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의 보물)]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보물]] 중 제601호부터 제800호까지의 목록이 나열된 문서. == 목록 == ||<:><-2>'''호(號)'''||<:>'''이름/한문표기'''[* [[문화재청]]에 등재된 정식 명칭을 기준으로 한다.]||<:>'''지역'''||<:>'''시대'''||<:>'''지정년월일'''||<:>'''비고'''|| ||<:><-2>601호||<:>대구 도학동 승탑 (大邱 道鶴洞 僧塔)||<:>대구광역시동구팔공산로201길41-0(도학동,동화사)||<:>[[고려]]||<:>1975년 8월 4일 지정||<:>|| ||<:><-2>602호||<:>이이 수고본 [[격몽요결]] (李珥 手稿本 擊蒙要訣)||<:>강원도강릉시율곡로3139번길24(죽헌동,오죽헌)||<:>[[조선]]||<:>1976년 4월 23일 지정||<:>|| ||<:><-2>603호||<:>문무잡과방목 (文武雜科榜目)||<:>강원강릉시율곡로3139번길24,오죽헌시립박물관(죽헌동)||<:>[[조선]]||<:>1976년 4월 23일 지정||<:>|| ||<:><-2>604호||<:>[[적개공신교서#s-3.1|장말손 적개공신교서]] (張末孫 敵愾功臣敎書)||<:>||<:>[[조선]]||<:>1976년 4월 23일 지정||<:>|| ||<:><-2>605호||<:>고령 장기리 암각화 (高靈 場基里 岩刻畫)||<:>경상북도고령군아래알터길15-5(대가야읍)||<:>[[선사시대]]||<:>1976년 8월 6일 지정||<:>|| ||<:><-2>606호||<:>문경도천사지 동ㆍ서삼층석탑 (聞慶道川寺址 東ㆍ西三層石塔)||<:>경북김천시대항면북암길89(운수리)||<:>[[통일신라]]||<:>1976년 11월30일 지정||<:>|| ||<:><-2>607호||<:>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 (聞慶 道川寺址 三層石塔)||<:>경북김천시대항면북암길89(운수리)||<:>[[통일신라]]||<:>1976년 11월30일 지정||<:>|| ||<:><-2>608호||<:>완주 위봉사 보광명전 (完州 威鳳寺 普光明殿)||<:>전북완주군소양면위봉길53,위봉사(대흥리)||<:>[[백제]]||<:>1977년 8월 22일 지정||<:>|| ||<:><-2>609호||<:>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英陽 化川里 三層石塔)||<:>경북영양군영양읍화천리835번지||<:>[[통일신라]]||<:>1977년 8월 22일 지정||<:>|| ||<:><-2>610호||<:>영양 현리 삼층석탑 (英陽 縣里 三層石塔)||<:>경북영양군영양읍현리401번지||<:>[[통일신라]]||<:>1977년 8월 22일 지정||<:>|| ||<:><-2>611호||<:>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경기고양시덕양구대서문길406(북한동)/(지번)경기고양시덕양구북한동15||<:>[[고려]]||<:>1977년 8월 22일 지정||<:>|| ||<:><-2>612호||<:>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寧越 興寧寺址 澄曉大師塔碑)||<:>강원영월군수주면무릉법흥로1352(법흥리)||<:>[[고려]]||<:>1977년 8월 22일 지정||<:>|| ||<:><-2>613호||<:>[[신숙주#s-8|신숙주 초상]] (申叔舟 肖像)||<:>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인차3길 49-4 (가덕면)||<:>[[조선]]||<:>1977년 11월 15일 지정||<:>|| ||<:><-2>614호||<:>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경남사천시곤양면흥사리산48-2번지||<:>[[고려]]||<:>1978년 3월 8일 지정||<:>|| ||<:><-2>615호||<:>강화 장정리 석조여래입상 (江華 長井里 石造如來立像)||<:>인천강화군하점면장정리584번지||<:>[[고려]]||<:>1978년 3월 8일 지정||<:>|| ||<:><-2>616호||<:>영천향교 대성전 (永川鄕校 大成殿)||<:>경북영천시지당길5(교촌동)||<:>[[조선]]||<:>1978년 4월 11일 지정||<:>|| ||<:><-2>617호||<:>[[천마총 금제 관식]] (天馬塚 金製冠飾)||<:>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18호||<:>[[천마총 금제 관식]] (天馬塚 金製冠飾)||<:>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19호||<:>[[천마총 목걸이]] (天馬塚 頸胸飾)||<:>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0호||<:>[[천마총 유리잔]] (天馬塚 琉璃盞)||<:>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1호||<:>[[천마총 환두대도]] (天馬塚 環頭大刀)||<:>경상북도경주시일정로186-0(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2호||<:>[[천마총 자루솥]] (天馬塚 鐎斗)||<:>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3호||<:>[[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皇南大塚 北墳 金製釧 및 金製指環)||<:>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서울용산구서빙고로137국립중앙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4호||<:>[[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皇南大塚 北墳 琉璃盞)||<:>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5호||<:>[[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皇南大塚 北墳 銀製冠飾)||<:>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6호||<:>[[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皇南大塚 北墳 金製高杯)||<:>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7호||<:>[[황남대총 북분 은잔]] (皇南大塚 北墳 銀盞)||<:>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8호||<:>[[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皇南大塚 北墳 金銀器一括)||<:>경북경주시일정로186,서울용산구서빙고로137국립중앙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29호||<:>[[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皇南大塚 南墳 金製 銙帶)||<:>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30호||<:>[[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皇南大塚 南墳 金製冠飾)||<:>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31호||<:>[[황남대총 남분 은관]] (皇南大塚 南墳 銀冠)||<:>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32호||<:>[[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皇南大塚 南墳 