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새로운미래, top2=미래대연합, top3=제22대 국회의원 선거/주요 변수/제3지대론)]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계개편)] [목차] [clearfix] == 개요 == [[1987년]] [[6월 항쟁]] 이후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6번째 [[분당(정치)|분당]]이다.[* [[1987년]] [[통일민주당]] 분당 {{{-3 ([[평화민주당]] 창당)}}}, [[1995년]] [[민주당(1991년)|민주당]] 분당 {{{-3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2003년]] [[새천년민주당]] 분당 {{{-3 ([[열린우리당]] 창당)}}}, [[2007년]] [[열린우리당]] 분당 {{{-3 ([[중도개혁통합신당]] 창당)}}},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3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창당)}}}, [[2024년]] [[더불어민주당]] 분당 {{{-3 ([[새로운미래]] 창당)}}}] 또한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가장 규모가 작은 분당이다.[* 다른 분당의 경우 현역 의원이 최소 20명씩 당을 이탈하여 최소 교섭단체가 생성되었다. 1987년과 1995년의 분당은 [[김대중]]을 지지하는 [[동교동계]]와 호남 출신 의원들이 줄지어 탈당했고 2003년 분당 때는 [[친노]] 계열 정치인들이 대거 탈당했으며 2007년 분당 때도 [[김한길계]] 정치인 20여명이 탈당했다. 2015년에는 [[친안|안철수계]] 정치인들과 새정치민주연합 내 강성 [[비문재인|비문]] 세력이 대거 당을 나갔다.] == 발단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의 계파 분류)] [[더불어민주당/2022년 전당대회|2022년 8월 전당대회]]를 통해 [[이재명]]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의 제6대 대표로 선출되었고 [[친이재명]]계가 당의 중심으로서 당을 이끌던 상황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이낙연]]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한 [[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불만이 고조되어 갔다.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에서 민주당 내부에서 일부가 가결에 표를 던진 것이 드러나 이후 계속 급속도로 관계가 험악해져 [[이낙연]] 전 대표가 '''"가칭 이낙연 신당"''' 창당을 시사하고, 더불어민주당 내부 비명계인 [[원칙과 상식]]도 신당 창당을 시사하면서 더불어민주당 분당이 가시화되었다. 이후에 [[이낙연]] 전 대표가 12월 13일, 신당 창당 질문에 한다고 답변해 실제로 신당 창당 가능성이 높아보였다. 이후 [[원칙과 상식]] 의원 중 [[윤영찬]] 의원을 제외한 3인이 1월 10일 제일 먼저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이후 1월 11일에는 이낙연 전 총리도 탈당하였다. [[이낙연 신당]] 합류를 확정한 [[이석현]] 전 국회부의장은 “민주당에서 이낙연 신당 합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국회의원은 7~8명 정도” 라고 주장했다. == 전개 == === 세력 분화 === ||<|5>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1 →}}} ||<-5>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 {{{+1 →}}} || '''[[새로운미래|{{{#ffffff 새로운미래}}}]]''' ||<|2> [[새로운미래-미래대연합 통합|{{{+1 →}}}]] ||<|2> '''[[새로운미래|{{{#ffffff 새로운미래}}}]]''' ||<|3> [[2024년 제3지대 정당 4자 통합|{{{+1 →}}}]] ||<|3> [[개혁신당|{{{#ffffff '''개혁신당''' }}}]] || ||<|2> {{{+1 →}}} ||<|2> '''[[미래대연합|{{{#ffffff 미래대연합}}}]]'''[* [[김종민(1964)|김종민]], [[이원욱]], [[조응천]] 등 [[원칙과 상식]]] || || {{{+1 →}}} || '''[[무소속(정치)|{{{#ffffff 무소속}}}]]'''[* [[이원욱]], [[조응천]]] || || {{{+1 →}}} ||<-6> [[정치검찰해체당|{{{#000 '''정치검찰해체당''' {{{-3 (가칭)}}}}}}]][* [[송영길]]][* 민주당에 우호적인 정당이 될 가능성이 크다.] || ==== 잔류파 중심 [[더불어민주당]] ==== [[이낙연]] 전 총리를 비롯한 비주류가 탈당하자 [[친명]], [[친노]]/[[친문]]계는 잔류를 선택했다. [[이낙연계|친낙]]/[[비이재명|비명]]계 의원들은 1월 10일, 1월 11일에 일부가 탈당할 예정이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 후보 공천에서 컷오프당하는 인물들은 탈당할 가능성이 높다. 