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898년부터 1902년까지 중화전이었던 건물, rd1=덕수궁 즉조당)] ---- [include(틀:덕수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683235,#683235 '''덕수궁 중화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 황궁의 정전)] ---- [include(틀:조선 왕궁의 정전)] ---- ||<-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801~1000호|{{{#fff 대한민국의 보물}}}]]''' || || 818호 ||<|2> ← || '''819호''' ||<|2> → || 820호 || || [[창경궁 통명전]] ||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 || [[덕수궁 함녕전]] || }}} ||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819호}}}]]''' || ||<-2> {{{#fff {{{+1 '''덕수궁의 중화전 및 [[덕수궁 중화문|{{{#fff 중화문}}}]][* 건물과 문을 포함한 권역의 정식 등재명칭.]'''}}}[br]{{{-1 德壽宮의 中和殿 및 中和門}}}}}}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덕수궁 중화전,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 '''{{{#fff 수량}}}''' || 2동[* 중화문 포함. 문화재청의 공식 기준 참조.] || || '''{{{#fff 지정연도}}}''' || 1985년 1월 8일 || || '''{{{#fff 제작시기}}}''' || [[대한제국]], 1902년 창건, 1906년 중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igulr.files.wordpress.com/img_559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_중화전_및_중화문_중화전_전경.jpg|width=100%]]}}} || || {{{#683235 '''중화전[*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08147&ccbaKdcd=12&ccbaAsno=08190000&ccbaCtcd=11|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3VHgyfIfus)]}}} || || {{{#683235 '''YTN 공식 유튜브의 소개 영상'''[* 중화전만 개별적으로 소개하는 영상이 없어 부득이 덕수궁 전체를 다룬 영상으로 대체한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덕수궁]]의 [[정전#s-6]]이다. 중요한 국가 의식을 거행하거나 조회를 열던 곳이다. [[조선의 궁궐|조선의 5대 궁]] 정전 중 유일하게 '''[[20세기]]에 창건'''했으며 처음부터 [[조선]] 왕궁의 정전이 아닌 '''[[대한제국]] 황궁의 정전'''으로 세운 건물이다. '중화(中和)' 뜻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바른 성정'으로, 《[[중용|중용(中庸)]]》에서 유래한 말이다. == 역사 == 원래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은 [[인조]] 연간 이후 [[덕수궁 즉조당|즉조당]]과 [[덕수궁 석어당|석어당]] 및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1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공사관]]에 몸을 의탁했던 [[고종(대한제국)|고종]]은 1년 뒤 1897년(건양 2년) 환궁[* 還宮. 궁으로 돌아가다.]하면서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대공사가 필요했다. 따라서 명목상으로는 중건이라 했지만 사실상 새 궁궐 하나를 창건하는 것과 다름 없었다. 그래서 한동안은 기존에 있던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을 태극전, 중화전으로 부르면서 [[정전#s-6]]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즉조당은 너무 좁았고, 규모있는 정전이 필요했다. 그래서 제국 선포 이후 5년이 지난 1902년([[광무]] 6년)에야 정식 정전으로 지은 건물이 중화전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_4.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R20170424052200005_04_i.jpg|width=100%]]}}} || || {{{#683235 '''중층 중화전'''}}} || {{{#683235 '''즉조당을 중화전으로 사용하던 당시 현판.[* 왜 이 현판이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에 걸렸는지는 [[https://blog.naver.com/minsu977/221256780196|이 포스팅을 참고.]]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한 때 [[인터넷]] 상에서 중층 당시 중화전에 걸었던 현판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참고로 중층 중화전 현판은 경운궁 대화재 당시 같이 불 타 없어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04-07 21-08-3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04-07 21-08-22.jpg|width=100%]]}}} || || {{{#683235 '''《중화전도》'''}}} || {{{#683235 '''《중화전영건도감의궤 속 중층 중화전》'''}}} || 창건 당시에는 2층[* 보통 전통 건축의 경우 2층보다는 중층(重層)으로 표현한다.]이었으며, 겉모습이 [[창덕궁 인정전]]과 상당히 흡사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화전 의궤.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화전 복구 공사.png|width=100%]]}}} || || {{{#683235 '''대화재 이후 경운궁 중건과정을 담은 기록인《경운궁영건도감의궤》에 실린 중화전. 단층이다.