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3> {{{#683235 {{{+1 '''덕수궁 준명당'''}}}[br]{{{-1 德壽宮 浚眀堂}}}}}}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덕수궁 준명당, 너비=100%, 높이=100%)]}}} || ||<-2> {{{#68323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 5-1) || ||<-2> {{{#683235 '''건축시기'''}}} || [[1904년]] {{{-1 (창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명당.png|width=100%]]}}} || || {{{#683235 '''준명당[* [[http://www.deoksugung.go.kr/c/introduction/2|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 || [목차] [clearfix] == 개요 == [[덕수궁]]의 [[건물]]이다. [[덕수궁 석조전|석조전]]의 동쪽,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의 서북쪽에 있으며 [[덕수궁 즉조당|즉조당]]과는 [[복도]]로 이어져있다. [[현판]] [[글씨]]는 의정부찬정 [[박제순]]이 썼다.[[http://sjw.history.go.kr/id/SJW-K41040300-01100|#]][* [[을사오적]]의 그 박제순 맞다.] == 이름 == '준명(浚眀)' 뜻은 '다스려 밝힌다', 또는 '다스리는 이치가 맑고 밝다'이다. 《[[상서|서경(書經)]] - 고요모(皐陶謨)》 편에 나온 구절인 “날마다 세 가지 덕을 밝혀, 밤낮으로 소유한 집을 다스려(浚) 밝힌다(眀)."에서 따왔다.[[http://blog.daum.net/solji-k/17205086|#]] 특이하게 '명'자를 흔히 '밝을 명'자로 쓰는 '明'이 아닌 '眀'자로 썼다. 얼핏 보면 잘 구분이 안가지만 '明'에서 '해 일([[日]])' 이 아닌 '눈 목([[目]])'이 들어가있다. '明'과 모양만 다른 같은 글자이며, '밝게 볼 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를 두고 여러 설이 있다. 그 중 [[일본 제국|일제]]가 '明'이 마음에 안 든다는 이유로 '眀'을 대신썼다는 주장과, 반대로 [[일본]]('''日'''本)을 싫어한 [[대한제국]] [[정부]]에서 '日'이 들어간 '明'대신 '眀'을 썼다는 이야기가 있다. 결론을 말하면 '''둘 다 낭설이다.''' '眀'은 '朙'의 이체자이며 엄연히 대한제국 이전부터 쓰던 한자이다. 진짜로 '明'이 마음에 안 들었다면 [[창경궁]]에 있는 [[창경궁 명정전|명정전]]은 물론 다른 전각들의 편액에 들어간 '明'을 모조리 갈아치웠을 것이다. 당장 고종의 침전 정문인 [[덕수궁 광명문|광명문]] 현판에도 버젓이 '日'이 들어간 '明'이 적혀있다. 저런 거짓 정보에 속지 말자.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운당도.png|width=100%]]}}} || || {{{#683235 '''경운당[*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insu977&logNo=221265544721&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사진 출처.]]]'''}}} || 준명당은 [[덕수궁]] 내 [[건물]]들 중에서 창건 시기가 늦은 편이다. [[기록]]과 [[그림]]에 의하면, 1904년([[광무]] 8년) 이전에는 현재 준명당 자리에 경운당(慶運堂)과 덕경당(德慶堂), 그리고 관명전(觀明殿)이 있었다. 경운당의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기록]] 상으로는 1901년(광무 5년) 2월 3일 자 《[[승정원일기]]》에 처음 나타난다.[[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37_12A_15A_00140|#]] 준명당과 즉조당이 붙어있는 지금과 달리, 경운당이 있던 시절에는 경운당과 [[덕수궁 즉조당|즉조당]][*A 당시엔 중화전이었다. 1902년 새 [[덕수궁 중화전|중화전]] 건립 후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으로 환원.] 사이에 행각을 두어 영역을 구분했다. 고종은 경운당에서 주로 전배하거나[[http://sillok.history.go.kr/id/kza_13804019_001|#]] 진찬을 열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3806028_001|#]] 이후 같은 해 7월[[http://sillok.history.go.kr/id/kza_13807009_002|#]]에서 12월 사이에 이름을 덕경당으로 바꾸었으며[[http://sjw.history.go.kr/id/SJW-K38110200-01300|#]] 1902년([[광무]] 6년) 10월에는 관명전으로 개칭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3910018_002|#]]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명전도.png|width=100%]]}}} || || {{{#683235 '''관명전을 그린 그림. 