일부 비주류 계열이 탈당하여 [[새로운미래]]로 결집하면서 비주류의 세가 줄어들어 친명계를 중심으로 한 주류 세력의 세가 더 강해졌다. ==== [[이낙연]] 신당 '[[새로운미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새로운미래)] [[이낙연]]이 탈당해서 만든 신당이다. 원외 이낙연계 일원들도 합류한 상황. 그리고 [[원칙과 상식]] 계열이 만든 창준위인 [[미래대연합]]을 흡수해서 창당하였다. 다만 [[조응천]]과 [[이원욱]]은 여기에 합류하지 않았다. 2024년 2월 9일, 위에 언급한 [[조응천]],[[이원욱]] 그리고 [[새로운선택]]과 같이 [[개혁신당]]으로 흡수되었다. ===== 원외 [[이낙연계]] '민주주의실천행동' 창당 선언 ===== 신당 창당을 선언한 이낙연계 그룹으로 원외 [[뮨파|반명 성향 유권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https://v.daum.net/v/20231126202129522|#]] [[윤석열 당무개입|윤석열 대통령의 당무개입]]을 두고 '소수에 의한 전체주의'라면서 이를 용산전체주의로, [[개딸|이재명 대표 지지자들의]] 문자폭탄을 두고 '다수에 의한 전체주의'를 개딸 전체주의라고 규정하며 비판했다. 원칙과 상식과의 연대 가능성은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성향을 보면 같이 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원칙과 상식 토크쇼에서 민주주의실천행동 측의 피켓 구호를 외치기도 하였다.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3089312|#]] [[이낙연]] 전 대표가 신당 창당을 공식화하면서 이 신당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결국 이들도 [[더불어민주당|민주당]]을 탈당하고 이낙연 전 대표의 쉽지 않은 길에 동행하겠다며 이낙연 신당 지지를 표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286113?sid=165|#]] ==== [[원칙과 상식]] 신당 '[[미래대연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래대연합)] [[2024년]] [[2월 4일]]자로 [[새로운미래]]에 흡수통합되었다. ==== [[이용섭]] 前 광주시장 창당 시사 ==== 이용섭 시장이 제3의 혁신 신당이 만들어진다면 민주당 등이 하지 못한 혁신을 이룰 수 있다며 창당을 시사했다.[[http://m.mdilbo.com/detail/ilgftp/698174|#]] [[양향자]], [[금태섭]]의 신당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이낙연]], [[이준석]]과의 연대 가능성은 열어놓았고, 실제로 이준석의 토크 콘서트에 참석해 축사한 탓에 [[개혁신당]] 입당이 점쳐지고 있는 중이다. 타 신당 입당과 관련해선 “단일 신당에는 가입하지 않을 것”이라며 “지금 나와있는 단일 신당들을 묶어내는 역할을 하고, 통합 신당이 만들어지면 그때 어떻게 할 것인가는 가봐야한다”고 설명했다. ==== [[더불어민주당]] 출신 무소속 창당설 ==== * 현재 신당에 합류하지 않은 인사중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 * [[장만채]] 전 전남교육감 1월 16일 탈당 * [[이원욱]] 현직 국회의원 1월 10일 탈당 * [[조응천]] 현직 국회의원 1월 10일 탈당 ===== [[송영길]] 신당 '(가칭) [[정치검찰해체당]]' =====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비례 전용 신당 창당을 시사했다. 송영길은 신당 창당 언급과 함께 [[조국(인물)|조국]]이나 [[변희재]], [[이언주]], [[이준석]]과의 연대도 열려있다는 발언을 하였다.[* 다만 이준석이 확실히 선을 그어 송영길의 신당창당을 원하지 않는 민주당 지지자들은 오히려 다행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조국은 최근에 [[문재인]] 전 대통령을 만나는 등 정치적 행보를 보이고 있고 송영길 대표의 언급으로 미루어 보아 직접 신당 창당을 시사한 적은 없지만 함께 할 가능성은 있다. 만약 창당된다면 [[더불어민주당|민주당]]에 우호적인 정당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정작 더불어민주당의 반응은 시원찮다.