[* [[https://www.gogung.go.kr/ancientBooksView.do?bbsSeq=6157&bizDiv=2|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 {{{#683235 '''중화전 복구 공사'''}}} || 그러나 1904년([[광무]] 8년) 대화재로 불탄 이후 1906년(광무 10년) 중건했는데 재정 상의 문제 --및 [[경술국치|망국]] 직전 상황--때문에 이전과 달리 단층으로 지었다. 이 곳에서 일어난 중요 [[행사]]는 1907년([[광무]] 11년) 1월에 치러진,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대한제국)|순종]] - [[순정효황후]]의 결혼식과 1907년 7월에 열린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순종에게 양위하는 의식[* 단, 이 때는 고종과 순종이 모두 불참했기에 [[내시|내관]]들이 대리했다.(...) 결국 정식 즉위식은 동년 8월 27일 [[덕수궁 돈덕전|돈덕전]]에서 행했다.] 등이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9년에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죽음|승하]]한 이후, [[일본 제국|일제]]는 1933년에 덕수궁을 공원화하면서 중화전 뜰의 박석을 걷고 [[잔디]]와 [[꽃]]을 심는 등 훼손했다. [[8.15 광복]] 이후인 [[1980년대]] 말에 [[문화재청|문화재관리국]]에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 정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덕수궁 중화문)] == 구조 == * 정면 5칸(61.4척), 측면 4칸(58척), 총 20칸이다. 2단으로 쌓은 넓은 월대 위에 높직한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웠다. 건물 내 · 외부 사이의 기둥 사이에는 분합문을 달아 언제나 여닫을 수 있게 했다. *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내4출목, 외3출목의 다포식이다. 공포 형태는 외부에 쇠서[* 소의 혀란 뜻으로, 한식 목구조 공포에서 보 방향으로 첨차에 직교하여 거는, 끝을 소의 혀 모양으로 장식하여 오려낸 부재를 말한다.]를 달고 있는 '운기당초문'으로, 이런 형태는 조선 후기 [[공포(동음이의어)#s-2|다포]]의 변화 중 가장 마지막인 모습이다. * [[단청]]은 은은한 채색의 모루단청이고 광창과 꽃살 분합문을 달았다.[[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3330&cid=46656&categoryId=46656|출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_중화전_내부.jpg|width=100%]]}}} || || {{{#683235 '''중화전 내부[*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5670&ccbaKdcd=13&ccbaAsno=0124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내부는 전부 한 공간으로 뚫려 있다. 정면 기준 가운데 칸 북쪽에 당가[* 唐家. 옥좌 위에 다는 집 모양의 모형.]와 [[옥좌]]를 두었다. 고주와 창방에는 낙양각을 달아 화려하게 장식했다. [[http://103.55.188.117/exterior/|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에서 제작한 사이버 전각전시관을 통해 더욱 생동감있게 내부를 볼 수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unghwajeon04.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f0d6fef68c46739d4c069bb8d0c46f_1476175439672.jpg|width=100%]]}}} || || {{{#683235 '''중화전 답도에 새겨진 용'''}}} || {{{#683235 '''중화전 천정의 용'''}}} || 처음부터 [[틀:대한제국 황궁의 정전|대한제국의 황궁 정전]]으로 지었기 때문에 [[답도]]에는 쌍용이 세겨져있다. 즉, [[용]] 2마리가 새겨져 있는데 자세히보면 한마리는 4조룡 다른 한마리는 5조룡이다. 이 용들은 각각 조선과 대한제국을 상징한다. 또한 내부 천장에도 [[봉황]]이 아닌 [[용]]이 달려있다. 단 [[경복궁 근정전]]에도 용이 달려있는데 비교하면 중화전의 용이 좀 더 땅딸만하고 살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unghwajeon02.jpg|width=100%]]}}} || || {{{#683235 '''중화전 행각 흔적'''}}} || [[정전]]의 격과 맞지 않게 중화전을 감싸는 행각이 없다(....) [[일제강점기]] 공원화 작업 당시에 조성한 [[덕수궁 석조전|석조전]]의 [[정원]]이 중화전 행각을 침범하기 때문에 철거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고 중화전 뜰 동남쪽 모퉁이에 흔적이 남아있다. 이마저도 모습이 많이 달라져 현재는 시민들이 쉬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었다. == 여담 == * [[8.15 광복|광복]] 이후 [[6.25 전쟁]]을 겪으면서 [[서울]] 시내에 마땅한 [[공간]]이 없었기 때문인지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중화전 뜰에서 정부행사나 [[공연]] 등이 자주 열렸었다. 특히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에는 정변에 동원된 [[제1공수특전여단]]이 이 곳에 주둔해서 "반혁명인사"로 분류된 인사들을 이곳에 가두었고 이후에는 전국적으로 잡아들인 [[깡패]]들을 이 곳에서 굴렸다.(...) == 대중 매체에서 == [[대한제국]] 시기를 다룬 작품 자체가 별로 없고, 있어도 다른 [[궁궐]]에서 촬영을 하기 때문에 사극에 등장한 적은 없었다. 2016년에 개봉한 영화 〈[[덕혜옹주(영화)|덕혜옹주]]〉에서 단층의 중화전이 나온다. 2018년 7월에 [[tvN]]에서 방영하는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배경]]이 [[20세기]] 초반의 [[대한제국]]이기 때문에 중화전이 나온다. 하지만 실내는 거의 실제 중화전이 아닌 [[부안군|부안]]에 있는 세트장의 모습으로 나온 것이 함정. [[분류:덕수궁]][[분류:대한민국의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