銀製肱甲)||<:>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33호||<:>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 (慶州 皇南洞 金製垂飾)||<:>경북경주시일정로186,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34호||<:>[[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慶州 皇南洞 象嵌 琉璃玉)||<:>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35호||<:>[[경주 계림로 보검]] (慶州 鷄林路 寶劍)||<:>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36호||<:>[[도기 서수형 명기]] (陶器 瑞獸形 明器)||<:>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신라]]||<:>1978년 12월 7일 지정||<:>|| ||<:><-2>637호||<:>도기 바퀴장식 뿔잔 (陶器 車輪飾 角杯)||<:>경남진주시남강로626-35,국립진주박물관(남성동,진주성)||<:>[[미상]]||<:>1978년 12월 7일 지정||<:>|| ||<:><-2>638호||<:>[[기사계첩]] (耆社契帖)||<:>서울서대문구이화여대길52,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신촌동)||<:>[[조선]]||<:>1978년 12월 7일 지정||<:>|| ||<:><-2>--639호--||<:>--[[기사계첩]]-- --(耆社契帖)--||<:>||<:>[[조선]]||<:>1978년 12월 7일 지정||<:>[* 2020년 12월 22일 해제, 국보 제334호로 승격]|| ||<:><-2>640호||<:>인천안목 (人天眼目)||<:>서울서대문구충정로9길10-10,(재)아단문고(충정로2가)||<:>[[조선]]||<:>1978년 12월 7일 지정||<:>|| ||<:><-2>641호||<:>선종영가집 (禪宗永嘉集)||<:>서울서대문구충정로9길10-10,(재)아단문고(충정로2가)||<:>[[고려]]||<:>1978년 12월 7일 지정||<:>|| ||<:><-2>642호||<:>고구려 [[평양성]] 석편 (高句麗 平壤城 石片)||<:>서울서대문구이화여대길52,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신촌동)||<:>[[고구려]]||<:>1978년 12월 7일 지정||<:>|| ||<:><-2>643호||<:>[[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물 제643호)|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경기용인시처인구포곡읍에버랜드로562번길38,호암미술관(가실리)||<:>[[삼국]]||<:>1978년 12월 7일 지정||<:>|| ||<:><-2>644호||<:>[[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白磁 靑畵松竹人物文 立壺)||<:>서울서대문구이화여대길52,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신촌동)||<:>[[조선]]||<:>1978년 12월 7일 지정||<:>|| ||<:><-2>645호||<:>[[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 (白磁 鐵畵雲龍文 立壺)||<:>서울서대문구이화여대길52,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신촌동)||<:>[[조선]]||<:>1978년 12월 7일 지정||<:>|| ||<:><-2>646호||<:>청자 상감‘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 (靑磁 象嵌‘尙藥局’銘 陰刻雲龍文 盒)||<:>충북음성군대소면대풍산단로78,한독의약박물관(대풍리)||<:>[[미상]]||<:>1978년 12월 7일 지정||<:>|| ||<:><-2>647호||<:>[[천자총통]] (天字銃筒)||<:>경남진주시남강로626-35,국립진주박물관(남성동)||<:>[[조선]]||<:>1978년 12월 7일 지정||<:>|| ||<:><-2>648호||<:>[[승자총통]] (勝字銃筒)||<:>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78년 12월 7일 지정||<:>|| ||<:><-2>649호||<:>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世宗市 蓮花寺 戊寅銘佛碑像 및 臺座)||<:>세종특별자치시 연화사길 28-1 (월하리)||<:>[[통일신라]]||<:>1978년 12월 07일 지정||<:> || ||<:><-2>650호||<:>세종시 연화사 칠존불비상 (世宗市 蓮花寺 七尊佛碑像)||<:>세종특별자치시 연화사길 28-1 (월하리)||<:>[[통일신라]]||<:>1978년 12월 07일 지정||<:> || ||<:><-2>651호||<:>[[연안 이씨]] 종중 문적 (延安李氏 宗中 文籍)||<:>전라북도익산시미륵산1길8(삼기면,연안이씨종중문적박물관)||<:>[[조선]]||<:>1979년 2월 8일 지정||<:>|| ||<:><-2>652-1호||<:>이형상 수고본-선후천 (李衡祥 手稿本-先後天)||<:>경북영천시거북바위길30(성내동)||<:>[[조선]]||<:>1979년 2월 8일 지정||<:>|| ||<:><-2>652-2호||<:>이형상 수고본-탐라순력도 (李衡祥 手稿本-耽羅巡歷圖)||<:>제주제주시일주동로17(건입동,국립제주박물관)||<:>[[조선]]||<:>1979년 2월 7일 지정||<:>|| ||<:><-2>653호||<:>자수 사계분경도 (刺繡 四季盆景圖)||<:>서울강남구논현로132길34,한국자수박물관(논현동)||<:>[[고려]]||<:>1979년 2월 8일 지정||<:>|| ||<:><-2>654호||<:>자수가사 (刺繡袈裟)||<:>서울강남구논현로132길34,한국자수박물관(논현동)||<:>[[조선]]||<:>1979년 2월 8일 지정||<:>|| ||<:><-2>655호||<:>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 (漆谷 老石里 磨崖佛像群)||<:>경북칠곡군기산면노석리산43-2번지||<:>[[통일신라]]||<:>1979년 5월 2일 지정||<:>|| ||<:><-2>656호||<:>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 앞 獅子 石燈)||<:>충북충주시소태면오량리산32-2번지||<:>[[조선]]||<:>1979년 5월 22일 지정||<:>|| ||<:><-2>657호||<:>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서울 三川寺址 磨崖如來立像)||<:>서울은평구진관동산51번지||<:>[[고려]]||<:>1979년 5월 22일 지정||<:>|| ||<:><-2>658호||<:>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충북충주시소태면오량리산32-2번지||<:>[[조선]]||<:>1979년 5월 22일 지정||<:>|| ||<:><-2>659호||<:>[[백자 청화매조죽문 병]] (白磁靑畵梅鳥竹文甁)||<:>||<:>[[조선]]||<:>1979년 4월30일 지정||<:>|| ||<:><-2>660호||<:>[[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崔希亮 壬亂關聯 古文書)||<:>전라남도나주시고분로747(반남면,국립나주박물관)||<:>[[조선]]||<:>1979년 7월 26일 지정||<:>|| ||<:><-2>661호||<:>[[상주 석조천인상]] (尙州 石造天人像)||<:>경북상주시사벌면삼덕리산18-7번지상주박물관전시실내||<:>[[통일신라]]||<:>1980년 6월 11일 지정||<:>|| ||<:><-2>662호||<:>완주 화암사 우화루 (完州 花巖寺 雨花樓)||<:>전북완주군경천면화암사길271(가천리)||<:>[[조선]]||<:>1980년 