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683235,#683235 '''덕수궁 중화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 황궁의 정전 정문)] ---- [include(틀:조선 왕궁의 정전 정문)] ---- ||<-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801~1000호|{{{#ffffff 대한민국의 보물}}}]]''' || || 818호 ||<|2> ← || '''819호''' ||<|2> → || 820호 || || [[창경궁 통명전]] ||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 || [[덕수궁 함녕전]] || }}} ||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819호}}}]]''' || ||<-2> {{{#fff {{{+1 '''덕수궁의 [[덕수궁 중화전|{{{#fff 중화전}}}]] 및 {{{#fff 중화문}}}[* 건물과 문을 포함한 권역의 정식 등재명칭.]'''}}}[br]{{{-1 德壽宮의 中和殿 및 中和門}}}}}}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덕수궁 중화전,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 '''{{{#fff 수량}}}''' || 2동[* 중화문 포함. 문화재청의 공식 기준 참조.] || || '''{{{#fff 지정연도}}}''' || 1985년 1월 8일 || || '''{{{#fff 제작시기}}}''' || [[대한제국]], 1902년 창건, 1906년 중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07011705150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_중화문.jpg|width=100%]]}}} || || {{{#683235 '''중화문[*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08143&ccbaKdcd=12&ccbaAsno=08190000&ccbaCtcd=11|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br][[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5669&ccbaKdcd=13&ccbaAsno=01240000&ccbaCtcd=11|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목차] [clearfix] == 개요 == {{{+1 德壽宮 中和門}}} [[덕수궁]] [[정전#s-6]]인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의 [[정문]]이다. [[덕수궁 대한문|대한문]]으로 들어와 일직선상으로 [[덕수궁 금천교|금천교]]를 건넌 뒤 [[덕수궁 조원문|조원문]]을 지나 오른쪽으로 꺾으면 보인다. 이는 [[경복궁 광화문|광화문]]에서 [[경복궁 근정문|근정문]]까지 일직선인 [[경복궁]]과 다르다. 경복궁은 예법에 따라 반듯하게 구획한 반면, 덕수궁은 원래 [[궁궐]]이 아닌 곳을 확장하며 지었기 때문이다. [[틀:조선 왕궁의 정전 정문|조선의 5대 궁 정전 정문]] 중 유일하게 [[20세기]]에 '''창건'''했으며 [[조선|조선국]] 시절이 아니라 처음부터 '''[[틀:대한제국 황궁의 정전 정문|대한제국 황궁의 정전 정문]]'''으로 세운 [[문]]이다. [[이름]] 뜻은 당연히 ‘중화전의 문’이다. ‘중화(中和)’ 자체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바른 성정’이라는 의미로, 《[[중용|중용(中庸)]]》에서 따왔다. == 역사 ==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인조]] 이후, [[덕수궁 석어당|석어당]], [[덕수궁 즉조당|즉조당]] 및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주한러시아공사관|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던 [[고종(대한제국)|고종]]이 1년 뒤인 1897년(건양 2년) 환궁할 곳으로[* 還宮. 궁으로 돌아가다.]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공사|대공사]]가 필요했고 기간도 길어졌다. 그래서 한 동안은 기존에 있던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을 태극전, 중화전으로 부르면서 [[정전#s-6]]으로 사용했다. 그래도 명색이 [[제국]]인데 민가나 다름없는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을 정전으로 계속 쓰기엔 좁기도 하고 폼도 안나서(...) 정식 정전 건물이 필요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했다. 하지만 기존의 [[경운궁]] 영역은 너무 좁아서 궁역을 넓혀야했다.[* 위에 언급했듯 [[경운궁]]은 [[고종(대한제국)|고종]] [[이사|이어]] 전 즉조당과 몇 채의 별당 빼곤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 주변엔 [[외국]] [[공사관]]이나 [[집|민가]] 등 여러 [[건물]]들이 들어섰다. 그래서 주변 건물들을 최대한 사들이고 또 여의치 않을 땐 건물 사이사이를(...) 활용하는 등 심혈을 기울였다.], 그래서 그나마 여유 공간이 있던 남쪽으로 궁역을 확장한 뒤, 즉조당과 남쪽 궁장 사이에 정식 정전을 건립했으니 바로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이다. 중화문도 이 때 [[정전#s-6]]의 [[정문]]으로 지었다. 1901년([[광무]] 5년) 8월 20일[* 음력 7월 7일.]에 정초했고, 같은 달 30일[* 음력 7월 17일.]에 [[기둥]]을 세웠으며, 9월 24일[* 음력 8월 12일.]에 상량했고, 10월 29일[* 음력 9월 18일.]에 [[현판]]을 걸었다. 