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더 킬러: 죽어도 되는 아이}}}''' (2022)[br]''The Killer _ A Girl Who Deserves To Die''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더 킬러: 죽어도 되는 아이 포스터.jpg|width=100%]]}}} || ||<-2> '''장르''' ||[[액션]], [[범죄물|범죄]], [[스릴러]], [[느와르]], [[하드보일드]], [[피카레스크]] || ||<|4> '''제[br]작[br]진''' || '''감독''' ||최재훈 || || '''각본''' ||남지웅 || || '''제작''' ||남지웅, 신동철 || || '''원작''' ||방진호 《죽어도 되는 아이》 || ||<-2> '''촬영''' ||이용갑 || ||<-2> '''편집''' ||김만근 || ||<-2> '''음악''' ||정현수 || ||<-2> '''출연''' ||[[장혁]], 브루스 칸, [[앤(공원소녀)|이서영]] 외 || ||<-2> '''제작사''' ||[[아센디오]][br]씨네마로엔터테인먼트 || ||<-2> '''배급사''' ||[[iHQ|아이에이치큐]][br]영화사 륙 || ||<-2> '''제공사''' ||아센디오[br][[iHQ|아이에이치큐]] || ||<-2>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7월 13일]]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7월 19일]] (뉴욕 아시아 영화제) || ||<-2> '''상영 시간''' ||95분 (1시간 35분 2초) || ||<-2> '''대한민국 총 관객 수''' ||'''60,175명''' ^^([[2022년]] [[8월 21일]] 기준)^^ || ||<-2> '''스트리밍'''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br][[PLEX|[[파일:PLEX 로고(블랙).svg|height=17&theme=light]][[파일:PLEX 로고(화이트).svg|height=17&theme=dark]]]] [[https://watch.plex.tv/movie/the-killer-9|▶]][* 무료 스트리밍 시청이 가능하다]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상영 등급}}}]]'''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https://www.kmrb.or.kr/kor/CMS/TotalSearch/gradeResultView.do?mCode=MN132&site_code=&category_code=ORS&category_code2=MV&category_code3=&grade_name=%EC%B2%AD%EC%86%8C%EB%85%84%EA%B4%80%EB%9E%8C%EB%B6%88%EA%B0%80&rcv_no=2323800&return_url=&searchKeyword=%EB%8D%94%ED%82%AC%EB%9F%AC|등급분류 결정내용]]: 거칠고 저속한 표현의 욕설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흉기로 신체를 훼손하는 장면, 총, 칼을 휘두르며 격투, 살상하는 장면, 근접 총격 살상장면 등이 유혈과 함께 수차례 거칠고 직접적으로 표현되며, 미성년자와 여자들을 대상으로 범죄가 벌어지는 설정 및 장면의 구체적 묘사 등에서 대사, 폭력성 및 모방위험 요소의 유해성이 높은 수준이므로 청소년관람불가[br](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대사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모방위험_2021.svg|width=4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7월 13일]] [[한국]]에서 개봉한 [[장혁]] 주연의 액션 느와르 영화.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WZX4o4XP48)]}}} || ||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k12s8wxzCw)]}}} || || '''▲ 올 라운더 장혁 액션 영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QBmposneSI)]}}} || || '''▲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iSU31sn1VU)]}}} || || '''▲ '스트레이트 액션' 제작기 영상''' || == 시놉시스 == >'''평화를 위해 다시 시작된 킬러 본능!''' > >은퇴 후 성공적인 재테크로 호화롭게 생활하는 전설의 킬러 ‘의강’이 >제멋대로 행동하는 여고생 ‘윤지’를 떠맡게 된다. > >단기간 보호자 역할만 하면 될 거라고 가볍게 여긴 순간 >‘윤지’가 납치되는 사건이 일어나는데… > >“걔는 다치면 안 되는 아이야” >애써 잠재운 ‘의강’의 본능이 깨어난다! == 등장인물 == * '''의강[* 원작 소설에 의하면 그의 정확한 이름은 방의강. 액션 영화에서 전투력이라는 것을 굳이 두고 논하기는 그렇지만 굳이 요약하자면 장혁이 지금까지 연기한 영화나 드라마를 통틀어서 제일 강하지 않을까 싶다. [[보이스(OCN)]]의 [[무진혁]]과 같이 총기를 사용하지 않는 액션을 많이 연기했지만 이번에는 총기를 사용하는 액션을 연기했다. 