6월 11일 지정||<:>|| ||<:><-2>664호||<:>청주 안심사 대웅전 (淸州 安心寺 大雄殿)||<:>충청북도청주시서원구사동길169-28(남이면)||<:>[[조선]]||<:>1980년 6월 11일 지정||<:>|| ||<:><-2>665호||<:>경주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 (慶州 狼山 磨崖菩薩三尊坐像)||<:>경북경주시배반동산18-3번지||<:>[[통일신라]]||<:>1980년 6월 11일 지정||<:>|| ||<:><-2>666호||<:>[[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경상북도경주시배동산72-6||<:>[[통일신라]]||<:>1980년 6월 11일 지정||<:>|| ||<:><-2>667호||<:>[[예천 한천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醴泉 寒天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경북예천군감천면한천사길142,한천사(증거리)||<:>[[통일신라]]||<:>1980년 8월 23일 지정||<:>|| ||<:><|8>668호||<:>1호||<:>[[권응수 장군 유물-권응수 초상]] (權應銖 將軍 遺物-權應銖 肖像)||<:>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 진주성)||<:>[[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 ||<:>2호||<:>권응수 장군 유물-선무공신 교서 (權應銖 將軍 遺物-宣武功臣 敎書)||<:>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 진주성)||<:>[[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 ||<:>3호||<:>권응수 장군 유물-태평 회맹도 병풍 (權應銖 將軍 遺物-太平 會盟圖 屛風||<:>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 진주성)||<:>[[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 ||<:>4호||<:>[[권응수 장군 유물 장검|권응수 장군 유물-장검]] (權應銖 將軍 遺物-長劍)||<:>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 진주성)||<:>[[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 ||<:>5호||<:>권응수 장군 유물-유지 및 장군 간찰 (權應銖 將軍 遺物-有旨 및 將軍 簡札)||<:>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 진주성)||<:>[[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 ||<:>6호||<:>권응수 장군 유물-교지 및 유서 (權應銖 將軍 遺物-敎旨 및 諭書)||<:>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 진주성)||<:>[[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 ||<:>7호||<:>권응수 장군 유물-각대 (權應銖 將軍 遺物-角帶)||<:>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 진주성)||<:>[[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 ||<:>8호||<:>권응수 장군 유물-가전보첩 (權應銖 將軍 遺物-家傳寶帖)||<:>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 진주성)||<:>[[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 ||<:><-2>669호||<:>정기룡 유물 (鄭起龍 遺物)||<:>경상북도상주시경천로684(사벌면,상주박물관)||<:>[[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2>670호||<:>직지사대웅전삼존불탱화 (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경북김천시대항면북암길89,직지사성보박물관(운수리)||<:>[[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2>671호||<:>곽재우 유물 일괄 (郭再祐 遺物 一括)||<:>경남의령군의령읍충익로1,충익사(중동리)||<:>[[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2>672호||<:>김덕원묘 출토 의복 일괄 (金德遠墓 出土 衣服一括)||<:>서울특별시강서구마곡중앙로33(마곡동,마곡엠밸리14단지)1411동102호||<:>[[조선]]||<:>1980년 8월 23일 지정||<:>|| ||<:><-2>673호||<:>달성 현풍 석빙고 (達城 玄風 石氷庫))||<:>대구달성군현풍읍현풍동로86(상리)||<:>[[조선]]||<:>1980년 9월 16일 지정||<:>|| ||<:><-2>674호||<:>영덕 유금사 삼층석탑 (盈德 有金寺 三層石塔)||<:>경북영덕군병곡면유금길213-26(금곡리)||<:>[[통일신라]]||<:>1980년 9월 16일 지정||<:>|| ||<:><-2>675호||<:>영천 화남리 삼층석탑 (永川 華南里 三層石塔)||<:>경북영천시신녕면화남리498번지||<:>[[신라]]||<:>1980년 9월 16일 지정||<:>|| ||<:><-2>676호||<:>영천 화남리 석조여래좌상 (永川 華南里 石造如來坐像)||<:>경북영천시신녕면화남리499번지||<:>[[고려]]||<:>1980년 9월 16일 지정||<:>|| ||<:><-2>677호||<:>청도 장연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淸道 長淵寺址 東ㆍ西 三層石塔)||<:>경북청도군매전면장연리108-1번지||<:>[[신라]]||<:>1980년 9월 16일 지정||<:>|| ||<:><-2>678호||<:>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淸道 雲門寺 東ㆍ西 三層石塔)||<:>경북청도군운문면운문사길264,운문사(신원리)||<:>[[신라]]||<:>1980년 9월 16일 지정||<:>|| ||<:><-2>679호||<:>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 (金泉 廣德里 石造菩薩立像)||<:>경북김천시감문면광덕리산71번지||<:>[[고려]]||<:>1980년 9월 16일 지정||<:>|| ||<:><-2>680호||<:>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榮州 新岩里 磨崖如來三尊像)||<:>경북영주시이산면신암리1439-30,산106||<:>[[통일신라]]||<:>1980년 9월 16일 지정||<:>|| ||<:><-2>681호||<:>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榮州 黑石寺 石造如來坐像)||<:>경북영주시이산면이산로390-40(석포리)||<:>[[통일신라]]||<:>1980년 9월 16일 지정||<:>|| ||<:><-2>682호||<:>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軍威 持寶寺 三層石塔)||<:>대구군위군군위읍상곡길233(상곡리)||<:>[[고려]]||<:>1980년 9월 16일 지정||<:>|| ||<:><-2>683호||<:>상주 상오리 칠층석탑 (尙州 上吾里 七層石塔)||<:>경북상주시화북면상오리699번지||<:>[[고려]]||<:>1980년 9월 16일 지정||<:>|| ||<:><-2>--684호--||<:>--[[예천 용문사|예천 용문사 윤장대]]-- --(醴泉 龍門寺 輪藏臺)--||<:>경북예천군용문면용문사길285-30,용문사(내지리)||<:>[[고려]]||<:>1980년 9월 16일 