이를 보아 [[덕수궁 중화전|중화전]] 본전보다는 빨리 [[공사]]가 끝난 듯 하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3908009_004|#]]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KUpalacemain.jpg|width=100%]]}}} || || {{{#683235 '''경운궁 확장 공사 당시 중층이었던 중화전과 중화문.[br]중화문 앞으로 외부인의 출입을 막는 임시 담장을 세워놓았다.'''}}} || 중화문 건립으로 [[경운궁]]의 [[구조]] 또한 크게 달라졌다. 원래 [[경운궁]]의 [[정문]]은 남쪽 궁장 가운데에 있던 [[덕수궁 인화문|인화문(仁化門)]]이었으나 중화문 공사 및 궁역 확장을 하면서 철거했고 대신 동쪽 문인 [[덕수궁 대한문|대안문]]을 새 정문으로 사용했다. 실제로 옛 [[사진]]을 보면 인화문 터와 중화문의 위치는 몇 걸음 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화문 인화문.png|width=100%]]}}} || || {{{#683235 '''중화문(왼쪽), 대안문(가운데), 인화문 헐린 흔적(오른쪽).[br]오른쪽에 담장이 끊긴 채 빈 터로 남아있는 곳이 인화문이 있던 자리이다. '''}}} || 또한 원래 [[중문]]이던 돈례문 역시 없앴고 새로운 중문 [[덕수궁|조원문]]을 지었다. [[금천]]과 [[덕수궁 금천교|금천교]] 역시 인화문과 돈례문 사이에 있었으나 대안문과 조원문 사이에 새 금천을 팠고 원래 금천은 묻었다.[* 금천교는 새 금천으로 옮긴건지 아니면 철거하고 새로 지은건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1904년([[광무]] 8년) [[화재|대화재]]로 불탄 이후 1906년(광무 10년) 중건했다. 이 때 기존--이라고 해봐야 3년도 채 안 지난-- 모습과 조금 달라졌다. 중화문을 기존의 자리보다 약간 남쪽으로 더 옮겨 지어 결과적으로 중화전 뜰은 전보다 훨씬 넓어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unghwajeon02.jpg|width=100%]]}}} || || {{{#683235 '''현재 남아있는 중화문 행각의 일부분'''}}} || [[일제강점기]]인 1919년에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죽음|승하]]한 후, 1933년 [[일본 제국|일제]]는 덕수궁을 [[궁궐]] [[공원|공원화]]했다. 이 때 석조전 앞 뜰에 [[정원]]을 만들었는데, 정원을 침범한다는 이유로 중화문의 [[복도|행각]]을 헐었다. 이 모습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래서 지금은 [[문]]만 휑하게 있다.(...) 다만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고 동쪽 모퉁이에 흔적이 남아있지만, 그나마 남아있는 이 행각도 모습이 많이 달라져 현재는 [[시민]]들이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다. 행각을 복원하자는 의견이 있지만 그럴 경우 석조전의 정원을 밀어버리는 것밖엔 [[노답|답이 없어]] 쉽지 않다. == 구조 == *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총 6칸이다. [[처마|겹처마]] [[양식]]에 [[지붕]]은 팔작지붕인 1층짜리 [[문]]이다.[* [[한옥]]에서는 주로 ‘단층(單層)’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를 양상바름한 뒤, 2개의 취두와 4개의 용두, 그리고 동, 서 양쪽의 추녀마루 위에 7개의 [[잡상]]과 각 [[처마]] 끝에 토수를 놓았다. * 제일 아랫 부분에는 장대석으로 [[기단]]과 [[계단]]을 조성했고, 가운데 [[황제]]가 다니는 어칸(御間) 앞에는 [[서수]]를 두 마리 놓고 [[쌍용]]을 새긴 [[답도]]를 설치하여 [[제국|황제국]]의 궁궐임을 나타내었다. * 원형으로 된 주춧돌 위에 [[원(도형)|원]][[기둥]]을 세운 뒤 그 위에 창방과 평방을 놓았고 그 위에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를 올렸다. 공포는 외 2출목, 내 3출목의 [[공포|다포]] 양식이다. 어칸에는 [[기둥]]과 기둥 사이의 중간에 4개의 공포를 두었다.(이렇게 기둥 사이에 놓는 공포를 주간포라 한다.) 협칸에는 각각 3개의 주간포를 얹었으며, 공포 사이사이는 벽으로 마감한 뒤 문양을 장식하여 한층 멋을 돋보였다. * [[기둥]]이 다른 궁궐의 문들에 비해 훤칠하게 높다. --[[키다리 아저씨]]-- 그렇잖아도 높은 기둥들 중에서 중앙 2개의 [[기둥]]은 고주(高柱)라 하여 다른 기둥보다도 훨씬 높게 세웠다. --마치 180cm들 사이에 2m가 있는 느낌-- 문 위는 풍형 홍살을 꾸며놓았고, [[단청]]은 단초머리의 모로단청[* 부재(部材)의 두 끝 부분에만 칠한 [[단청]].]으로 했으며 문짝은 [[나무]] [[판]]으로 중앙 열 3칸에 달았다. == 여담 == * 본전인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이 원래 2층이었다가 화재 이후 1층으로 지었기 때문에 중화문도 마찬가지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윗 [[사진]]을 보면, 중화문은 창건할 때부터 1층이었다. * 가끔 중화문 앞 에서 여러 다채로운 [[문화]][[행사]]를 연다.[[https://news.v.daum.net/v/20080913180715091?f=o|#]][[https://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17321|#]][[http://www.fnnews.com/news/201704272013028865|#]]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덕수궁 중화전, version=66, title2=덕수궁 중화전, version2=88, title3=덕수궁, version3=462, title3=덕수궁 인화문, version3=49)] [[분류:덕수궁]][[분류:대한민국의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