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의 보물)]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보물]] 중 제2001호부터 제2142호까지, 그리고 2021년 11월 19일 지정번호제 폐지 이후 지정된 보물 목록이 나열된 문서. [[대한민국의 보물|본 문서]]에도 적혀있지만,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에서 〈[[문화재보호법]]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이후 지정된 보물[* 보물뿐만 아니라 국보, 사적, 천연기념물 등 국가지정문화재와 각 시·도 지정문화재들 역시 마찬가지로 지정번호를 매기지 않게 되었다.]부터는 지정번호가 없다. 이로 인해 2021년 10월 25일에 보물 제2142호로 지정된 '서울 진관사 태극기'까지는 지정번호가 부착되었고(이후 번호는 삭제), 2021년 11월 26일에 보물로 지정된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부터는 지정번호가 없다. == 목록 == ||<:><-2>'''호(號)'''||<:>'''이름/한문표기'''[* [[문화재청]]에 등재된 정식 명칭을 기준으로 한다.]||<:>'''지역'''||<:>'''시대'''||<:>'''지정년월일'''||<:>'''비고'''|| ||<:><-2>2001호||<:>[[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慶州 皇吾洞 金製耳飾)||<:>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신라]]||<:>2018년 10월 30일 지정||<:>|| ||<:><-2>2002호||<:>이익태 지영록 (李益泰 知瀛錄)||<:>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국립제주박물관||<:>[[조선]]||<:>2018년 10월 30일 지정||<:>|| ||<:><-2>2003호||<:>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 (南楊州 佛巖寺 木造觀音菩薩坐像)||<:>경기도 남양주시||<:>[[조선]]||<:>2018년 10월 30일 지정||<:>|| ||<:><-2>2004호||<:>서울 칠보사 목조석가여래좌상 (서울 七寶寺 木造釋迦如來坐像)||<:>서울특별시 종로구||<:>[[조선]]||<:>2018년 10월 30일 지정||<:>|| ||<:><-2>2005호||<:>군위 법주사 괘불도 (軍威 法住寺 掛佛圖)||<:>경상북도 군위군||<:>[[조선]]||<:>2018년 11월 27일 지정||<:>|| ||<:><-2>2006호||<:>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 (禮山 大蓮寺 毘盧遮那佛 掛佛圖)||<:>충청남도 예산군||<:>[[조선]]||<:>2018년 11월 27일 지정||<:>|| ||<:><-2>2007호||<:>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경상북도 상주시||<:>[[조선]]||<:>2018년 11월 27일 지정||<:>|| ||<:><-2>2008호||<:>'경선사'명 청동북 (‘景禪寺’銘 金鼓)||<:>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 리움박물관||<:>[[고려]]||<:>2018년 11월 27일 지정||<:>|| ||<:><-2>2009호||<:>장철 정사공신녹권 (張哲 定社功臣錄券)||<:>충청남도 천안시||<:>[[조선]]||<:>2018년 11월 27일 지정||<:>|| ||<:><-2>2010호||<:>[[얼굴무늬 수막새|경주 얼굴무늬 수막새]] (慶州 人面文 圓瓦當)||<:>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신라]]||<:>2018년 11월 27일 지정||<:>|| ||<:><-2>2011호||<:>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木浦 達聖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전라남도 목포시||<:>[[조선]]||<:>2019년 1월 3일 지정||<:>|| ||<:><-2>2012호||<:>‘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 (‘檜巖寺’銘 藥師如來三尊圖)||<:>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조선]]||<:>2019년 1월 3일 지정||<:>|| ||<:><-2>2013호||<:>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南楊州 水鐘寺 舍利塔)||<:>경기도 남양주시 북한강로433번길 186 (조안면, 수종사)||<:>[[조선]]||<:>2019년 1월 25일 지정||<:>|| ||<:><-2>2014호||<:>제진언집 목판 (諸眞言集 木板)||<:>강원도 속초시||<:>[[조선]]||<:>2019년 3월 6일 지정||<:>|| ||<:><-2>2015호||<:>고려 천수관음보살도 (高麗 千手觀音菩薩圖)||<:>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 리움박물관||<:>[[고려]]||<:>2019년 3월 6일 지정||<:>|| ||<:><-2>2016호||<:>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 (佛頂心觀世音菩薩大陁羅尼經)||<:>전라남도 장흥군||<:>[[조선]]||<:>2019년 3월 6일 지정||<:>|| ||<:><-2>2017호||<:>[[경산 신대리 1호 목관묘 출토 청동호랑이모양 띠고리]] (慶山 新垈里 一號 木棺墓 出土 靑銅虎形帶鉤)||<:>대구광역시 수성구 국립대구박물관||<:>[[조선]]||<:>2019년 3월 6일 지정||<:>|| ||<:><-2>2018호||<:>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 (高靈 池山洞 三十二號墳 出土 金銅冠)||<:>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가야]]||<:>2019년 3월 6일 지정||<:>|| ||<:><-2>2019호||<:>부산 복천동 22호분 출토 청동칠두령 (釜山 福泉洞 二十二號墳 