지정||<:> [* 2019년 12월 2일 해제, 국보 제328호로 승격] || ||<:><-2>685호||<:>[[대방광불화엄경 진본#s-2|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4]] (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四)||<:>||<:>[[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86호||<:>[[대방광불화엄경 진본#s-3|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28]] (大方廣佛華嚴經 晋本 二十八)||<:>||<:>[[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87호||<:>[[대방광불화엄경 주본#s-9|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6]] (大方廣佛華嚴經周 本卷 六十六)||<:>||<:>[[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88호||<:>[[대방광불화엄경 주본#s-10|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7,52]]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十七,五十二)||<:>||<:>[[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89호||<:>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7 (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七)||<:>서울특별시중구세종대로136(태평로1가,파이낸스빌딩)신한은행파이낸스센터||<:>[[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0호||<:>[[대방광불화엄경 주본#s-11|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六)||<:>||<:>[[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1호||<:>[[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 (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2-1호||<:>[[묘법연화경]] 권7 (妙法蓮華經 卷7)||<:>||<:>[[]]||<:>1981년 3월 18일 지정||<:>|| ||<:><-2>692-2호||<:>묘법연화경 권7 (妙法蓮華經 卷七)||<:>서울특별시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한남동,삼성미술관리움)||<:>[[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3호||<:>[[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4-1호||<:>불조삼경 (佛祖三經)||<:>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4-2호||<:>불조삼경 (佛祖三經)||<:>전라남도나주시암정로398(다도면,운흥사)||<:>[[고려]]||<:>2012년 2월 22일 지정||<:>|| ||<:><-2>695호||<:>불조삼경 (佛祖三經)||<:>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6호||<:>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7호||<:>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懶翁和尙語錄 및 懶翁和尙歌頌)||<:>서울특별시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한남동)삼성미술관리움||<:>[[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8호||<:>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6∼10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六∼十)||<:>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699호||<:>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6∼10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六∼十)||<:>||<:>[[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0호||<:>선림보훈 (禪林寶訓)||<:>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1호||<:>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경 (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經)||<:>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2호||<:>호법론 (護法論)||<:>||<:>[[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3-1호||<:>장승법수 (藏乘法數)||<:>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3-2호||<:>장승법수 (藏乘法數)||<:>||<:>[[고려]]||<:>2012년 8월 24일 지정||<:>|| ||<:><-2>704호||<:>장승법수 (藏乘法數)||<:>||<:>[[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5호||<:>불설대보부모은중경 (佛說大報父母恩重經)||<:>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6호||<:>중용주자혹문 (中庸朱子或問)||<:>서울성북구안암로145,중앙도서관(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7호||<:>중용주자혹문 (中庸朱子或問)||<:>||<:>[[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8호||<:>급암선생시집 (及菴先生詩集)||<:>||<:>[[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09호||<:>[[설곡시고]] (雪谷詩藁)||<:>||<:>[[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10-1호||<:>[[동인지문|동인지문사육 권1~3, 4~6, 10~12, 13~15]] (東人之文四六 卷一∼三, 四~六, 十~十二, 十三~十五)||<:>서울성북구안암로145,중앙도서관(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10-2호||<:>[[동인지문|동인지문사육 권1∼6]] (東人之文四六 卷一~六)||<:>서울성북구안암로145,중앙도서관(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10-3호||<:>[[동인지문|동인지문사육 권10∼12]] (東人之文四六 卷十~十二)||<:>서울서초구반포대로201,국립중앙도서관(반포동,국립중앙도서관)||<:>[[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10-4호||<:>[[동인지문|동인지문사육 권13∼15]] (東人之文四六卷十三~十五)||<:>서울서대문구충정로9길10-10,(재)아단문고(충정로2가)||<:>[[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10-5호||<:>[[동인지문|동인지문사육 권7∼9]] (東人之文四六 