왼쪽이 관명전, 오른쪽이 즉조당, 동남쪽 하단이 석어당이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oon6410&logNo=220244113318|사진 출처.]]]'''}}} || 이름을 바꾸면서 건물도 새로 지었다. [[덕수궁 즉조당|즉조당]][*A 당시엔 중화전이었다. 1902년(광무 6년)에 새 [[덕수궁 중화전|중화전]] 건립 후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으로 환원.]과 덕경당 사이의 행각을 헐어 두 건물을 한 영역에 두었다. 또한 건물도 정면을 9칸으로 늘리고 용마루에 취두, 추녀마루에 [[잡상]]도 설치하는 등 전보다 훨씬 큰 규모로 지었다. 이런 변화는 진연 장소의 격을 높이고, 공간을 넓혀 진연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었다.[[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oon6410&logNo=220244113318|#]]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명당 의궤.png|width=100%]]}}} || || {{{#683235 '''《경운궁중건도감의궤》의 준명당 모습[* [[https://www.gogung.go.kr/ancientBooksView.do?bbsSeq=6157&bizDiv=2|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 1904년([[광무]] 8년) 4월 14일에 [[경운궁]] [[화재|대화재]]로 불탔고 직후 복구했다. 재건하면서 이름을 준명당(浚眀堂)으로 [[개명|바꿨으며]] [[건물]]도 관명전보다 작게 짓는 등 전보다 격을 낮추었다. 관명전이 준명당으로 바뀌었다는 확실한 기록은 없지만, 1904년 4월 13일([[음력]] 2월 28일), '''대화재 바로 전날'''에 [[고종(대한제국)|고종]]이 관명전에서 [[신하]]들을 만났다는 《[[승정원일기]]》의 [[기사]]를 통해[[http://sjw.history.go.kr/id/SJW-K41020280-01200|#]] 준명당은 화재 전까지 존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준명당으로 지으면서 [[덕수궁 즉조당|즉조당]]과 통하는 [[복도]]도 같이 설치한 듯 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 유치원 시절의 덕혜옹주.png|width=100%]]}}} || || {{{#683235 '''준명당 앞에서 친구들과 함께 한 덕혜옹주(주황색 원 안)'''}}} || [[일제강점기]] 초에는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외동딸 [[덕혜옹주]]를 위해 만든 [[유치원]]이 되었다. 1919년 고종 [[죽음|승하]] 후 1933년 [[일본 제국|일제]]의 [[궁궐]] [[공원|공원화]] [[계획]]으로 많은 덕수궁의 [[전각]]이 헐렸음에도 살아남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구조 == * 장대석을 3벌대로 쌓아 [[기단]]을 구성하고 기단의 상부는 [[벽돌|전돌]]로 마감했으며, 정면에 4벌짜리 [[계단]] 하나를 길게 두었다. 기단의 동쪽 측면은 기단 자체를 계단식으로 쌓았으나 서쪽 측면은 그렇지 않다. 그리고 그 위에 네모난 [[초석|주춧돌]]과 [[기둥]]을 쌓아 [[건물]]을 올렸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로,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를 쌓아 마감했으며 [[용두]]를 올렸으나 [[잡상]]은 두지 않았다.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명당 대청.png|width=100%]]}}} || || {{{#683235 '''대청[*A 사진 출처 - 네이버 지도.]'''}}} || 정면 6칸, 측면 3칸으로 동북쪽에 덧대인 방 4칸을 더해 총 22칸이다. 정면 기준 제일 왼쪽(서쪽)의 1칸은 온돌방이고, 그 옆에 2칸이 [[대청]], 그 다음 [[온돌|온돌방]] 1칸, 마지막으로 제일 동쪽에 [[누각|누]] [[마루]] 1칸이다. 앞면과 대청 뒷면의 가장자리 칸에는 [[마루|툇마루]]가 깔려있으며 동북쪽 4칸짜리 방은 [[온돌]]이다. 