出土 靑銅七頭鈴)||<:>부산광역시 동래구 국립김해박물관||<:>[[가야]]||<:>2019년 3월 6일 지정||<:>|| ||<:><-2>2020호||<:>부산 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 (釜山 福泉洞 三十八號墳 出土 鐵製甲冑 一括)||<:>부산광역시 동래구 국립김해박물관||<:>[[가야]]||<:>2019년 3월 6일 지정||<:>|| ||<:><-2>2021호||<:>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保寧 聖住寺址 東 三層石塔)||<:>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통일신라]]||<:>2019년 3월 28일 지정||<:>|| ||<:><-2>2022호||<:>[[군위 인각사 금동사자형 병향로|군위 인각사 출토 공양구 일괄]] (軍威 麟角寺 出土 供養具 一括)||<:>서울특별시 종로구||<:>[[통일신라]]||<:>2019년 5월 2일 지정||<:>|| ||<:><-2>2023호||<:>신간유편역거삼장문선대책 권5∼6 (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對策 卷五∼六)||<:>서울특별시 서초구||<:>기타||<:>2019년 5월 2일 지정||<:>|| ||<:><-2>2024호||<:>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求禮 泉隱寺 極樂寶殿)||<:>전라남도 구례군 노고단로 209 (광의면)||<:>[[조선]]||<:>2019년 5월 23일 지정||<:>|| ||<:><-2>2025호||<:>구미 대둔사 삼장보살도 (龜尾 大芚寺 三藏菩薩圖)||<:>경상북도 구미시||<:>[[조선]]||<:>2019년 6월 26일 지정||<:>|| ||<:><-2>2026호||<:>김천 직지사 괘불도 (金泉 直指寺 掛佛圖)||<:>경상북도 김천시||<:>[[조선]]||<:>2019년 6월 26일 지정||<:>|| ||<:><-2>2027호||<:>도은선생시집 권1~2 (陶隱先生詩集 卷一~二)||<:>서울특별시 서초구||<:>[[조선]]||<:>2019년 6월 26일 지정||<:>|| ||<:><-2>2028호||<:>[[도기 연유인화문 항아리 일괄 ]] (陶器 鉛釉印花文 壺 一括)||<:>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통일신라]]||<:>2019년 6월 26일 지정||<:>|| ||<:><-2>2029호||<:>이인문 필 강산무진도 (李寅文 筆 江山無盡圖)||<:>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조선]]||<:>2019년 6월 26일 지정||<:>|| ||<:><-2>2030호||<:>신편유취대동시림 권9~11, 31~39 (新編類聚大東詩林 卷九~十一, 三十一~三十九)||<:>대구광역시 달서구||<:>[[조선]]||<:>2019년 6월 26일 지정||<:>|| ||<:><-2>2031호||<:>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高敞 禪雲寺 懺堂庵 石造地藏菩薩坐像)||<:>전라북도 고창군||<:>[[조선]]||<:>2019년 6월 26일 지정||<:>|| ||<:><-2>2032호||<:>혼개통헌의 (渾蓋通憲儀)||<:>경기도 남양주시 실학박물관||<:>[[조선]]||<:>2019년 6월 26일 지정||<:>|| ||<:><-2>2033호||<:>완주 갈동 출토 동검동과 거푸집 일괄 (完州 葛洞 出土 銅劍銅戈 鎔范 一括)||<:>전라북도 전주시 국립전주박물관||<:>[[철기시대]]||<:>2019년 6월 26일 지정||<:>|| ||<:><-2>2034호||<:>완주 갈동 출토 정문경 일괄 (完州 葛洞 出土 精文鏡 一括)||<:>전라북도 전주시 국립전주박물관||<:>[[철기시대]]||<:>2019년 6월 26일 지정||<:>|| ||<:><-2>2035호||<:>수원 화령전 운한각·복도각·이안청 (水原 華寧殿 雲漢閣·複道閣·移安廳)||<:>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신풍로23번길 15 (신풍동)||<:>[[조선]]||<:>2019년 8월 29일 지정||<:>|| ||<:><-2>2036호||<:>안성 칠장사 대웅전 (安城 七長寺 大雄殿)||<:>경기도 안성시 칠장로 399-18 (죽산면, 칠장사)||<:>[[조선]]||<:>2019년 8월 29일 지정||<:>|| ||<:><-2>2037호||<:>나주 금성관 (羅州 錦城館)||<:>전라남도 나주시 금성관길 8 (과원동, 나주금성관)||<:>[[조선]]||<:>2019년 10월 25일 지정||<:>|| ||<:><-2>2038호||<:>경주부사선생안 (慶州府司先生案)||<:>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조선]]||<:>2019년 10월 31일 지정||<:>|| ||<:><-2>2039호||<:>경상도영주제명기 (慶尙道營主題名記)||<:>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등||<:>[[조선]]||<:>2019년 10월 31일 지정||<:>|| ||<:><-2>2040호||<:>재조본 대승법계무차별론 (再雕本 大乘法界無差別論)||<:>서울특별시 서초구||<:>기타||<:>2019년 10월 31일 지정||<:>|| ||<:><-2>2041호||<:>[[함안 마갑총 출토 말갑옷 및 고리자루 큰 칼]] (咸安 馬甲塚 出土 馬甲 및 環頭大刀)||<:>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90 (구산동, 국립김해박물관)||<:>[[가야]] 5세기||<:>2019년 12월 26일 지정||<:>|| ||<:><-2>2042호||<:>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 (陜川 玉田 M3號墳 出土 環頭大刀 一括)||<:>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등 3개처||<:>[[가야]] 5세기||<:>2019년 12월 26일 지정||<:>|| ||<:><-2>2043호||<:>[[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 (陜川 玉田 二十八號墳 出土 金製耳飾)||<:>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35 (남성동, 