卷七~九)||<:>서울성북구안암로145,중앙도서관(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고려]]||<:>1981년 3월 18일 지정||<:>|| ||<:><-2>710-6호||<:>[[동인지문|동인지문사육 권7∼9]] (東人之文四六 卷七~九)||<:>대구달서구달구벌대로1095,동산도서관(신당동,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고려]]||<:>2001년 8월 3일 지정||<:>|| ||<:><-2>715호||<:>김중만 초상 (金重萬 肖像)||<:>서울종로구새문안로55,서울역사박물관(신문로2가,서울역사박물관)||<:>[[조선]]||<:>1981년 3월 18일 지정||<:>|| ||<:><-2>716호||<:>김길통 좌리공신교서 (金吉通 佐理功臣敎書)||<:>충청북도청주시서원구충대로1(개신동,충북대학교박물관)||<:>[[조선]]||<:>1981년 3월 18일 지정||<:>|| ||<:><-2>717호||<:>주세붕 초상 (周世鵬 肖像)||<:>경북영주시순흥면소백로2740(내죽리)||<:>[[조선]]||<:>1981년 3월 18일 지정||<:>|| ||<:><-2>718호||<:>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 (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一括)||<:>전북전주시완산구쑥고개로249,국립전주박물관(효자동2가,국립전주박물관)||<:>[[조선]]||<:>1981년 3월 18일 지정||<:>|| ||<:><-2>719호||<:>원각류해 권3 (圓覺類解 卷三)||<:>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고려]]||<:>1981년 7월 15일 지정||<:>|| ||<:><-2>720-1호||<:>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 (金剛般若經疏論纂要助顯錄)||<:>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고려]]||<:>1981년 7월 15일 지정||<:>|| ||<:><-2>720-2호||<:>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 (金剛般若經疏論纂要助顯錄)||<:>충청북도청주시청원구대성로298(내덕동,청주대학교박물관)||<:>[[고려]]||<:>2012년 4월 25일 지정||<:>|| ||<:><-2>721호||<:>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미상]]||<:>1981년 7월 15일 지정||<:>|| ||<:><-2>722호||<:>[[삼국사기]] 권44∼50 (三國史記 卷四十四∼五十)||<:> ||<:>[[고려 ]]||<:>1981년 07월 15일 지정||<:> || ||<:><-2>--723호--||<:>--[[삼국사기]]-- --(三國史記)--||<:>||<:>[[조선]]||<:>1981년 7월 15일 지정||<:>[* 2018년 2월 22일 해제, 국보 제322-2호로 승격]|| ||<:><-2>724호||<:>성주도씨 종중 문서 일괄 (星州都氏 宗中 文書 一括)||<:>충남논산시연산면관동길66-21(관동리)||<:>[[조선]]||<:>1981년 7월 15일 지정||<:>|| ||<:><-2>725호||<:>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南原楊氏 宗中 文書 一括)||<:>전북전주시완산구쑥고개로249,국립전주박물관(효자동2가,국립전주박물관)||<:>[[고려]]||<:>1981년 7월 15일 지정||<:>|| ||<:><-2>726호||<:>[[개국원종공신녹권#s-2.5|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張寬 開國原從功臣錄券)||<:>||<:>[[조선]]||<:>1981년 7월 15일 지정||<:>|| ||<:><-2>727호||<:>남양전씨 종중 문서 일괄 (南陽田氏 宗中 文書 一括)||<:>충남논산시성동면금백로563번길57-1(우곤리)||<:>[[조선]]||<:>1981년 7월 15일 지정||<:>|| ||<:><-2>728호||<:>설씨부인 권선문 (薛氏夫人 勸善文)||<:>전북전주시완산구쑥고개로249,국립전주박물관(효자동2가,국립전주박물관)||<:>[[조선]]||<:>1981년 7월 15일 지정||<:>|| ||<:><-2>729호||<:>[[예천 용문사 감역교지]] (醴泉 龍門寺 減役敎旨)||<:>경북예천군용문면용문사길285-30,용문사(내지리)||<:>[[조선]]||<:>1981년 7월 15일 지정||<:>|| ||<:><-2>730호||<:>울진 [[불영사]] 응진전 (蔚珍 佛影寺 應眞殿)||<:>경상북도울진군불영사길48(금강송면,불영사)||<:>[[신라]]||<:>1981년 7월 15일 지정||<:>|| ||<:><-2>731호||<:>의령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 (宜寧 菩提寺址 金銅如來立像)||<:>부산서구구덕로255,부민캠퍼스동아대학교박물관(부용동2가,동아대학교)||<:>[[통일신라]]||<:>1982년 3월 4일 지정||<:>|| ||<:><-2>732호||<:>[[조대비 사순칭경진하도 병풍]] (趙大妃 四旬稱慶陳賀圖 屛風)||<:>부산서구구덕로255,부민캠퍼스동아대학교박물관(부용동2가,동아대학교)||<:>[[조선]]||<:>1982년 2월 26일 지정||<:>|| ||<:><-2>733-1호||<:>[[헌종가례진하도 병풍]] (憲宗嘉禮陳賀圖 屛風)||<:>부산서구구덕로255,부민캠퍼스동아대학교박물관(부용동2가,동아대학교)||<:>[[조선]]||<:>1982년 2월 26일 지정||<:>|| ||<:><-2>733-2호||<:>[[헌종가례진하도 병풍]] (憲宗嘉禮陳賀圖 屛風)||<:>경기용인시기흥구상갈로6경기도박물관||<:>[[조선]]||<:>2011년 11월 1일 지정||<:>|| ||<:><-2>734호||<:>[[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陜川 海印寺 高麗木板)||<:>경남합천군가야면해인사길122,해인사(치인리)||<:>[[고려]]||<:>1982년 5월 22일 지정||<:>|| ||<:><-2>735호||<:>[[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榮州 浮石寺 高麗木板)||<:>경북영주시부석면북지리148부석사||<:>[[고려]]||<:>1982년 5월 22일 지정||<:>|| ||<:><-2>736호||<:>[[정명경집해관중소]] 권3~4 (淨名經集解關中疏 卷三~四)||<:>서울서대문구연세로50,중앙도서관(신촌동,연세대학교)||<:>[[조선]]||<:>1982년 5월 12일 지정||<:>|| ||<:><-2>737호||<:>[[불조역대통재]] (佛祖歷代通載)||<:>전남담양군담양읍남촌길77,용화사(남산리)||<:>[[조선]]||<:>1982년 11월 9일 지정||<:>|| ||<:><-2>738호||<:>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 (文殊師利菩薩最上乘無生戒經)||<:>경남양산시하북면지산리538번지통도사||<:>[[고려]]||<:>1982년 11월 9일 지정||<:>|| ||<:><-2>739호||<:>고희 초상 및 문중 유물 (高曦 肖像 및 門中 遺物)||<:>||<:>[[조선]]||<:>1982년 11월 9일 지정||<:>|| ||<:><-2>740호||<:>감지은니보살선계경 권8 (紺紙銀泥菩薩善戒經 卷八)||<:>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고려]]||<:>1982년 12월 7일 지정||<:>|| ||<:><-2>741호||<:>[[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 (傳 大邱 桐華寺 毘盧庵 三層石塔 蠟石舍利壺)||<:>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박물관||<:>[[통일신라]]||<:>1982년 12월 