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운행중단)] ||<-2> {{{+2 '''덕산선'''}}}[br]德山線 | Deoksan Line || ||<-2> [[파일:Xrzqf29.jpg|width=350]]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 30707 || || '''노선명''' || 경전선 덕산선 (慶全線 德山線) || || '''종류''' || [[지선철도]], 일반철도 || || '''영업거리''' || 9.4㎞ || || '''궤간''' || 1435㎜ || || '''역수''' || 4 || || '''기점''' || [[창원역]] || || '''종점''' || [[덕산역]] || || '''급전방식''' || 비전철 || || '''신호장비''' ||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선로 수''' || [[단선|1]] || || '''개업일''' || [[1905년]] [[5월 26일]] || || '''운영노선''' || 없음 || [목차] == 개요 == [[경전선]]의 [[지선철도]]. [[창원역]]에서 [[덕산조차장역]]을 잇는 [[철도]]이다. 원래는 [[경전선]] 본선이었으나, 경전선 [[복선]] [[전기철도|전철]]화 사업에 맞추어서 노선을 이설하게 되면서 [[한림정역]]에서 구[[진영역]]을 지나 [[덕산역]]으로 빠지는 선로가 없어지게 되었다. 그런데 [[덕산역]] 쪽에 [[육군종합정비창|매우 크고 중요한 군사시설]]이 있어서 화물을 수송하기는 해야 할 것 같으니 [[덕산역]]으로 가는 부분만 따로 남겨두기로 하고 덕산선이 된 것이다. 본래 경전선의 일부였다가 이설 후 [[광주선]]으로 분리된 [[광주송정역|광주송정]]-[[광주역|광주]] 구간처럼 창원-덕산 구간도 경전선에서 덕산선으로 분리된 것. 덕산선을 만들면서 [[경전선]] 신선과 덕산선 인입 구간에 [[신호소]]인 [[용강신호소]]를 하나 더 만들어서 신호 업무를 주게 되었다. 이에 따라 [[창원역]]과 [[용강신호소]] 사이 구간은 [[경전선]], 덕산선 중복구간이 되었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는 [[호남선]]과 중복되는 [[강경선]]의 [[강경역|강경]]-[[채운신호장|채운]] 구간이 있다. [[국토해양부]] 철도거리표에도 중복구간으로 처리되어 있다.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159935|2017년까지 덕산조차장을 폐쇄하고 신시가지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 여파로 덕산역 구내 진입 전에 선로가 끊겼고, 용잠리 시가지 외곽에 육군종합정비창선이 분기하는 시설이 설치되었다. 덕산역 구내를 제외하고는 선로가 모두 끊겨서 이 분기시설이 실질적인 종착점 역할을 하고 있다. 창원시를 경유하는 철도들 중 유일하게 [[창원 도시철도]]와 접점이 없다. [[창원 도시철도 2호선]]이 [[창원역]]에서 만나는 [[진해선]]을 전용할 예정이라 2호선의 연장 구간으로 활용할수도 있겠지만 아직 관련된 계획은 없는 듯.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fff ㎞}}} ||<-2> {{{#fff 역명}}} || {{{#fff ARS}}} || {{{#fff 여객}}} || {{{#fff 화물}}} || {{{#fff 등급}}} || {{{#fff 분기선}}} || {{{#fff 소재지}}} || || 0.0|| [[창원역|창 원]] || 昌 原 || 057 ||MSk || ─ || ○ ||[[경전선]] ||<|3> [[경상남도]] [[창원시]] || || 3.3|| [[용강신호소|용 강]] || 龍 岡 || ─ ||─ || ─ || † ||[[경전선]] || || 8.2|| [[덕산역|덕 산]] || 德 山 || 233 ||─ || ─ || ◑ || || [[분류:덕산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