국립진주박물관) 등 2개처||<:>[[가야]] 5세기||<:>2019년 12월 26일 지정||<:>|| ||<:><-2>2044호||<:>[[합천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 (陜川 玉田 M4號墳 出土 金製耳飾)||<:>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가야]] 6세기||<:>2019년 12월 26일 지정||<:>|| ||<:><-2>2045호||<:>[[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귀걸이]] (陜川 玉田 M6號墳 出土 金製耳飾)||<:>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가좌동, 경상대학교) 경상대학교 박물관||<:>[[가야]] 6세기||<:>2019년 12월 26일 지정||<:>|| ||<:><-2>2046호||<:>강릉 [[경포대]] (江陵 鏡浦臺)||<:>강원도 강릉시 경포로 365 (저동, 경포대)||<:>[[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47호||<:>김천 방초정 (金泉 芳草亭)||<:>경상북도 김천시 상좌원1길 41 (구성면)||<:>[[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48호||<:>봉화 한수정 (奉化 寒水亭)||<:>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 134||<:>[[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49호||<:>청송 찬경루 (靑松 讚慶樓)||<:>경상북도 청송군 금월로 269 (청송읍)||<:>[[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50호||<:>[[청원루|안동 청원루]] (安東 淸遠樓)||<:>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87||<:>[[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51호||<:>안동 체화정 (安東 棣華亭)||<:>경상북도 안동시 풍산태사로 1123-10 (풍산읍)||<:>[[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52호||<:>경주 귀래정 (慶州 歸來亭)||<:>경상북도 경주시 천서길 7 (강동면)||<:>[[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53호||<:>달성 하목정 (達城 霞鶩亭)||<:>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 1043-1||<:>[[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54호||<:>영암 영보정 (靈巖 永保亭)||<:>전라남도 영암군 영보정길 10-8 (덕진면)||<:>[[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55호||<:>진안 수선루 (鎭安 睡仙樓)||<:>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 57||<:>[[조선]]||<:>2019년 12월 30일 지정||<:>|| ||<:><-2>2056호||<:>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2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一~二)||<:>경기도 고양시||<:>[[조선]]||<:>2020년 1월 6일 지정||<:>|| ||<:><-2>2057호||<:>지리전서동림조담 (地理全書洞林照膽)||<:>서울특별시 서초구||<:>[[조선]]||<:>2020년 1월 6일 지정||<:>|| ||<:><-2>2058호||<:>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 (白磁 靑畵梅鳥竹文 壺)||<:>서울특별시 서대문구||<:>[[조선]]||<:>2020년 1월 6일 지정||<:>|| ||<:><-2>2059호||<:>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 (釜山 福泉洞 十一號墳 出土 陶器 龜裝飾 圓筒形 器臺 및 短頸壺)||<:>경상남도 김해시||<:>[[가야]]||<:>2020년 2월 27일 지정||<:>|| ||<:><-2>2060호||<:>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出土 金銅佛像 一括)||<:>서울특별시 종로구||<:>[[고려]], [[조선]]||<:>2020년 2월 27일 지정||<:>|| ||<:><-2>2061호||<:>관북여지도 (關北輿地圖)||<:>부산광역시 서구||<:>[[조선]]||<:>2020년 2월 27일 지정||<:>|| ||<:><-2>2062호||<:>최광지 홍패 (崔匡之 紅牌)||<:>전라북도 부안군||<:>[[고려]]||<:>2020년 4월 23일 지정||<:>|| ||<:><-2>2063호||<:>육조대사법보단경 (六祖大師法寶壇經)||<:> 경상남도 사천시||<:>[[고려]]||<:>2020년 4월 23일 지정||<:>|| ||<:><-2>2064호||<:>백자 항아리 (白磁 大壺)||<:>부산광역시 남구||<:>[[조선]]||<:>2020년 4월 23일 지정||<:>|| ||<:><-2>2065호||<:>고창 선운사 만세루 (高敞 禪雲寺 萬歲樓)||<:>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로 250 (아산면)||<:>[[조선]]||<:>2020년 6월 1일 지정||<:>|| ||<:><-2>2066호||<:>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長城 白羊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전라남도 장성군||<:>[[조선]]||<:>2020년 6월 23일 지정||<:>|| ||<:><-2>2067호||<:>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 (尙州 南長寺 觀音禪院 木造觀音菩薩坐像)||<:>경상북도 상주시||<:>[[조선]]||<:>2020년 6월 23일 지정||<:>|| ||<:><-2>2068호||<:>안동 봉황사 대웅전 (安東 鳳凰寺 