7일 지정||<:>|| ||<:><-2>742호||<:>삼존불비상 (三尊佛碑像)||<:>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필동3가,동국대학교박물관)||<:>[[통일신라]]||<:>1982년 12월 7일 지정||<:>|| ||<:><-2>743호||<:>[[정조필 파초도]] (正祖筆 芭蕉圖)||<:>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도서관)||<:>[[조선]]||<:>1982년 12월 7일 지정||<:>|| ||<:><-2>744호||<:>[[정조필 국화도]] (正祖筆 菊花圖)||<:>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조선]]||<:>1982년 12월 7일 지정||<:>|| ||<:><-2>745-1||<:>[[월인석보]] 권1~2 (月印釋譜 卷一~二)||<:>서울특별시마포구백범로35(신수동,서강대학교도서관)||<:>[[조선]]||<:>1983년 5월 12일 지정||<:>|| ||<:><-2>745-2||<:>[[월인석보]] 권7, 8 (月印釋譜 卷七,八)||<:>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도서관)||<:>[[조선]]||<:>1983년 5월 7일 지정||<:>|| ||<:><-2>745-3||<:>[[월인석보]] 권9, 10 (月印釋譜 卷九,十)||<:>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9(용산동6가,한글박물관)||<:>[[조선]]||<:>1983년 5월 7일 지정||<:>|| ||<:><-2>745-4||<:>[[월인석보]] 권13, 14 (月印釋譜 卷十三,十四)||<:>서울서대문구연세로50,중앙도서관(신촌동,연세대학교)||<:>[[조선]]||<:>1983년 5월 7일 지정||<:>|| ||<:><-2>745-5||<:>[[월인석보]] 권17~18 (月印釋譜 卷十七~十八)||<:>강원홍천군동면수타사로473,수타사(덕치리)||<:>[[조선]]||<:>1983년 5월 7일 지정||<:>|| ||<:><-2>745-6||<:>[[월인석보]] 권21 (月印釋譜 卷二十一)||<:>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조선]]||<:>1983년 5월 7일 지정||<:>|| ||<:><-2>745-7||<:>[[월인석보]] 권22 (月印釋譜 卷二十二)||<:>||<:>[[조선]]||<:>1983년 5월 7일 지정||<:>|| ||<:><-2>745-8||<:>[[월인석보]] 권23 (月印釋譜 卷二十三)||<:>||<:>[[]]||<:>1983년 5월 7일 지정||<:>|| ||<:><-2>745-9||<:>[[월인석보]] 권25 (月印釋譜 卷二十五)||<:>전남장흥군유치면봉덕리45번지보림사||<:>[[조선]]||<:>1997년 6월 12일 지정||<:>|| ||<:><-2>745-10||<:>[[월인석보]] 권15 (月印釋譜 卷十五)||<:>전북순창군복흥면봉덕길131-144,구암사(봉덕리)||<:>[[조선]]||<:>2000년 12월 22일 지정||<:>|| ||<:><-2>745-11||<:>[[월인석보]] 권20 (月印釋譜 卷二十)||<:>서울종로구효자로12,국립고궁박물관(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조선]]||<:>2006년 1월 17일 지정||<:>|| ||<:><-2>746호||<:>[[성석린 고신왕지]] (成石璘 告身王旨)||<:>||<:>[[조선]]||<:>1983년 5월 7일 지정||<:>|| ||<:><-2>747호||<:>최문병 의병장 안장 (崔文炳義兵將鞍裝)||<:>경북경산시박물관로46,경산시립박물관(사동)||<:>[[조선]]||<:>1983년 5월 7일 지정||<:>|| ||<:><-2>748호||<:>서울 경국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서울 慶國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서울성북구솔샘로15가길52-6,경국사(정릉동)||<:>[[조선]]||<:>1983년 5월 7일 지정||<:>|| ||<:><-2>749호||<:>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경기고양시덕양구대서문길406(북한동)/(지번)경기고양시덕양구북한동산1-1||<:>[[고려]]||<:>1983년 12월 27일 지정||<:>|| ||<:><-2>750호||<:>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原州 居頓寺址 三層石塔)||<:>강원원주시부론면정산리188번지||<:>[[신라]]||<:>1983년 12월 27일 지정||<:>|| ||<:><-2>751호||<:>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4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三十四)||<:>서울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호림박물관(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1984년 5월30일 지정||<:>|| ||<:><-2>752호||<:>[[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서울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호림박물관(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1984년 5월30일 지정||<:>|| ||<:><-2>753호||<:>상지금니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橡紙金泥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서울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호림박물관(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1984년 5월30일 지정||<:>|| ||<:><-2>754호||<:>[[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s-1|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七)||<:>서울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호림박물관(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1984년 5월30일 지정||<:>|| ||<:><-2>755호||<:>[[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s-2|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5~6]]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周本 卷五~六)||<:>서울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호림박물관(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1984년 5월30일 지정||<:>|| ||<:><-2>756호||<:>감지금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紺紙金泥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七)||<:>서울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호림박물관(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1984년 5월30일 