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81호-- ||<|2> ← || --'''82호'''-- ||<|2> → || 83호 || || --[[덕수궁 석조전|덕수궁 석조전 서관]][*A 2008년 6월 23일 지위 박탈, 사적 124호로 통합.]-- || --'''덕수궁 정관헌'''--[*A] || [[창경궁 대온실]] ||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3> {{{#683235 {{{+1 '''덕수궁 정관헌'''}}}[br]{{{-1 德壽宮 靜觀軒}}}}}}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덕수궁 정관헌, 너비=100%, 높이=100%)]}}} || ||<-2> {{{#68323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 5-1) || ||<-2> {{{#683235 '''수량 / 면적 '''}}} || 1동 지상 1층, 지하 1층, 바닥면적 297.1㎡ || ||<-2> {{{#683235 '''건축시기'''}}} || [[1897년]] ~ [[1901년]] 사이 {{{-1 (창건) }}} || ||<-2> {{{#683235 '''설계자'''}}} || 아파나시 이바노비치 세레딘사바틴[br](Афанасий Иванович Середин-Сабатин)[br] / {{{-1 (추정)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관헌.png|width=100%]]}}} || || {{{#683235 '''정관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b.kookje.co.kr/L20100428.22019200729i1.jpg|width=100%]]}}} || || {{{#683235 '''정관헌 동측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_정관헌.jpg|width=100%]]}}} || || {{{#683235 '''정관헌 야경[*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5667&ccbaKdcd=13&ccbaAsno=0124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f-5diMsp1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GmUawFrBw4)]}}} || ||<-2> {{{#683235 '''정관헌 영상'''}}} || [[덕수궁]]에 있는 양관, [[덕수궁 덕홍전|덕홍전]]과 [[덕수궁 함녕전|함녕전]]의 북쪽 [[언덕]]에 있다. [[덕수궁]]은 [[근대]]에 지은 [[황궁]]이니만큼 경내에 서양식 건물, 양관(洋館)이 여러 채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정관헌이다. 다만, 다른 양관들과 달리 [[퓨전|한국 전통 가옥의 일부 요소가 혼합된 형태이다.]] [[러시아 제국]] [[건축가]] 아파나시 이바노비치 세레딘사바틴[* Афанасий Иванович Середин-Сабатин. 1860 ~ 1921. 흔히 ‘사바틴’으로 널리 불린다. 근대기 [[서울특별시|서울]]과 [[인천광역시|인천]]의 주요 건물들을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을미사변]] 당시 현장을 직접 목격한 2명의 [[외국인]] 중 한 명이다.(다른 한 명은 시위대 지휘관이었던 [[미국인]] 다이(W. M. Dye) 대령.]이 설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현존하는 덕수궁 내 양관 중 가장 오래되었다. ‘정관(靜觀)’ 뜻은 '조용히(靜) 내다 본다(觀)'이다. == 용도 == 건물의 용도는 확실하지 않으며 여러 의견이 있다. 그 중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커피]]를 마시며 [[음악]]을 감상했던 [[카페]]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식]] [[기록]]에는 그런 내용이 없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어진]] 관련 [[기사]]만 나온다. 1901년([[광무]] 5년) 2월에 [[태조(조선)|태조 이성계]]의 준원전 본 [[어진]]을 이곳에 모시라는 [[기록]]을 시작으로[[http://sillok.history.go.kr/id/kza_13802005_002|#]][[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정관헌(靜觀軒)|#]][* 저 당시 역대 [[임금]]의 [[어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덕수궁 선원전|선원전]]이 불탔기 때문에 [[태조(조선)|태조]]의 어진을 베껴 그리려고 [[함흥시|함흥]]의 [[함흥본궁|준원전]]에 있던 그림을 잠시 [[덕수궁]]으로 옮겼다. 하지만 [[태조(조선)|태조]] [[어진]]을 실제로 여기에 모시진 않았고, 경운당이란 건물에 임시로 보관했다가 베껴 그린 직후 다시 [[함흥]]으로 옮겼다.], [[고종(대한제국)|고종]]과 [[순종(대한제국)|순종]]의 [[어진|초상화]][* 당시 [[순종(대한제국)|순종]]은 [[황태자]]였기에 그의 초상화는 [[어진]]이 아닌 예진(睿眞)으로 불렸다.]