大雄殿)||<:>경상북도 안동시||<:>[[조선]]||<:>2020년 6월 25일 지정||<:>|| ||<:><-2>2069호||<:>영양 현리 오층모전석탑 (英陽 縣里 五層模塼石塔)||<:>경상북도 영양군||<:>[[신라]]||<:>2020년 7월 27일 지정||<:>|| ||<:><-2>2070호||<:>장용영 본영도형 일괄 (壯勇營 本營圖形 一括)||<:>경기도 성남시||<:>[[조선]]||<:>2020년 8월 27일 지정||<:>|| ||<:><-2>2071호||<:>[[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慶州 南山 長倉谷 石造彌勒如來三尊像)||<:>경상북도 경주시||<:>[[신라]]||<:>2020년 8월 27일 지정||<:>|| ||<:><-2>2072호||<:>[[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불좌상|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願堂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및 腹藏遺物)||<:>경상남도 합천군||<:>[[조선]]||<:>2020년 8월 27일 지정||<:>|| ||<:><-2>2073호||<:>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 (陜川 海印寺 願堂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腹藏典籍-大方廣佛華嚴經 晋本)||<:>경상남도 합천군||<:>[[조선]]||<:>2020년 8월 27일 지정||<:>|| ||<:><-2>2074호||<:>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陜川 海印寺 願堂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腹藏典籍-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경상남도 합천군||<:>[[조선]]||<:>2020년 8월 27일 지정||<:>|| ||<:><-2>2075호||<:>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제다라니 (陜川 海印寺 願堂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腹藏典籍-諸陀羅尼)||<:>경상남도 합천군||<:>[[조선]]||<:>2020년 8월 27일 지정||<:>|| ||<:><-2>2076호||<:>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公州 甲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ㆍ四菩薩立像 및 腹藏遺物)||<:>충청남도 공주시||<:>[[조선]]||<:>2020년 8월 27일 지정||<:>|| ||<:><-2>2077호||<:>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복장전적 (公州 甲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ㆍ四菩薩立像 腹藏典籍)||<:>충청남도 공주시||<:>[[조선]]||<:>2020년 8월 27일 지정||<:>|| ||<:><-2>2078호||<:>의성 고운사 연수전 (義城 孤雲寺 延壽殿)||<:>경상북도 의성군||<:>[[조선]]||<:>2020년 8월 31일 지정||<:>|| ||<:><-2>2079호||<:>간이벽온방(언해) (簡易辟瘟方(諺解))||<:>서울특별시 용산구||<:>[[조선]]||<:>2020년 10월 21일 지정||<:>|| ||<:><-2>2080호||<:>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新舊功臣相會題名之圖 屛風)||<:>부산광역시 서구||<:>[[조선]]||<:>2020년 10월 21일 지정||<:>|| ||<:><-2>2081호||<:>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 (金海 大成洞 七十六號墳 出土 頸飾)||<:>경상남도 김해시||<:>[[삼국시대]]||<:>2020년 10월 21일 지정||<:>|| ||<:><-2>2082호||<:>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 (金海 良洞里 二百七十號墳 出土 水晶頸飾)||<:>경상남도 김해시||<:>[[삼국시대]]||<:>2020년 10월 21일 지정||<:>|| ||<:><-2>2083호||<:>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 (金海 良洞里 三百二十二號墳 出土 頸飾)||<:>경상남도 김해시||<:>[[삼국시대]]||<:>2020년 10월 21일 지정||<:>|| ||<:><-2>2084호||<:>경진년 연행도첩 (庚辰年 燕行圖帖)||<:>서울특별시 서대문구||<:>[[조선]]||<:>2020년 12월 22일 지정||<:>|| ||<:><-2>2085호||<:>[[말모이]] 원고 (말모이 原稿)||<:>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국립한글박물관)||<:>[[일제강점기]]||<:>2020년 12월 22일 지정||<:>[*국가등록문화재 원래 이 주 문화재는 각각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523호와 524-1,524-2호로 지정했었는데, [[일제강점기]]라는 혹독한 시련 아래 [[조선어학회 사건|우리 말을 지켜낸 국민적 노력의 결실]]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대한민국 역사의 대표성과 상징성이 있는 문화재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승격되었다. 단, 524-1호로 지정된 '조선말 큰사전'의 경우, 해방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4점은 그대로 국가등록문화재로 유지하기로 했다.