부등본상으로는 103동으로 등록되어있다.] 지하 1층~ 지하 4층까지 있다. 주차장의 지하 3층과 지하 4층은 아무래도 차량 진입이 불편한 구조거나(지하 3층)[* 출입구 앞의 도로가 지하 2층 출입구에 비해 다소 좁고 회차하기 불편한 구조여서 웬만해선 다들 차량이 진입하기 가장 편한 윗 층으로 가려고 한다.], 깊어서 오르내리기 불편하여(지하 4층) 다른 층에 비해 차량 및 사람들의 유동이 적어서 그런지 천장에 물체 움직임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형광등을 켜고 끄는 방식이다. 103동과 104동의 경우, [[1990년대]] 중후반 ~ [[2000년대]] 초반 당시에 일반적으로 지하주차장이 건설된 아파트와는 다르게[* 주로 지하주차장에서 지상으로 향하는 계단을 따로 뒀고 각 동과는 엘리베이터는 커녕 계단으로도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지하주차장에서 바로 각 동으로 연결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103동은 지하 1층부터 바로 엘리베이터 통로 계단과 연결되어 있고, 104동은 지하 2층부터 엘리베이터 통로 계단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104동 중앙현관 지상 출입구가 지하1층 주차장의 층 바닥 높이랑 동일하기 때문으로 해당 동 출입구의 엘리베이터 정반대 쪽을 바라보면 지하1층 주차장이 있는 외벽이 보인다.][* 이런 이유로 지하 1층 주차장은 지하 2층 및 3층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이다.][* 하지만 주차장 엘리베이터 출입문엔 로비폰이 없고 방화문만 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설계 결함이거나 공사비 절감으로 인한 것이겠지만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려면 지하 2층의 경우, 계단을 반 층정도 올라가거나(103동) 내려가서(104동) 이용하거나 엘리베이터 도어를 설치할 공간이 충분히 있는데도 원가절감으로 뚫지 않아서(...) 1층 내지[* 지하 1층] 2층 정도를 더 올라가야 하는경우(지하 3,4층)도 있다. --그래도 그 시절에 지은 이파트 치고 지하주차장에서 바로 엘리베이터 탈 수 있게 만든게 어디야-- --나머지 동도 만들어주지-- == 주변환경 == === 상업시설 === 버스로 10분 거리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및 인근의 번화가가 있다. [[이마트 사상점]], [[홈플러스 스페셜 서부산점]]도 자가용을 이용하여 방문시 10~15분 소요된다. === 교육 === 인근에 위치한 초등학교는 덕상초등학교가 있다. 인근의 중학교는 [[신라중학교(부산)|신라중학교]]가 있다. --다만 통학하는데 엄청난 경사로의 압박이...-- 고등학교로는 [[사상고등학교]]가 위치해있다. 인근의 대학교는 [[신라대학교]]가 있다. === 교통 === ==== 버스 ==== * 한전북부산지점 정류장(15-231) : [[부산 버스 62]], [[부산 버스 128-1]], [[부산 버스 129-1]] * 덕포청구아파트 정류장(15-229) : [[부산 버스 62]], [[부산 버스 128-1]], [[부산 버스 129-1]], [[부산 버스 사상1-1]] * 덕포청구아파트 정류장(덕포경동2차아파트 방면) : [[부산 버스 사상1-1]] * 신라대학교입구 정류장 : [[부산 버스 133]], [[부산 버스 169-1]] ==== 도시철도 ==== 걸어서 20~25분의 다소 먼 거리에 [[덕포역]]이 있다. 다만 입주민들은 도시철도를 이용할 때 주로 [[부산 버스 62]]나 [[부산 버스 사상1-1]]을 이용하여 [[덕포역]]이나 [[사상역(도시철도)]]으로 환승하여 이용하고, [[서면]]방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시철도를 이용하지 않고 [[부산 버스 129-1]]을 주로 이용한다. == 여담 == 이 아파트도 건설당시 [[1997년 외환위기]]의 마수를 피해가지 못했다. 기초공사를 완료하고 아파트 건축공사에 한창이던 [[1997년]] 하반기, 외환위기의 여파로 아파트 건설사였던 [[청구(기업)|청구]]가 자금난으로 인해 부도가 나서 [[1997년]] [[12월 26일]]부터 [[1999년]] [[1월]]초까지 전체 공정률이 34%인 상태에서 건축 공사가 중단되었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971227000794]]] 이후 [[1999년]] [[1월 6일]]에 입주 예정자들과 청구의 공사관계자들이 모여 대책회의를 가진 끝에 중도금 7회분중 이미 납부한 5회분외에 2회분을 납부해 건설현장의 안전점검을 진행한 후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990109000404|공사를]]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19990115.01025301763|진행했다.]] 그래서 당초 1999년에 입주할 예정이었는데 1년 연기된 2000년 10월에 입주를 시작하게 된 것이다. 또한 기초공사를 진행하던 [[1996년]] [[5월]]중순 ~ [[1997년]] 하반기에도 해당 아파트 부지의 지반이 [[화강암]]기반의 암반층이어서[* 참고로 착공 당시인 1990년대에 주로 적용했던 아파트 공사기간 산정방식은 지상층수+9개월로 잡았다고 한다. 이를 토대로 보면 착공 당시에는 1999년 2월에 완공 및 입주 계획이었으나 앞서 언급한 지하 암반문제 때문에 부지조성 및 지하주차장 터파기공사가 지연되어 부도가 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사를 진행했을 경우에도 약 4~6개월 가량 연기된 99년 중순에야 입주를 진행했을것으로 추정된다.]지하 주차장을 공사할 당시, [[청구(기업)|시공회사]]에서 애를 먹었을 듯하다.[* 이 아파트가 특이한 경우로 주차장이 지하 4층까지 있어서 그렇지만 사실 당대에 건설된 상당수의 아파트는 지하주차장이 지하1~2층인 곳이 많다.] --그래도 그렇게 땅을 깊게 판 덕분에 입주 초창기의 지하4층 주차장은 정말 여유로웠다. 오죽했으면 104동 쪽의 주차장 모서리 일부를[* 차량 4대가 주차 가능한 공간이다.] 막아놓고 탁구장으로 만들었을정도.. --[* 지금은 입주 초기에 비하면 가구당 차량 대수가 늘어나서 이것도 이제는 사실상 과거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이하게도 명절이나 연휴가 되면 주차장에 차들이 빠지는 도시에 위치한 다른 아파트와는 달리 방문객들의 차량 증가로 인해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이 오히려 더 늘어난다(...). 심지어 평소 같으면 엘리베이터가 만원이 되는 일도 별로 없는 편인데 명절이나 연휴가 되면 엘리베이터가 만원이 되는 일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 [[2010년대]] 초반부터 이러한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중이다.] 아마도 아파트 입주민들의 평균 연령대가 입주 초창기인 [[2000년대]] 초반에 비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사상구의 공동주택]][[분류:1996년 건설]][[분류:청구지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