를 보관하고[[http://sillok.history.go.kr/id/kza_13906021_001|#]] 그렸다는 기록이 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3906021_001|#]]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순종실록|순종실록부록]]》의 [[기사]]도 1912년에 여기 있던 어진들을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으로 옮겼다는 내용이다. [[http://sillok.history.go.kr/id/kzc_10507002_001|#]][* 단, 《[[순종실록|순종실록부록]]》은 [[일본 제국|일제]]가 만들었고, [[일제강점기]]의 [[고종(대한제국)|고종(이태왕)]]과 [[순종(대한제국)|순종(이왕)]]의 동정을 다뤘기에 《[[조선왕조실록]]》으로 보기엔 힘들다. 더군다나 [[조선시대]]를 다룬 《[[고종실록]]》과 《[[순종실록]]》도 일제의 이왕직에서 펴낸 것이기에 정식 [[실록]]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실록보다 더 기사량이 많은 《[[승정원일기]]》에는, [[어진]] 외에도 신하들을 접견한 것과[[http://sjw.history.go.kr/id/SJW-K39110110-01200|#]][[http://sjw.history.go.kr/id/SJW-K39050040-01100|#]] 봉심[* 奉審. [[어명|왕명]]으로 [[왕실]]의 [[사당]]이나 [[무덤]], [[초상화]] 등 여러 시설과 [[물건]]들을 관리하고 점검하던 일.]에 대한 내용이 보인다.[[http://sjw.history.go.kr/id/SJW-L01110050-00200|#]][[http://sjw.history.go.kr/id/SJW-L02010010-00200|#]], 그러나 역시 휴식이나 [[커피]]에 대한 이야기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정관헌이 애당초 [[카페]]였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http://wndcof.org/wordpress/?p=204|#]] 1915년 덕수궁 실측 자료인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AKmIXuiVwFBFtpCNQuRWibE3yTaqrhFU0E5XaS11oebEkP7u0CQU2l5zJn4EwL1n.new-was_servlet_engine1?nttId=64776&bbsId=BBSMSTR_1021&pageUnit=10&searchCnd=&searchWrd=&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searchUseYn=&mn=NS_03_08_01|〈덕수궁 원안〉]]에 따르면, 내부에 서양식 욕실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또한 지하층에는 조리시설을 갖춘 주방이 딸려 있었다. 이를 통해 정관헌의 정확한 용도는 알수없으나, 적어도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전각으로 지어졌음을 알수있다. 다만, 전용[[카페]]는 아니더라도 황실의 휴식 공간임은 맞다는 주장도 있다. 1920년 5월에 《[[매일신보]]》에 실린 기사 〈자규(子規)야[* 두견새.] 우지마라 주인(主人) 일흔[* '잃은'의 당시 표기법.] 덕수궁(德壽宮)을 백량동작생황진[* 柏粱銅雀生黃塵. "잣나무 서까래 구리로 만든 새는 누런 먼지만 내고 있네"라는, 당나라 시인 왕발(650 ~ 676)의 시 〈임고대편(臨高臺篇)〉에 등장하는 구절로 세월의 무상함을 표현한 것이다.]이 옛이야기가 아니로구나〉에서는 정관헌을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아기였던 [[영친왕]]과 함께 여름 더위를 잊던 곳'이라고 언급했다.[[https://www.nl.go.kr/newspaper/sub0101.do?dir_q_paperIndex=%E3%85%81&dir_paper=%EB%A7%A4%EC%9D%BC%EC%8B%A0%EB%B3%B4_%E6%AF%8F%E6%97%A5%E7%94%B3%E5%A0%B1|#]] 그리고 정관헌은 황실 가족들이 살던 내전 권역에 있다. 내전의 일을 공식적으로 잘 기록하지 않는 관습을 고려하면, 기록에 [[어진]] 내용만 나온다해서 섣불리 카페나 휴식 공간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다. == 역사 == 정확한 창건 연대는 모른다. 다만, 현재 남아있는 [[덕수궁]]의 [[건물]]들 중 [[덕수궁 즉조당|즉조당]], [[덕수궁 석어당|석어당]]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1897년([[건양]] 2년) 이후에 처음 지은 것이고, 상술한 1901년([[광무]] 5년)에 적힌 [[태조(조선)|태조]] [[어진]]의 정관헌 봉안 [[기록]]을 종합하면, 저 사이에 건립한 듯 하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3802005_002|#]][[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정관헌(靜觀軒)|#]][* 저 당시 역대 [[임금]]의 [[어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덕수궁 선원전|선원전]]이 불탔기 때문에 [[태조(조선)|태조]]의 어진을 베껴 그리려고 [[함흥시|함흥]]의 [[함흥본궁|준원전]]에 있던 그림을 잠시 [[덕수궁]]으로 옮겼다. 