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2279§ionId=b_sec_1&mn=NS_01_02|관련 기사 1]], [[https://www.yna.co.kr/view/AKR20201008178200005?section=culture/scholarship|관련 기사 2]]]|| ||<:><-2>2086호||<:>조선말 큰사전 원고 (朝鮮말 큰사전 原稿)||<:>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일제강점기]]||<:>2020년 12월 22일 지정||<:>[*국가등록문화재 ]|| ||<:><-2>2087호||<:>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ㆍ곽자의전 (孝懿王后 御筆 및 函-萬石君傳ㆍ郭子儀傳)||<:>서울특별시 용산구||<:>[[조선]]||<:>2020년 12월 22일 지정||<:>|| ||<:><-2>2088호||<:>강릉향교 명륜당 (江陵鄕校 明倫堂)||<:>강원도 강릉시 명륜로 29 (교동, 강릉향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89호||<:>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 (江陵鄕校 東廡‧西廡‧前廊)||<:>강원도 강릉시 명륜로 29 (교동, 강릉향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0호||<:>[[수원향교]] 대성전 (水原鄕校 大成殿)||<:>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향교로 107-9 (교동, 수원향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1호||<:>안성향교 대성전 (安城鄕校 大成殿)||<:>경기도 안성시 명륜동 118 안성향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2호||<:>안성향교 풍화루 (安城鄕校 風化樓)||<:>경기도 안성시 명륜동 118 안성향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3호||<:>산청 단성향교 명륜당 (山淸 丹城鄕校 明倫堂)||<:>경상남도 산청군 교동길 13-15 (단성면, 단성향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4호||<:>밀양향교 대성전 (密陽鄕校 大成殿)||<:>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 (교동)||<:>[[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5호||<:>밀양향교 명륜당 (密陽鄕校 明倫堂)||<:>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 (교동)||<:>[[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6호||<:>상주향교 대성전‧동무‧서무 (尙州鄕校 大成殿‧東廡‧西廡)||<:>경상북도 상주시 신봉2길 111 (신봉동)||<:>[[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7호||<:>경주향교 명륜당 (慶州鄕校 明倫堂)||<:>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8호||<:>경주향교 동무‧서무‧신삼문 (慶州鄕校 東廡‧西廡‧神三門)||<:>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099호||<:>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潭陽 昌平鄕校 大成殿)||<:>전라남도 담양군 교촌길 43-11 (고서면)||<:>[[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100호||<:>담양 창평향교 명륜당 (潭陽 昌平鄕校 明倫堂)||<:>전라남도 담양군 교촌길 43-11 (고서면)||<:>[[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101호||<:>순천향교 대성전 (順天鄕校 大成殿)||<:>전라남도 순천시 향교길 60 (금곡동, 순천향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102호||<:>구미 금오서원 정학당 (龜尾 金烏書院 正學堂)||<:>경상북도 구미시 유학길 593-31 (선산읍, 금오서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103호||<:>구미 금오서원 상현묘 (龜尾 金烏書院 尙賢廟)||<:>경상북도 구미시 유학길 593-31 (선산읍, 금오서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104호||<:>안동 [[병산서원]] 만대루 (安東 屛山書院 晩對樓)||<:>경상북도 안동시 병산길 386 (풍천면, [[병산서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105호||<:>안동 [[도산서원]] 도산서당 (安東 陶山書院 陶山書堂)||<:>경상북도 안동시 도산서원길 154 (도산면, [[도산서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106호||<:>안동 도산서원 농운정사 (安東 陶山書院 隴雲精舍)||<:>경상북도 안동시 도산서원길 154 (도산면, [[도산서원]])||<:>[[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107호||<:>옥천 이지당 (沃川 二止堂)||<:>충청북도 옥천군 이백6길 126 (군북면, 문화재(옥천이지당))||<:>[[조선]]||<:>2020년 12월 28일 지정||<:>|| ||<:><-2>2108호||<:>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 (聞慶 鳳巖寺 磨崖彌勒如來坐像)||<:>경상북도 문경시||<:>[[조선]]||<:>2021년 1월 5일 지정||<:>|| ||<:><-2>2109||<:>‘미륵원’명 청동북 (‘彌勒院’銘 金鼓)||<:>경상남도 함양군||<:>[[고려]]||<:>2021년 1월 5일 지정||<:>|| ||<:><-2>2110호||<:>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固城 玉泉寺 靈山會 掛佛圖 및 函)||<:>경상남도 고성군||<:>[[조선]]||<:>2021년 1월 5일 지정||<:>|| ||<:><-2>2111호||<:>선원제전집도서 목판 (禪源諸詮集都序 木板)||<:>경상남도 하동군[* 보물 2111호부터 2113호 까지는 모두 [[쌍계사]]에서 소장하고 있다.]