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include(틀: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 ||<-3> '''1986년 영국 올해의 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ncing-Brave.jpg|width=100%]]}}} || ||<-2> 이름 || Dancing Brave[br]ダンシングブレーヴ || ||<-2> 출생 || [[1983년]] [[5월 11일]]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 ||<-2> 죽음 || [[1999년]] [[8월 2일]] (16세)[* 당시 일본 JRA 나이 역산법에 따르면 17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Bay) || ||<-2> 아비 || 리파르(Lyphard) || ||<-2> 어미 || 나바호 프린세스(Navajo Princess) || ||<-2> 외조부 || 드론(Drone) || ||<-2> 생산자 || 글렌 오크 팜[br](Glen Oak Farm) || ||<-2> 마주 || 할리드 빈 압둘라 알 사우드[br](خالد بن عبدالله آل سعود)[* 경마 역사상 최강의 개인마주라고 불리며, 세계 최고의 생산목장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주드몬테 팜의 소유자로, 대표적인 소유마로는 [[프랑켈]], [[킹맨]], [[이네이블]], [[애로게이트]] 등 역사에 남을 명마들을 소유하고 생산했다. 개인마주 신분으로 거대 그룹인 쿨모어와 맞서 유럽경마를 양분하다가 두바이 왕가가 운영하는 고돌핀이 등장하면서 3파전 양상을 띄게 되었다.] || ||<-2> 조교사 || 가이 하우드 (영국)[br](Guy Harwood) || ||<-2> 성적 || 10전 8승 (8-1-0-1) || ||<-2> 총상금 || 1,776,723 미국 달러 || ||<|2> 주요 우승 || G1 || 2,000기니 스테이크스 (1986)[br][[이클립스 스테이크스]] (1986)[br]'''[[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1986)[br][[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개선문상]] (1986)''' || || G3 || 크레이븐 스테이크스 (1986)[br]셀렉트 스테이크스 (1986) || ||<-2> 주요 수상 || 유럽 말 최고 레이트 (국제 분류) (1986)[br]유럽 말 최고 레이트 (타임폼) (1986) || ||<|2> 레이팅 || WBRR || '''L138'''[*1위](1986) || || 타임폼 || '''140'''(1986) || ||<-2> 주요 자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방카(Ivanka, 1990)[br]화이트 머즐(White Muzzle, 1990)[br]커맨더 인 치프(Commander in Chief, 1990)[br][[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윔즈 바이트(Wemyss Bight, 1990)[br][[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체로키 로즈(Cherokee Rose, 1991)[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에리모 시크(エリモシック, 1993)[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쿄에이 마치]](1994)[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킹 헤일로]](1995)[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티엠 오션]](1998)}}}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조교된 경주마, 1986년 [[개선문상]] 우승마이며, 그 해에 영국 연도대표마에 올랐던 명마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리파르[br]{{{-2 Lyphard[br]196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노던 댄서]]'''[br]{{{-2 Northern Dancer[br]1961}}}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니어크틱[br]{{{-2 Nearctic}}}|| ||나탈마[br]{{{-2 Natalma}}}|| ||<|2>구프트[br]{{{-2 Goofed[br]196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코트 마셜[br]{{{-2 Court Martial}}}|| ||바라[br]{{{-2 Barra}}}|| ||<|4>나바호 프린세스[br]{{{-2 Navajo Princess[br]1974}}}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드론[br]{{{-2 Drone[br]196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서 게일로드[br]{{{-2 Sir Gaylord}}}|| ||캡 앤드 벨스[br]{{{-2 Cap and Bells}}}|| ||<|2>올멕[br]{{{-2 Olmec[br]196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파고 파고[br]{{{-2 Pago Pago}}}|| ||초콜릿 보[br]{{{-2 Chocolate Beau}}}|| ||<-3>* 마무드(Mahmoud) 5×5 6.25%[br]* 파로스(Pharos), 페어웨이(Fairway) S5×S5 6.25% || == 생애 == == 종마 생활 - 영국 == === G1 우승 자마 === * '''굵게''' 표시된 것은 G1 경주. * 1990년산 * 이방카 - '''필리스 마일(1992)''' * 화이트 머즐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데르비 이탈리아노(199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도빌 대상(1994) * 커맨더 인 치프 - '''[[더비 스테이크스]](1993),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더비(1993)''' * 윔즈 바이트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오크스(199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말레상(199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페넬로페상(199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클레오파트르상(1993) * 1991년산 * 체로키 로즈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모리스 드 게스트상(1995), 헤이독 스프린트 컵(199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팔레루아얄상(199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라포르트 마요상(1995) === G1 우승 브루드메어 사이어 (BMS) 산구 === * '''굵게''' 표시된 것은 G1 경주. * 1995년산 * 조마다라[* [[두바위]]의 어미다.](아비 디플로이)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오크스 디탈리아(1998)''',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E. P. 