하지만 [[태조(조선)|태조]] [[어진]]을 실제로 여기에 모시진 않았고, 경운당이란 건물에 임시로 보관했다가 베껴 그린 직후 다시 [[함흥]]으로 옮겼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제강점기 정관헌.png|width=100%]]}}} || || {{{#683235 '''일제강점기 정관헌[* [[http://heritage.go.kr/heritage/heritage_pop/detailImgPop.jsp?gung_number=4&file_name=mode_general_16_01.jpg|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1919년 [[고종(대한제국)|고종]] [[죽음|승하]] 이후 [[덕수궁]]은 비었고 1933년 [[일본 제국|일제]]는 덕수궁을 [[공원|공원화]]하면서 많은 [[전각]]들을 허물었다. 그럼에도 정관헌은 살아남았다. 다만, 관람객들을 위한 찻집, [[카페]]로 쓰이면서 건물 구조도 바뀌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77년 정관헌.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98년 정관헌.jpg|width=100%]]}}} || || {{{#683235 '''1973년 덕수궁 휴게실로 쓰이고 있는 정관헌'''}}} || {{{#683235 '''1998년 정관헌에서 다과회를 연 모습'''}}} || [[8.15 광복]] 이후에도 한동안 '덕수궁 휴게실'이라는 이름으로 기능했다. 1954년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에서 주최한 [[광복절]] [[기념]] 음악회를 비롯하여[[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408160032920201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4-08-16&officeId=00032&pageNo=2&printNo=2610&publishType=00020|#]] 각종 [[모임]] 및 [[행사]]가 이따금씩 열렸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307190020920702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3-07-19&officeId=00020&pageNo=7&printNo=12838&publishType=00020|#]] [[윤정희(1944)|윤정희]]가 출연한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400|1977년 영화 〈야행〉]]에서 카페로 영업 중이던 정관헌의 내부 모습이 잠깐이나마 나온다. 현재와는 다르게 칸마다 쇼윈도가 설치되었고 기타 현대식 시설도 갖춰져 있었다. [[문화재청]]에서 2004년 2월 6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등록문화재 제82호]]로 지정했다. 그러나 이미 [[덕수궁]] 전체를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124호로 관리하고 있었기에 영역이 겹친다는 이유로 2008년 6월 23일 자로 지정 해제했다. == 구조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nbmoh&logNo=221456657122|이 포스팅]]을 참조. 자세하게 정리를 잘 해놓았다. == 여담 == * 건물 동남쪽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관헌 촉각 모형이 있다. * [[문화재청]]에서 2006년 8월부터 매주 [[토요일]]에 한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동절기는 오후 4시 30분까지) 정관헌 내부를 [[시민]]에게 개방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FkkIMMbTWU)]}}} || || {{{#683235 '''〈2020년 대한제국 외국공사 접견례〉 행사 영상'''}}} || [[대한제국]] 관련 [[문화]] [[행사]]를 많이 연다. 2010년부터 한국문화재재단에서 대한제국 외국공사 접견례 행사를 매년 개최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paiy67w9NM)]}}} || || {{{#683235 '''〈정관헌에서 명사와 함께〉 행사를 개최한 10년 간 시민 2만명이[br]참관했다는 내용을 다룬 2018년 9월 28일 자 YTN 뉴스 ''''}}} || 또한 대중들에게 [[고종(대한제국)|고종]]의 [[카페]]로 알려져서 그런지, [[스타벅스]][* 2009년 [[문화재청]]과 ‘문화재지킴이’ 협약을 맺고 현재까지 다양한 문화재 보호활동을 실천한다.]에서 [[시민]]들에게 [[명사]]들의 [[강연]] 프로그램과, [[커피]]와 [[간식]]을 무료로 제공하는 행사를 2009년부터 매년 [[봄]]과 [[가을]]에 이곳에서 진행한다. 커피는 스타벅스에서 일하는 [[바리스타]]들이 직접 만든다고 한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79286612648264&mediaCodeNo=257&OutLnkChk=Y|#]]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이동에 이름이 같은 '정관헌'이란 [[카페]]가 있다. 실제로 덕수궁 정관헌을 모티브로 했다고 하며 카페 분위기도 이에 걸맞게 클래식한 것이 특징이다.[[https://blog.naver.com/nleefamily/221702927806|#]][[https://www.instagram.com/cafe_jeong.gwan.heon/|#]] [[분류:덕수궁]][[분류:근대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