||<:>[[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2112호||<:>원돈성불론ㆍ간화결의론 합각 목판[* 고려 승려 [[지눌]]이 지은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과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을 1604년(선조 37년) 능인암에서 판각해 쌍계사로 옮긴 불경 목판으로 총 11판의 완질이다. 이 목판은 [[병자호란]] 이전에 판각되어 관련 경전으로서는 유일하게 전래되고 있는 목판이다.] (圓頓成佛論ㆍ看話決疑論 合刻 木板)||<:>경상남도 하동군||<:>[[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2113호||<:>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木板)||<:>경상남도 하동군||<:>[[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2114호||<:>2114-1호||<:>[[고려사]] (高麗史)||<:>서울특별시 관악구||<:>[[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114-2호||<:>[[고려사]] (高麗史)||<:>서울특별시 관악구||<:>[[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4>2115호||<:>2115-1호||<:>[[고려사]] (高麗史)||<:>서울특별시 관악구||<:>[[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115-2호||<:>[[고려사]] (高麗史)||<:>서울특별시 관악구||<:>[[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115-3호||<:>[[고려사]] (高麗史)||<:>서울특별시 서대문구||<:>[[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115-4호||<:>[[고려사]] (高麗史)||<:>부산광역시 서구||<:>[[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2116호||<:>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 (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 및 腹藏遺物)||<:>경상북도 김천시||<:>[[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2117호||<:>구미 대둔사 경장 (龜尾 大芚寺 經欌)||<:>경상북도 구미시||<:>[[조선]]||<:>2021년 2월 17일 지정||<:>|| ||<:><-2>2118호||<:>[[지정조격|지정조격 권1∼12, 23∼34]] (至正條格 卷一∼十二, 二十三∼三十四)||<:>경기도 성남시||<:>[[고려]]||<:>2021년 2월 17일 지정||<:>|| ||<:><-2>2119호||<:>세종 비암사 극락보전 (世宗 碑巖寺 極樂寶殿)||<:>[[세종특별자치시]]||<:>[[조선]]||<:>2021년 2월 26일 지정||<:>|| ||<:><-2>2120호||<:>공주 갑사 대웅전 (公州 甲寺 大雄殿)||<:>충청남도 공주시 갑사로 567-3 (계룡면)||<:>[[조선]]||<:>2021년 3월 25일 지정||<:>|| ||<:><-2>2121호||<:>의성 대곡사 범종루 (義城 大谷寺 梵鐘樓)||<:>경상북도 의성군 대곡사길 80 (다인면)||<:>[[조선]]||<:>2021년 3월 25일 지정||<:>|| ||<:><-2>2122호||<:>순천 팔마비 (順天 八馬碑)||<:>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95 (영동, 순천문화재단)||<:>[[조선]]||<:>2021년 3월 25일 지정||<:>|| ||<:><-2>2123호||<:>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 (長城 白羊寺 阿彌陀如來說法圖 및 腹藏遺物)||<:>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사로 450 (불갑면, 불갑사성보박물관)||<:>[[조선]]||<:>2021년 4월 21일 지정||<:>|| ||<:><-2>2124호||<:>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高敞 鳳德里 一號墳 出土 金銅飾履)||<:>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효자동2가, 국립전주박물관)||<:>[[백제]]||<:>2021년 4월 21일 지정||<:>|| ||<:><-2>2125호||<:>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羅州 丁村古墳 出土 金銅飾履)||<:>전라남도 나주시||<:>[[백제]]||<:>2021년 4월 21일 지정||<:>|| ||<:><-2>2126호||<:>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完州 松廣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塑造十六羅漢像 一括)||<:>전라북도 완주군||<:>[[조선]]||<:>2021년 6월 23일 지정||<:>|| ||<:><-2>2127호||<:>울진 불영사 불연 (蔚珍 佛影寺 佛輦)||<:>경상북도 울진군||<:>[[조선]]||<:>2021년 6월 23일 지정||<:>|| ||<:><-2>2128호||<:>송시열 초상 (宋時烈 肖像)||<:>충청북도 제천시||<:>[[조선]]||<:>2021년 6월 23일 지정||<:>|| ||<:><-2>2129호||<:>무주 한풍루 (茂朱 寒風樓)||<:>전라북도 무주군 한풍루로 326-5 (무주읍, 한풍루)||<:>[[조선]]||<:>2021년 6월 24일 지정||<:>|| ||<:><-2>2130호||<:>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楊州 檜岩寺址 舍利塔)||<:>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 14-3||<:>[[조선]]||<:>2021년 6월 24일 지정||<:>|| ||<:><-2>2131호||<:>칠곡 송림사 대웅전 (漆谷 松林寺 大雄殿)||<:>경상북도 칠곡군 송림길 73 (동명면)||<:>[[조선]]||<:>2021년 7월 22일 