테일러 스테이크스(1998),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리디아 테시오상(1999),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로열 휩 스테이크스(1999) * 로베르티코(아비 로벨리노)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독일 더비(1998)''' * 1996년산 * 머스이프(아비 라히브)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내셔널 스테이크스(1998)''' * 1997년산 * 프리모 발렌티노(아비 프리모 도미니에)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99)''', 밀 리프 스테이크스(1999) * 비트 할로우(아비 [[새들러스 웰즈]])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파리 대상(200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맨해튼 핸디캡(200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터프 클래식 스테이크스(200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알링턴 밀리언(2002)''', 뉴마켓 스테이크스(2000) * 밀러너리(아비 레인보우 퀘스트)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00)''', 자키 클럽 스테이크스(2001), 프린세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2002, 2003), 요크셔 컵(2004), 동커스터 컵(2004, 2005), 론즈데일 컵(2005), 체스터 바즈(2000), 고든 스테이크스(2000), 자키 클럽 컵(2004) * 1999년산 * 젠다(아비 자민다르)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풀 데세 드 풀리슈(2002)''' * 2000년산 * 오아시스 드림(아비 그린 데저트)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2002), 줄라이 컵(2003), 넌소프 스테이크스(2003)''' * 2008년산 * 밀리터리 어택(아비 오라토리오) -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퀸 엘리자베스 2세 컵(2013), [[싱가포르|[[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5px]]]] 싱가포르 항공 인터내셔널 컵(2013)''',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홍콩 골드 컵(2013, 2014),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샤틴 트로피(2014),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재뉴어리 컵(2013),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프리미어 플레이트(2013) * 2010년산 * 에조테리크(아비 데인힐 댄서)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로칠드상(2014), 선 채리엇 스테이크스(201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자크 르 마루아상(201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방토상(2013), 달리아 스테이크스(2014) == 종마 생활 - 일본 == === GI/JpnI 우승 자마 === * '''굵게''' 표시된 것은 GI/JpnI 경주. * 1993년산 * 에리모 시크 - '''[[엘리자베스 여왕배]](1997)''' * 1994년산 * [[쿄에이 마치]] - '''[[오카상]](1997)''', [[필리즈 레뷔|4세 암말 특별(서)]](1997), [[로즈 스테이크스]](1997), [[한큐배]](1999), [[교토 금배]](2000) * 1995년산 * [[킹 헤일로]]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2000)''', [[나카야마 기념]](1999),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도쿄스포츠배 3세 스테이크스]](1997), [[도쿄신문배]](1999) * 1998년산 * [[티엠 오션]] -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한신 3세 암말 스테이크스]](2000), 오카상(2001), [[슈카상]](2001)''', [[삿포로 기념]](2002), [[튤립상]](2001) === GI/JpnI 우승 브루드메어 사이어 (BMS) 산구 === * '''굵게''' 표시된 것은 GI/JpnI 경주. * 2001년산 * [[스윕 토쇼]](아비 엔드 스윕) - '''[[타카라즈카 기념]](2005), 슈카상(2004), 엘리자베스 여왕배(2005)''', [[교토대상전]](2006), [[판타지 스테이크스]](2003), 튤립상(2004) * 2003년산 * [[메이쇼 삼손]](아비 [[오페라 하우스(말)|오페라 하우스]]) - '''[[천황상 (봄)]](2007), [[천황상 (가을)]](2007), [[사츠키상]](2006), [[일본 더비]](2006)''', [[오사카배]](2007), [[스프링 스테이크스]](2006) * 2008년산 * 빅 로맨스(아비 [[그래스 원더]]) - '''[[전일본 2세 유슌]](2010)''' == 여담 == 한국에 수입된 댄싱 브레이브의 친손이자 [[천황상 (봄)]] 우승마인 [[인그란디어]]로 인해 의외로 한국에 직계후손들이 활동 중이다. [[지금이순간]][* 2012년 코리안 더비 우승마]과 지금이순간의 자마이자 2021년 대통령배 우승마인 [[심장의고동]][* 여담으로 19년 코리안 더비 당시 최초의 국산마 부자의 더비 제패 여부에 주목을 받았으나 아쉽게도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다. 