지정||<:>|| ||<:><-2>757호||<:>[[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6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四十六)||<:>경남양산시하북면통도사로108,통도사(지산리)||<:>[[고려]]||<:>1984년 5월30일 지정||<:>|| ||<:><-2>758-1||<:>[[남명천화상송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고려]]||<:>1984년 5월30일 지정||<:>|| ||<:><-2>758-2||<:>[[남명천화상송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경상남도양산시탑골길208-208(용당동,박물관)공인박물관||<:>[[고려]]||<:>2012년 6월 29일 지정||<:>|| ||<:><-2>759호||<:>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60호||<:>[[능엄경언해#s-5.2|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1]]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 卷一)||<:>||<:>[[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61호||<:>[[능엄경언해#s-5.3|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2, 5]]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 卷二, 五)||<:>서울관악구관악로1,도서관(신림동,서울대학교)||<:>[[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62호||<:>[[능엄경언해#s-5.4|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7, 8]]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 卷七, 八)||<:>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63호||<:>[[능엄경언해#s-5.5|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7~8, 9~10]]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 卷七∼八, 九~十)||<:>서울동대문구회기로56,세종대왕기념관(청량리동)||<:>[[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64호||<:>[[능엄경언해#s-5.5|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2, 3, 4, 6, 7, 8, 9, 10]]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 卷二, 三, 四, 六, 七, 八, 九, 十)||<:>서울서대문구충정로9길10-10,(재)아단문고(충정로2가)||<:>[[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65호||<:>[[능엄경언해#s-5.6|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서울관악구관악로1,103호동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신림동,서울대학교)||<:>[[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 766-1||<:>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卷四∼七)||<:>서울서대문구충정로9길10-10,(재)아단문고(충정로2가)||<:>[[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 766-2||<:>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卷四~七)||<:>경기도광주시현산로361번길29-11(초월읍)||<:>[[조선]]||<:>2010년 10월 25일 지정||<:>|| ||<:><-2>767-1||<:>[[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s-4.1|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蒙山和尙法語略綠(諺解))||<:>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67-2||<:>[[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s-4.2|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蒙山和尙法語略綠(諺解))||<:>||<:>[[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67-3||<:>[[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s-4.3|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蒙山和尙法語略綠(諺解))||<:>||<:>[[조선]]||<:>1993년 9월10일 지정||<:>|| ||<:><-2>767-4||<:>[[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s-4.4|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蒙山和尙法語略綠(諺解))||<:>||<:>[[조선]]||<:>2017년 3월8일 지정||<:>|| ||<:><-2>769호||<:>[[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s-4.5|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蒙山和尙法語略綠(諺解))||<:>서울동대문구회기로56,세종대왕기념관(청량리동)||<:>[[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70호||<:>[[목우자수심결언해|목우자수심결(언해)]] (牧牛子修沁訣(諺解))||<:>서울관악구관악로1,103호동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신림동,서울대학교)||<:>[[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71호||<:>[[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언해#s-3.1|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언해)]] (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諺解))||<:>서울관악구관악로1,103호동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신림동,서울대학교)||<:>[[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72-1호||<:>[[금강경삼가해]] 권1, 5 (金剛經三家解 卷一, 五)||<:>서울동대문구회기로56,세종대왕기념관(청량리동)||<:>[[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72-2호||<:>[[금강경삼가해]] 권2 ,3 ,4, 5 (金剛經三家解 卷二, 三, 四, 五)||<:>서울관악구관악로1,103호동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신림동,서울대학교)||<:>[[조선]]||<:>2002년 8월 5일 지정||<:>|| ||<:><-2>772-3호||<:>[[금강경삼가해]] 권1 (金剛經三家解 卷一)||<:>전남장흥군유치면봉덕리45번지보림사||<:>[[조선]]||<:>2002년 8월 5일 지정||<:>|| ||<:><-2>772-4호||<:>[[금강경삼가해]] 