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683235,#683235 '''덕수궁 인화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 황궁의 정문)] ---- [include(틀:조선 왕궁의 정문)] }}} ||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3> {{{#683235 {{{+1 '''덕수궁 인화문'''}}}[br]{{{-1 德壽宮 仁化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덕수궁 중화문, 너비=100%, 높이=100%)]}}} || ||<-2> {{{#683235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 5-1) || ||<-2> {{{#683235 '''건축시기'''}}} || [[1896년]] {{{-1 (창건) }}} / [[1902년]] {{{-1 (철훼)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운궁 인화문.jpg|width=100%]]}}} || || {{{#683235 '''인화문 사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운궁 인화문 현판.jpg|width=100%]]}}} || || {{{#683235 '''인화문 현판'''}}}[* [[https://www.yna.co.kr/view/AKR20170424052200005|사진 출처.]]] || [목차] == 개요 == [[덕수궁]](경운궁)의 [[정문]]이'''었'''던 문. 현재는 없다. 위치는 후술. == 이름 == 다른 [[궁궐]]들의 [[정문]]과 마찬가지로 ‘화(化)’자 돌림을 썼다.[* [[경복궁 광화문|경복궁의 광'''화'''문(光'''化'''門)]], [[창덕궁 돈화문|창덕궁의 돈'''화'''문(敦'''化'''門)]], [[창경궁 홍화문|창경궁의 홍'''화'''문(弘'''化'''門)]], [[경희궁 흥화문|경희궁의 흥'''화'''문(興'''化'''門)]], (사라졌지만) [[인경궁]]의 명'''화'''문(明'''化'''門) 등.] '인화(仁化)' 뜻은 ‘어진(仁) 덕을 베풀어 교화(化)한다’이다. 참고로, 경운궁 이름이 [[덕수궁]]으로 바뀌기 전에 없어졌기에 엄밀하게는 '''경운궁 인화문'''이 맞다. == 역사 == 원래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인조]] 연간 이후 [[덕수궁 즉조당|즉조당]]과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주한러시아공사관|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던 [[고종(대한제국)|고종]]이 1년 뒤 1897년(건양 2년) 궁으로 돌아갈 때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고종은 애초부터 환궁을 경운궁으로 하려고 했는지, 러시아공사관에 머물면서 경운궁 공사를 실시했다.[*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공사|대공사]]가 필요했고, 명목상으로는 중건이라 했지만 사실상 새 [[궁궐]] 하나를 새로 짓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 때 인화문도 지은 듯 하다. 확실한 건립 연대는 모르나, 1896년 11월 19일 [[민병석(1858)|민병석]]을 인화문현판서사관으로 임명했다는 1896년 11월 23일 자 《대조선국 관보》를 보아 그 무렵 완공한 듯 하다.[[https://blog.naver.com/minsu977/221250416476|#]] 《[[일성록]]》과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1897년 2월 [[고종(대한제국)|고종]]이 환궁할 때 인화문을 거쳐 수안문, 의록문을 통해 경운궁으로 들어갔다고 한다.[[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lchol4&logNo=2212755128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화문 앞 인파.png|width=100%]]}}} || || {{{#683235 '''인화문 앞에 모인 사람들[*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Y&archiveEventId=0052500204|사진 출처 - 국가기록원.]]]'''}}} || 이후 이 곳 밖에서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외국]] [[외교관]]들을 소견하고[[http://sillok.history.go.kr/id/kza_13511026_001|#]], [[명성황후]] [[국장]] 때 곡하고 영결하기도 했으며[[http://sillok.history.go.kr/id/kza_13411021_003|#]] [[독립협회|만민공동회]]를 열게 했다.[[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407&index_id=cp04070041&content_id=cp040700410001&search_left_menu=4|#]] 이렇게 인화문 앞은 [[황궁]]의 [[정문]]이란 입지를 바탕으로 중요한 정치적 공간으로 쓰였다. === 철거 === 그러나 지은 지 불과 6년도 채 안 지난 1902년 경에 헐렸다. 인화문 앞이 좁아서 통행이 뜸했기에 철거했단 의견이 널리 퍼져있는데 틀렸다. 왜나하면 윗 문단에서 썼던 것처럼 인화문 앞은 여러 군중행사가 열릴 정도로 공간적 여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인화문을 없앤 이유는 이렇다. [[경운궁]]에 번듯한 정전([[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을 지으려했지만 기존의 궁역으로는 비좁아서 남쪽으로 확장시키려 했는데 바로 인화문이 그 권역에 있었기 때문이다. 인화문을 새로 넓힌 남쪽 담장으로 옮기면 안되냐고 할 수 있지만, 그러면 언덕 바로 앞에 놓여서 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결국 철거당했다.[[https://blog.naver.com/minsu977/221277940175|#]] 어차피 큰 길에 있어 사람들과 접촉이 쉬웠던 동문(東門) [[덕수궁 대한문|대안문]]이 있어 인화문 철거로 인한 불편함은 크게 없었다. 인화문이 사라진 이후 정식 정문은 대안문으로 바뀌었다. 다만 공사 초기에 헐리진 않은 것 같다. 왜냐하면 《[[승정원일기]]》 1901년 11월 2일([[음력]]) 기사를 보면, 법전[* [[정전]]의 다른 말.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을 가리킨다.] 공사에 들어가는 재목들이 인화문과 돈례문[* [[경운궁]]의 원래 [[중문]](궁궐의 정문과 정전 사이에 있는 문)으로, 인화문과 거의 동시에 헐린 듯하다. 이후 중문은 새로 지은 [[덕수궁 조원문|조원문]]으로 바뀌었다.]을 경유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화문 인화문.png|width=100%]]}}} || || {{{#683235 '''중화문(왼쪽), 대안문(가운데), 인화문 헐린 흔적(오른쪽).[br]오른쪽에 담장이 끊긴 채 빈 터로 남아있는 곳이 인화문이 있던 자리이다. '''}}} || 철거 이후 인화문 터 바로 뒤에 새 정전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의 정문 [[덕수궁 중화문|중화문]]이 들어섰다. 윗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중화문과 인화문 터의 거리는 도보로 불과 약 6 ~ 7 걸음 밖에 안 될 정도로 굉장히 가깝다.[[https://blog.naver.com/minsu977/221277940175|#]] 그리고 1904년 화재 이후 중화문을 남쪽으로 살짝 더 옮겨 재건했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A4%91%ED%99%94%EB%AC%B8(%E4%B8%AD%E5%92%8C%E9%96%80)|#]] 이를 미루어 보면 인화문 터는 현재 중화문 자리 언저리로 봐도 무방하다. 간혹 인화문 옛 터를 현재 덕수궁의 남쪽 담장 어딘가로 추측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1902년 경의 경운궁 궁역 확대를 고려하지 않은 듯 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S01001001_pan000_2019_0909180636769_pan017742-000-01.jpg|width=100%]]}}} || || {{{#683235 '''창경궁 명정전 회랑에 걸려있는 인화문(왼쪽)과 대안문(오른쪽) 현판[*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97952|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 인화문이 헐린 후 현판은 한동안 [[창경궁 명정전]] 회랑에 걸려있었다가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다.[[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2&cultureSeq=00017804PT&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EC%9D%B8%ED%99%94%EB%AC%B8|#]]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덕수궁 중화문, version=26)] [[분류:덕수궁]][[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