손으로 싸우는 전면전으로만 봐도 무진혁이 절권도 기술에 능숙하긴 하나, 전체적인 민첩성과 가격 강도를 보았을 때 의강이 훨씬 셀듯..]''' ([[장혁]]) * '''유리''' (브루스 칸)[* 드라마 [[각시탈(드라마)|각시탈]]에서 [[가토 긴페이]] 역을 맡았고, 영화 [[리벤져(2018)|리벤져]]에서 율 역을 맡았던 배우이다.] * '''김윤지''' ([[앤(공원소녀)|이서영]]) * '''이형사''' ([[이승준(배우)|이승준]]) * '''성연''' ([[방은정]]) * '''점박이''' (최기섭) * '''박형주''' ([[신승환]]) * '''김정훈''' ([[홍서준]]) * '''현수 ''' ([[이채영(1986)|이채영]]) * '''이혼녀''' (유서진) * '''해주''' (조한슬) * '''레게남''' (이건구) * '''사격장 주인''' ([[손현주]])[*특별출연] * '''청소반장''' ([[차태현]])[*특별출연]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 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 코드>,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 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 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 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장혁의 액션 원툴 말고는 크게 기댈게 없었던 [[검객(영화)|검객]]처럼 큰 기대를 받지 않았고, 하필 대작들 사이에 끼어서 개봉시기를 잡아 큰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막상 개봉하고 관람을 했던 관객들 평을 보면 팝콘 영화로서는 기대이상이라는 평가. 장혁의 액션이 눈이 부셨다고 평했다. 다만 워낙 여름 성수기 블록버스터들이 많아서 흥행은 쉽지 않아 보인다. 액션에서의 차별점은 건카타의 비중이 높다. 합을 맞춘 대련이란 게 약간 티가 나는 액션들이라서 좀 진부해 보일 수 있긴 한데, 건카타 장면들을 군데군데 넣어 놓았으니 질리진 않을 것이다. 존윅 스타일로 만들었는데 키아누 리브스가 존윅에서 나이 때문에 제한이 많아서 굼뜬 액션보다는 나은 편이다. 총 기술에 대한 고증은 존윅이 확실하지만. [* 특히나 후반부 하이라이트 액션에서 존 윅 외의 다른 영화들처럼 [[무한탄창]]급으로 재장전없이 수십발을 쏜다.] 드라마 부분은 스킵해도 될 정도로 분위기를 싸늘하게 식히는 용도다. 클리셰 수준을 넘어서 영화 속에 연극을 액자형 구성으로 넣어놓았나 싶을 정도이니. == 흥행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2> 1,436명 || 미집계 ||<-2> 12,932,000원 || ||<|7> 1주차 ||2022-07-13. 1일차(수) || 8,410명 ||<|7> 51,308명 || 6위 || 82,678,160원 ||<|7> 531,778,840원 || ||2022-07-14. 2일차(목) || 7,143명 || 6위 || 69,666,920원 || ||2022-07-15. 3일차(금) || 7,232명 || 7위 || 74,460,760원 || ||2022-07-16. 4일차(토) || 10,328명 || 7위 || 112,124,480원 || ||2022-07-17. 5일차(일) || 9,845명 || 7위 || 107,618,720원 || ||2022-07-18. 6일차(월) || 4,221명 || 7위 || 43,361,000원 || ||2022-07-19. 7일차(화) || 4,129명 || 7위 || 41,868,800원 || ||<|7> 2주차 ||2022-07-20. 8일차(수) || 568명 ||<|7> 4,644명 || 14위 || 5,650,060원 ||<|7> 41,886,320원 || ||2022-07-21. 9일차(목) || 508명 || 15위 || 4,368,600원 || ||2022-07-22. 10일차(금) || 659명 || 13위 || 6,107,200원 || ||2022-07-23. 11일차(토) || 786명 || 12위 || 7,930,300원 || ||2022-07-24. 12일차(일) || 870명 || 13위 || 7,870,400원 || ||2022-07-25. 13일차(월) || 630명 || 12위 || 4,839,960원 || ||2022-07-26. 14일차(화) || 623명 || 13위 || 5,119,800원 || ||<|7> 3주차 ||2022-07-27. 15일차(수) || 2,608명 ||<|7> 2,745명 || 9위 || 13,164,000원 ||<|7> 14,679,500원 || ||2022-07-28. 16일차(목) || 17명 || 60위 || 160,500원 || ||2022-07-29. 17일차(금) || 50명 || 38위 || 612,000원 || ||2022-07-30. 18일차(토) || 38명 || 46위 || 438,000원 || ||2022-07-31. 19일차(일) || 8명 || 60위 || 48,000원 || ||2022-08-01. 20일차(월) || 7명 || 52위 || 85,000원 || ||2022-08-02. 21일차(화) || 17명 || 47위 || 172,000원 || ||<|7> 5주차 ||2022-08-10. 29일차(수) || -명 ||<|7> 30명 || -위 || -원 ||<|7> 360,000원 || ||2022-08-11. 30일차(목) || -명 || -위 || -원 || ||2022-08-12. 31일차(금) || -명 || -위 || -원 || ||2022-08-13. 32일차(토) || -명 || -위 || -원 || ||2022-08-14. 33일차(일) || 30명 || 35위 || 360,000원 || ||2022-08-15.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2-08-16.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 관객수 60,175명, 누적 매출액 601,780,660원'''[* ~ 2022/08/21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기타 == * 크레딧이 올라갈 때 쿠키 영상이 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그 쿠키를 기대할 필요는 없다. 후속편을 예고하지도 않으며, NG 등을 포함하는 메이킹 필름에 불과하다. * 이 작품의 원작인 방진호의 소설 '죽어도 되는 아이'는 2018년에 새파란상상에서 출판되었다. * 손현주가 등장하는 신에서 [[원빈]] 및 [[아저씨(영화)|아저씨]]가 언급된다. * 영화 개봉 당일 새벽에 배우 장혁이 [[SBS 나이트라인]] 초대석에 출연하여 영화 홍보를 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820564|영상]] [[분류:2022년 영화]][[분류:한국의 액션 영화]][[분류:한국의 범죄 영화]][[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한국의 느와르 영화]][[분류:하드보일드 영화]][[분류:피카레스크]][[분류:청소년관람불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