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와 [[최혜영]] 원내대변인을 비롯해 상당수의 민주당 지지자들이 이 신당을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 12월 2일 인터뷰에서 일명 '윤석열 퇴진당'[* 물론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 창당 직전에 나온 '안철수신당'의 예시에도 알 수 있듯 선관위 측에서 사람 이름을 직접 넣은 당명은 쓸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린 바 있기 때문에 [[검찰개혁|검찰개혁당]] 등의 다른 이름으로 창당 예정이라고 한다. '윤석열퇴진당'이라는 건 어디까지나 비유적 의미로 쓴 말이다.] 창당을 시사하였다. 비례정당 형식의 신당이 될 것이며, 반윤석열 세력을 모으면 ‘200석 압승’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외에도 이준석과 이언주와의 연대를 시사했다. [[https://v.daum.net/v/20231202201206103|#]] 그러나 동년 12월 19일 총선이 얼마 안 남은 시점에서 송영길이 구속되면서 창당이 힘들 것으로 예상했지만, 2024년 1월 19일, 유튜브 커뮤니티를 통해 옥중 창당을 선언했다. [[https://www.yna.co.kr/view/MYH2024012000170064|#]] ===== [[손혜원]] 신당 창당설 ===== [[손혜원]] 전 민주당 의원이 [[김남국]] 의원과 [[송영길]] 전 대표의 정치적 생명을 살리기 위해 호남 기반의 비례대표 전용 신당 창당을 하겠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259372|#]] 송영길이 창당을 추진하고 있는 (가칭)정치검찰해체당에 합류할 가능성도 있다. ===== [[조국(인물)|조국]] 신당 창당설 ===== 조국을 중심으로 친문계가 비례대표 정당을 창당한다는 설이 나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223225?sid=100|#]] 실제로 조국은 최근에 [[문재인]] 전 대통령까지 만나며 ‘비법률적 방식의 명예회복’을 거론하면서 내년 총선 출마를 시사하면서 정치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측 반응은 당연히 좋지 않다.[* 대선 당시 조국 사태에 대해 사과하며 이른바 '조국의 강'을 건넜기에 더더욱 그렇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652111?cds=news_edit|#]] 민주당의 [[최혜영]] 원내대변인과 [[홍익표]] 원내대표 등은 우려를 표하며 신당과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다.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111401070430288001|#]] 하지만 [[11월 22일]] 본인의 SNS에 신당 설에 대해 일축하고 [[더불어민주당|민주당]]을 필두로 하여 정권 심판을 하겠다는 글을 게시하며 신당 창당에 대해 선을 그었지만, [[https://www.facebook.com/629623520/posts/pfbid0CQCT6Rk81BEgEiZajZQpcsei1kgV6wrYqDD4sRHbo37VSQ3MmrcG1VzLtFLKqu1zl/?app=fbl|#]] 2023년 12월 5일,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서 신당 창당 의지를 밝히며 그간의 입장을 바꾸었다.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31206003000641|#]] 다만 단순히 싱크탱크 역할만 할 것이라는 관점도 있다. [[홍종학]] 전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조국과 행동을 같이 하고 있다. 리셋코리아행동이라는 이름으로 창당을 준비한다는 기사가 속속들이 나오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253216?sid=165|#]]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제22대 국회의원 선거/주요 변수/제3지대론, version=1046, paragraph=3.1.9)] === 제3지대 세력과의 연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새로운미래, 문단=7)]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새로운선택, 문단=9)]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개혁신당/다른 정당과의 관계, 문단=1.1)] == 관련 문서 == * [[더불어민주당]] * [[원칙과 상식]] * [[이낙연]] * [[친명]] * [[비이재명|비명]] * [[분당(정치)|분당]] [[분류:2024년/사건사고]][[분류: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분류:더불어민주당 관련 사건사고]][[분류:분당]][[분류:정당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