대청의 [[천장]]은 우물반자로 마감하고 '복 복(福)'자를 써넣어 황실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했다. * 왼쪽으로부터 2 · 3 · 4번째 칸은 [[대청]]으로 통하는 [[현관]]이다. 2 · 3번째 칸은 대청과 바로 통하나 4번째 칸은 [[온돌|온돌방]]이라 문선과 [[벽]]을 둔 [[창문]]으로 막혀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명당 서온돌.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명당 동온돌.pn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명당 동북온돌.png|width=100%]]}}} || ||<-2> {{{#683235 '''위 좌측 부터 서온돌, 동온돌(남쪽에서 북쪽으로 바라 본 방향).[*A][br]맨 아래는 동북온돌(북쪽에서 남쪽으로 바라 본 방향).[*A]'''}}} || 서쪽 [[온돌|온돌방]]은 정면 1칸, 측면 2칸의 총 2칸이다. 동온돌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총 4칸으로 중간에 [[기둥]]을 두고 기둥의 동, 서, 남쪽으로 문지방을 두었다. 다만 동온돌의 북쪽 2칸과 동북쪽 온돌의 서남쪽 방은 서로 트여 '」' 자 평면을 이룬다. 동북온돌 4칸 중 동남쪽 방은 다른 방과 문지방으로 나누었고, 나머지 칸은 서남쪽 방을 제외하고 텄다. * 바깥 창호의 경우, [[대청]] 툇간(退間)에는 띠살 창호를 달고 위쪽에 빗살로 된 교창(交窓)을 달았으나 정면의 [[온돌|온돌방]] 바깥 칸과 뒷면의 [[마루|가퇴]] 부분은 정(井)자 살이다. 실내 창호의 경우 [[대청]]에서 뒤로 나가는 문짝은 화려한 아(亞)자 살이고, 온돌방의 창호는 전부 용(用)자 살이다. 다만, 동, 서 양 온돌방에서 뒷면의 툇간으로 나가는 [[문]]은, 가운데는 정(井)자 살로, 위와 아래는 용(用)자 살로 서로 다르다. * [[http://103.55.188.117/exterior/|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에서 제작한 사이버 전각전시관을 통해 더욱 생동감있게 내부를 볼 수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명당 난간.jpg|width=100%]]}}} || || {{{#683235 '''준명당 난간의 구멍[* [[http://seoulstory.kr/front/kor/story/view.do?searchCondition=&searchKeyword=&sStatus=9&sDivi=0&sTag=%EB%8D%95%ED%98%9C%EC%98%B9%EC%A3%BC&pageIndex=1&idx=7159|사진 출처 - 서울 스토리.]]]'''}}} || 준명당 남쪽 [[기단]]의 가장자리에는 몇 개의 [[구멍]]이 파여 있다. 준명당이 [[덕혜옹주]]가 다니던 [[유치원]]일 때, 행여 아이들[* 덕수궁 유치원에 [[덕혜옹주]]만 다닌 것은 아니었고, 신하들의 자녀들도 같이 다니게 했다. 양반가의 딸들 중 덕혜옹주 또래의 아이들을 원생으로 모집했다.]이 뛰어 놀다가 떨어져 다칠 것을 우려한 [[고종(대한제국)|고종]]의 배려였다. * 동쪽 협칸에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으로 갈 수 있는 [[복도]]가 있다. == 여담 == * 1912년 7월 23일 자 《[[매일신보]]》 기사에 따르면, 그달 18일 오후 1시에 준명당 후원의 [[느티나무]]가 쓰러졌다. 이 사고로 준명당 뒤편에 자리하던 [[주한영국공사관|영국총영사관]]이 피해를 입었고, 근처의 공중 전화선 및 덕수궁 전용 전화선이 일시적으로 끊어졌다. * 2015년 5월 [[문화재청]]과 한[[한국문화재재단]]에서는 [[궁중문화축전]] 기간 동안 〈궁궐愛서, 소중한 하루를 선물하세요〉라는 행사를 진행했다. 대한민국 국민 모두를 대상으로 '효(孝, 효행)', '우(友, 우정)', '애(愛, 사랑)'를 주제로 한 사연을 공모했으며, 이 중 '우(友)' 사연을 채택받은 사람에게 준명당을 대여해주었다.[[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9205§ionId=b_sec_1&mn=NS_01_02|#]][* '효'는 [[창덕궁 가정당]], '애'는 [[창경궁 대온실]] 앞 정원을 대여해주었다.] * [[문화재청]]에서 2016년 이후 3월 말 ~ 4월 초 [[봄]]의 1주일 가량을 '''준명당'''과 [[덕수궁 즉조당|즉조당]], [[덕수궁 석어당|석어당]], [[덕수궁 중화전|중화전]], [[덕수궁 함녕전|함녕전]] 등 덕수궁의 주요 전각 내부를 개방했다.[[https://www.news1.kr/articles/?2609655|#]] 해설자의 인솔 하에 단체관람을 했으며 덕수궁 홈페이지에서 예약을 하고 가야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사태로 진행하지 않았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덕궁 가정당, version=6, paragraph=4)] [[분류:덕수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