권2 (金剛經三家解 卷二)||<:>대구달서구달구벌대로1095,동산도서관(신당동,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조선]]||<:>2001년 8월 3일 지정||<:>|| ||<:><-2>774-1호||<:>[[선종영가집언해|선종영가집(언해)]] (禪宗永嘉集(諺解))||<:>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조선]]||<:>1984년 5월30일 지정||<:>|| ||<:><-2>774-2호||<:>[[선종영가집언해|선종영가집(언해)]] (禪宗永嘉集(諺解))||<:>경남산청군단성면묵곡리210번지겁외사||<:>[[조선]]||<:>2010년 12월 21일 지정||<:>|| ||<:><-2>775호||<:>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서울중구다산로177,우리은행청구역점(신당동)||<:>[[고려]]||<:>1984년 5월30일 지정||<:>|| ||<:><-2>776호||<:>[[환두대도(보물 제776호)|환두대도]] (環頭大刀)||<:>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신라]]||<:>1984년 8월 6일 지정||<:>|| ||<:><-2>777호||<:>[[금동 자물쇠 일괄]] (金銅鎖金一括)||<:>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통일신라]]||<:>1984년 8월 6일 지정||<:>|| ||<:><-2>778호||<:>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 (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香垸)||<:>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4년 8월 6일 지정||<:>|| ||<:><-2>779호||<:>금동여래입상 (金銅如來立像)||<:>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삼국]]||<:>1984년 8월 6일 지정||<:>|| ||<:><-2>780호||<:>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1984년 8월 6일 지정||<:>|| ||<:><-2>781호||<:>[[금동용두토수]] (金銅龍頭吐首)||<:>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통일신라]]||<:>1984년 8월 6일 지정||<:>|| ||<:><-2>782호||<:>[[김홍도필 병진년 화첩]] (金弘道筆 丙辰年 畵帖)||<:>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조선]]||<:>1984년 8월 6일 지정||<:>|| ||<:><-2>783호||<:>김시필 동자견려도 (金禔筆 童子牽驢圖)||<:>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조선]]||<:>1984년 8월 6일 지정||<:>|| ||<:><-2>784호||<:>지장도 (地藏圖)||<:>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4년 8월 6일 지정||<:>|| ||<:><-2>785호||<:>[[백자 청화운룡문 병]] (白磁 靑畵雲龍文 甁)||<:>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조선]]||<:>1984년 8월 6일 지정||<:>|| ||<:><-2>786호||<:>[[백자 청화운룡문 병]] (白磁靑畵雲龍文甁)||<:>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조선]]||<:>1984년 8월 6일 지정||<:>|| ||<:><-2>787호||<:>[[분청사기 철화어문 항아리]] (粉靑沙器 鐵畵魚文 立壺)||<:>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조선]]||<:>1984년 8월 6일 지정||<:>|| ||<:><-2>788호||<:>[[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 (白磁 靑畵鯉魚文 立壺)||<:>서울특별시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한남동,삼성미술관리움)||<:>[[조선]]||<:>1984년 8월 6일 지정||<:>|| ||<:><-2>789호||<:>청자 쌍사자형 베개 (靑磁 雙獅子形 枕)||<:>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84년 8월 6일 지정||<:>|| ||<:><-2>790호||<:>영천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永川 銀海寺 百興庵 極樂殿)||<:>경북영천시청통면청통로951-792(치일리)||<:>[[조선]]||<:>1984년 7월 5일 지정||<:>|| ||<:><-2>791호||<:>[[백자 상감모란잎문 편병]] (白磁 象嵌牡丹葉文 扁甁)||<:>||<:>[[조선]]||<:>1984년 8월31일 지정||<:>|| ||<:><-2>792호||<:>이상길 초상 (李尙吉 肖像)||<:>전북전주시완산구쑥고개로249,국립전주박물관(효자동2가,국립전주박물관)||<:>[[조선]]||<:>1984년 8월31일 지정||<:>|| ||<:><-2>793호||<:>[[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像 腹藏遺物)||<:>강원평창군진부면동산리63번지월정사성보박물관||<:>[[조선]]||<:>1984년 10월 15일 지정||<:>|| ||<:><-2>794호||<:>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충남예산군봉산면화전리산62-3번지||<:>[[백제]]||<:>1984년 11월30일 지정||<:>|| ||<:><-2>795호||<:>장흥 천관사 삼층석탑 (長興 天冠寺 三層石塔)||<:>전남장흥군관산읍농안리739번지||<:>[[고려]]||<:>1984년 11월30일 지정||<:>|| ||<:><-2>796호||<:>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和順 雲住寺 九層石塔)||<:>전남화순군도암면천태로91-44(대초리)/(지번)전남화순군도암면용강리산36||<:>[[고려]]||<:>1984년 11월30일 지정||<:>|| ||<:><-2>797호||<:>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和順 雲住寺 石造佛龕)||<:>전남화순군도암면천태로91-44(대초리)/(지번)전남화순군도암면용강리941-32||<:>[[고려]]||<:>1984년 11월30일 지정||<:>|| ||<:><-2>798호||<:>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 (和順 雲住寺 圓形 多層石塔)||<:>전남화순군도암면천태로91-44(대초리)/(지번)전남화순군도암면용강리941-32||<:>[[고려]]||<:>1984년 11월30일 지정||<:>|| ||<:><-2>799호||<:>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公州 麻谷寺 五層石塔)||<:>충남공주시사곡면마곡사로966,마곡사(운암리)||<:>[[고려]]||<:>1984년 11월30일 지정||<:>|| ||<:><-2>800호||<:>공주 마곡사 영산전 (公州 麻谷寺 靈山殿)||<:>충남공주시사곡면마곡사로966,마곡사(운암리)||<:>[[조선]]||<:>1984년 11월30일 지정||<:>|| ||<-7><:>[[대한민국의 보물/401~600호|◀ 이전 목록으로]] '''대한민국의 보물/601~800호''' [[대한민국의 보물/801~1000호|다음 목록으로 ▶]] || [[분류:대한민국의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