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조선의 궁궐|{{{#683235,#683235 덕수궁 조원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조선 왕궁의 중문)] ---- [include(틀:대한제국 황궁의 중문)] }}} ||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3> {{{#683235 {{{+1 '''덕수궁 조원문'''}}}[br]{{{-1 德壽宮 朝元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덕수궁, 너비=100%, 높이=100%)]}}} || ||<-2> {{{#683235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 5-1) || ||<-2> {{{#683235 '''건축시기'''}}} || 1902년 추정 {{{-1 (창건) }}} / 1919년 이후 {{{-1 (철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화재청에서 3D로 재현한 경운궁 조원문.jpg|width=100%]]}}} || || {{{#683235 '''문화재청에서 3D로 재현한 덕수궁 조원문의 모습'''}}} || [목차] [clearfix] == 개요 == [[덕수궁]]의 [[중문]]이었다. [[정문]]인 [[덕수궁 대한문|대한문]]을 지나 [[덕수궁 금천교|금천교]]를 건너 [[정전]]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의 [[정문]]인 [[덕수궁 중화문|중화문]]으로 가는 길에 있었다. 현재는 없다. == 역사 == 원래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임진왜란]] 이후 기존의 [[궁궐]][*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이 모두 불타 [[왕]]이 머물 곳이 없어 [[월산대군]][* [[성종(조선)|성종]]의 형.]의 사저 및 주변의 사들인 [[집]]들을 이용한 임시 [[행궁]]이었다. 더군다나 [[인조]] 이후에는 [[선조(조선)|선조]]가 머물고 인조가 즉위한 [[덕수궁 즉조당|즉조당]] 및 그 부속 전각을 제외한 모든 건물들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어 사실상 [[궁]]이라고 하기도 민망한 수준이었다. 그러다 1890년대 후반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이 곳으로 이어[* 移御. [[임금]]이 [[이사]]하는 것.]하면서 본격적인 [[궁궐]]의 모습을 갖추었다. 지금과 달리 처음 [[고종(대한제국)|고종]]이 머물 때의 [[경운궁]] [[정문]]은 [[덕수궁 인화문|인화문(仁化門)]]이었고 [[중문]]은 돈례문(敦禮門)이었다. 인화문부터 당시 정전으로 쓰던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은 한 축으로 이어져있었고 그 사이에 돈례문이 있었다. 그러나 즉조당은 원래 [[정전]]으로 지은 게 아니고, [[선조(조선)|선조]] 시절부터 사용하던 전각, 즉 원래 [[궁궐]] 건물로 지은 게 아닌 '''일반 종친 집의 별당'''으로 지은 것이라서 규모가 굉장히 작았다. 그래서 [[궁전|황궁]]에 걸맞는 새로운 정전을 짓기로 했으니 이것이 바로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이다. 하지만 기존 [[경운궁]] 부지는 너무 좁아서 [[정전]]을 지을 마땅한 [[공간]]이 없었다. 그래서 남쪽 [[담|담장]]을 확장했다. 이 때 [[덕수궁 인화문|인화문]]을 철거했고 [[정문]]을 동문인 [[덕수궁 대한문|대안문]]으로 바꾸었다. [[덕수궁 금천교|금천교]]도 대안문 앞으로 옮기고 돈례문도 헐은 뒤, 그 자리에 중화전의 [[조정]] 마당을 조성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 조원문.png|width=100%]]}}} || || {{{#683235 '''1904년 경운궁 대화재 당시 살아남은 조원문'''}}} || 이에 새로운 [[중문]]이 필요했고, 그래서 지은 [[문]]이 바로 '''조원문(朝元門)'''이다. [[덕수궁 대한문|대한문]]에서 [[덕수궁 중화문|중화문]]으로 가는 길, [[덕수궁 함녕전|함녕전]]의 정문인 [[덕수궁 광명문|광명문]] 앞에 조원문을 세웠다. 1904년([[광무]] 8년) [[경운궁]] [[화재|대화재]]로 대부분의 [[전각]]들과 문이 불탔을 때에도 살아남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명문과 조원문.jpg|width=100%]]}}} || || {{{#683235 '''광명문과 조원문. 빨간 테두리 안이 조원문이다.'''}}} || [[일제강점기]] 이후에도 한동안 존재했으나 [[고종(대한제국)|고종]] [[죽음|승하]] 이후에 헐려 사라졌다. 지금은 그 자리에 [[길]]을 놓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운궁 조원문 터.jpg|width=100%]]}}} || || {{{#683235 '''현재 조원문 터'''}}} || [[문화재청]]에서 2022년에서 2029년에 시행하는 [[덕수궁]] [[복원]] 제 2단계 사업에 조원문 복원계획이 있다. 정전인 [[덕수궁 중화전|중화전]] 주변 중심영역 복원에서 ‘우선’ 대상이며 2027년 복원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을 세워두었다. == 구조 == * 정면 3칸, 측면 2칸의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목조]] [[건물]]이다. [[분류:덕수궁]][[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