대신 대통령배 우승으로 한국 경마사 최초의 국산마 부자 G1 제패 타이틀을 획득.]이 대표적으로, 심장의고동의 마주가 은퇴 후 종마로 전환할 것이라 밝혔다. 댄싱 브레이브의 마주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족 할리드 빈 압둘라 알 사우드이다. 마주로써 매우 큰 성공을 거둔 사람으로[* 경주마 생산 목장인 주드몬테 팜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이분의 소유마 대부분이 주드몬테 팜 생산마.], 댄싱 브레이브 이외의 대표적인 소유마는 '''[[프랑켈]]''',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3년 연속 및 [[개선문상]] 2년 연속을 포함해 19전 15승에 G1 11승을 거둔 [[이네이블]], 일본 경마 팬들에게는 [[슈넬 마이스터]]의 아비로 알려진 말이자, 2014년 유럽 연도대표마에 빛나는 [[킹맨]] 등이 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선 킹 헤일로의 어머니가 원본마 킹 헤일로의 부모마인 댄싱 브레이브, 굿바이 헤일로의 행적을 합친 존재로 나오기에 등장 여부가 불가능에 가까웠으나 사쿠라 로렐 코믹스인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스타 블로섬]]에서 '선 댄스 블레이즈'라는 이름으로 개선문상 우승장면을 통해 짧게나마 등장했다. 2023년 8월 신규 육성 시나리오인 프로젝트 L'arc에서 [[리간토나]]라는 캐릭터의 모티브로 보인다. '세계최강으로 칭해지는 레전드 우마무스메', '과거 개선문상에서도 경이적인 말각으로 출주자 전원을 추월하여 우승'했다는 것이 설정으로 반영되었고, '리간토나'라는 이름은 [[웨일스 신화]]의 말의 여신 리아논의 브리손 계 어원으로 추정되는 단어로 영국 출신임을 알 수 있다. 갈색 피부인 이유는 아메리카 원주민[* 댄싱 브레이브는 '춤추는 용사'라는 의미로, 부마 리파르(Lyphard, 우크라이나 출신 댄서인 세르주 리파르에서 따온 이름)와 모마 [[나바호]] 프린세스(Navajo Princess)에서 따온 이름이다. 특히 모마의 이름이 아메리카 원주민 나바호족에서 따온 만큼 이쪽 모티브가 들어간 것일 수 있다.] 또는 아랍계 무희의 스테레오타입[* 상술했듯 댄싱 브레이브의 마주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족이다.]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 또한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댄싱 브레이브와 생일이 완전히 동일한 것이 확인되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85년 {{{-1 (2세)}}} || || 10.14 || 샌다운 ||<-2> 도킹 스테이크스 || 잔디 8f[* 약 1609m] || 4/6 || 1 || '''1착''' ||<|2> 그레빌 스타키 || (마이티 메모리) || || 11.1 || 뉴마켓 ||<-2> 소햄 하우스 스테이크스 || 잔디 8f || 4/9 || 1 || '''1착''' || (노던 애머시스트) || ||<-10> 1986년 {{{-1 (3세)}}} || || 4.17 || 뉴마켓 || 크레이븐 스테이크스 || G3 || 잔디 8f || 11/8 || 1 || '''1착''' ||<|4> 그레빌 스타키 || (파어웨이 댄서) || || 5.3 || 뉴마켓 || '''2,000기니 스테이크스''' || '''G1''' || 잔디 8f || 15/8 || 1 || '''1착''' || (그린 데저트)[* 미국에서 생산된 영국의 경주마. 이후 1986 줄라이 컵을 우승한다.] || || 6.4 || 엡섬 다운스 || 더비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2f[* 약 2414m] || 2/1 || 1 || {{{#blue 2착}}} || 샤라스타니[* 미국에서 생산된 영국의 경주마. 이후 아이리시 더비까지 제패하여 더비 2관을 달성하지만, KGVI&QES와 개선문상에서 연달아 4착에 그친다.] || || 7.5 || 샌다운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0f[* 약 2012m] || 4/9 || 1 || '''1착''' || (트립틱)[* 미국에서 생산된 아일랜드의 경주마. 당시는 1984 마르셀 부사크상과 1985 아이리시 2000기니만 우승한 상태로, 이후 댄싱 브레이브가 우승한 KGVI&QES 및 개선문상에서 각각 3착을 하였다. 후일 프랑스로 이적한 후도 포함해서 41전이라는 긴 커리어를 거치며 G1 9승마가 된다.] || || 7.26 || 애스컷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2f || 6/4 || 2 || '''1착''' || 팻 에데리[* 영국의 전설적인 기수로 현재 QIPCO 명예의 전당 기수 부문에 등재된 3인 중 하나이다.] || (샤르다리)[* 아일랜드에서 생산된 영국의 경주마. 후에 1986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를 우승한다.] || || 9.12 || 굿우드 || 셀렉트 스테이크스 || G3 || 잔디 10f || 1/8 || 1 || '''1착'''[*레코드] || 그레빌 스타키 || (오조풀민) || || 10.5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롱샹 || '''[[개선문상]]''' || '''G1''' || 잔디 2400m || 11/10 || 1 || '''1착'''[*레코드] ||<|2> 팻 에데리 || (베링)[* 영국에서 생산된 프랑스의 경주마. 1986 조케 클뤼브상을 레코드로 우승하였다. 개선문상에서 2착한 뒤 바로 은퇴하고 종마로 전업하였다.] || || 11.1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산타 아니타 || [[브리더스컵]] 터프 || '''GI''' || 잔디 12f || 2/1 || 1 || {{{#black 4착}}} || 마닐라[* 미국의 경주마. 이외에도 1986-87 유나이티드 네이션스 핸디캡 2연패, 1986 터프 클래식, 1987 알링턴 밀리언을 우승했다.] ||}}} [include(틀:2000 기니 스테이크스,grade=G1)] [include(틀:이클립스 스테이크스,grade=G1)] [include(틀: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grade=G1)] [include(틀:개선문상,grade=G1)] [[분류:경주마/미국 생산]][[분류:경주마/영국 조교]][[분류:종마/영국]][[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83년 출생/경주마]][[분류:1999년 죽은 동물]][[분류:리파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