지정||<:>|| ||<:><-2>2132호||<:>대구 동화사 극락전 (大邱 桐華寺 極樂殿)||<:>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1길 1 (도학동)||<:>[[조선]]||<:>2021년 7월 22일 지정||<:>|| ||<:><-2>2133호||<:>대구 동화사 수마제전 (大邱 桐華寺 須摩提殿)||<:>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1길 1 (도학동)||<:>[[조선]]||<:>2021년 7월 22일 지정||<:>|| ||<:><-2>2134호||<:>[[수운잡방]] (需雲雜方)||<:>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조선]]||<:>2021년 8월 24일 지정||<:>|| ||<:><-2>2135호||<:>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 (서울 寧國寺址 出土 儀式供養具 一括)||<:>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방이동, 한성백제박물관)||<:>[[고려]]||<:>2021년 8월 24일 지정||<:>|| ||<:><-2>2136호||<:>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光州 德林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116번길 22 (월산동, 덕림사)||<:>[[조선]]||<:>2021년 10월 25일 지정||<:>|| ||<:><-2>2137호||<:>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 (高興 楞伽寺 木造釋迦如來三尊像 및 十六羅漢像 一括)||<:>전라남도 고흥군 팔봉길 21 (점암면, 능가사)||<:>[[조선]]||<:>2021년 10월 25일 지정||<:>|| ||<:><-2>2138호||<:>김해 은하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金海 銀河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경상남도 김해시 신어산길 167 (삼방동, 은하사)||<:>[[조선]]||<:>2021년 10월 25일 지정||<:>|| ||<:><-2>2139호||<:>구례 화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求禮 華嚴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四菩薩立像)||<:>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로 539 (마산면, 화엄사)||<:>[[조선]]||<:>2021년 10월 25일 지정||<:>|| ||<:><-2>2140호||<:>데니 태극기 (데니 太極旗)||<:>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조선]]||<:>2021년 10월 25일 지정||<:>|| ||<:><-2>2141호||<:>김구 서명문 태극기 (金九 署名文 太極旗)||<:>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일제강점기]]||<:>2021년 10월 25일 지정||<:>|| ||<:><-2>2142호||<:>서울 [[진관사]] 태극기 (서울 津寬寺 太極旗)||<:>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길 73 (진관동, 진관사)||<:>[[일제강점기]]||<:>2021년 10월 25일 지정||<:>|| === 지정번호 폐지 이후 === ||<-7><:> '''2021년 11월 19일부로 지정번호제 폐지''' || ||<-3><:>'''이름/한문표기'''||<:>'''소재지'''||<:>'''시대'''||<:>'''지정년월일'''||<:>'''비고'''|| ||<-3><:>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慶州 芬皇寺 幢竿支柱)||<:>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5-2||<:>[[통일신라]]||<:>2021년 11월 26일 지정||<:>|| ||<-3><:>[[무예제보]] (武藝諸譜)||<:>경기도 수원시||<:>[[조선]]||<:>2021년 12월 22일 지정||<:>|| ||<-3><:>대승기신론소 권하 (大乘起信論疏 卷下)||<:>대구광역시 달성군||<:>[[조선]]||<:>2021년 12월 22일 지정||<:>|| ||<-3><:>초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175 (初雕本 阿毗達磨大毗婆沙論 卷一百七十五)||<:>서울특별시 중랑구||<:>[[고려]]||<:>2021년 12월 22일 지정||<:>|| ||<-3><:>강진 무위사 감역교지 (康津 無爲寺 減役敎旨)||<:>전라북도 진안군||<:>[[조선]]||<:>2021년 12월 22일 지정||<:>|| ||<-3><:>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江陵 普賢寺 木造文殊菩薩坐像)||<:>강원도 강릉시||<:>[[조선]]||<:>2021년 12월 22일 지정||<:>|| ||<-3><:>울산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蔚山 新興寺 石造阿彌陀如來坐像)||<:>울산광역시 북구||<:>[[조선]]||<:>2021년 12월 22일 지정||<:>|| ||<-3><:>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서울 興天寺 毘盧遮那佛 三身掛佛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21년 12월 22일 지정||<:>|| ||<-3><:>[[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宗親府 敬近堂과 玉牒堂)||<:>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소격동)||<:>[[조선]]||<:>2021년 12월 27일 지정||<:>|| ||<-3><:>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大邱 慶尙監營 宣化堂)||<:>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 (포정동, 감영공원)||<:>[[조선]]||<:>2021년 12월 27일 지정||<:>|| ||<-3><:>[[남한산성]] 수어장대 (南漢山城 守禦將臺)||<:>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815-1||<:>[[조선]]||<:>2021년 12월 27일 지정||<:>|| ||<-3><:>남한산성 연무관 (南漢山城 演武館)||<:>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400-1||<:>[[조선]]||<:>2021년 12월 27일 지정||<:>|| ||<-3><:>안성 객사 정청 (安城 客舍 正廳)||<:>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양복리 238-2||<:>[[고려]]~[[조선]]||<:>2021년 12월 27일 지정||<:>|| ||<-3><:>강릉 칠사당 (江陵 七事堂)||<:>강원도 강릉시 경강로 2045 (명주동, 칠사당)||<:>[[조선]]||<:>2021년 12월 27일 지정||<:>|| ||<-3><:>원주 [[강원감영]] 선화당 (原州 江原監營 宣化堂)||<:>강원도 원주시 원일로 77 (일산동)||<:>[[조선]]||<:>2021년 12월 27일 지정||<:>|| ||<-3><:>거제 기성관 (巨濟 岐城館)||<:>경상남도 거제시 읍내로2길 22 (거제면, 거제기성관)||<:>[[조선]]||<:>2021년 12월 27일 지정||<:>|| ||<-3><:>앙부일구(2022-1) (仰釜日晷(2022-1))||<:>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조선]]||<:>2022년 2월 22일 지정||<:>|| ||<-3><:>앙부일구(2022-2) (仰釜日晷(2022-2))||<:>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조선]]||<:>2022년 2월 22일 지정||<:>|| ||<-3><:>앙부일구(2022-3) (仰釜日晷(2022-3))||<:>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 (돈암동,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조선]]||<:>2022년 2월 22일 지정||<:>|| ||<-3><:>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 (慶州 芬皇寺 金銅藥師如來立像)||<:>경상북도 경주시 분황로 94-11 (구황동, 분황사)||<:>[[조선]]||<:>2022년 2월 22일 지정||<:>|| ||<-3><:>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靑磁 獅子形蓋 香爐)||<:>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36 (용해동,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고려]]||<:>2022년 4월 26일 지정||<:>|| ||<-3><:>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서울 曹溪寺 木造如來坐像)||<:>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 (견지동, 조계사)||<:>[[조선]]||<:>2022년 4월 26일 지정||<:>|| ||<-3><:>[[청구영언]] (靑丘永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국립한글박물관)||<:>[[조선]]||<:>2022년 4월 26일 지정||<:>|| ||<-3><:>달마대사관심론 (達磨大師觀心論)||<:>경상남도 사천시 백천길 326-2 (백천동, 백천사)||<:>[[고려]]||<:>2022년 4월 26일 지정||<:>|| ||<-3><:>춘추경좌씨전구해 권1~9, 20~29, 40~70 (春秋經左氏傳句解 卷一∼九, 二十∼二十九, 四十∼七十)||<:>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 성균관대학교)||<:>[[조선]]||<:>2022년 4월 26일 지정||<:>|| ||<-3><:>신ㆍ구법천문도 병풍 (新ㆍ舊法天文圖 屛風)||<:>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효자동2가, 국립전주박물관)||<:>[[조선]]||<:>2022년 6월 23일 지정||<:>|| ||<-3><:>[[정조 한글어찰첩]] (正祖 한글御札帖)||<:>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국립한글박물관)||<:>[[조선]]||<:>2022년 6월 23일 지정||<:>|| ||<-3><:>경국대전 권1∼3 (經國大典 卷一∼三)||<:>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 (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조선]]||<:>2022년 6월 23일 지정||<:>|| ||<-3><:>경국대전 권4∼6 (經國大典 卷四∼六)||<:>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1 (매향동, 수원화성박물관)||<:>[[조선]]||<:>2022년 6월 23일 지정||<:>|| ||<-3><:>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慶州 玉山書院 無邊樓)||<:>경상북도 경주시 옥산서원길 216-27 (안강읍)||<:>[[조선]]||<:>2022년 7월 29일 지정||<:>|| ||<-3><:>장조 태봉도 (莊祖 胎封圖)||<:>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2022년 8월 26일 지정||<:>|| ||<-3><:>순조 태봉도 (純祖 胎封圖)||<:>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2022년 8월 26일 지정||<:>|| ||<-3><:>헌종 태봉도 (憲宗 胎封圖)||<:>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2022년 8월 26일 지정||<:>|| ||<-3><:>건칠보살좌상 (乾漆菩薩坐像)||<:>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고려]]~[[조선]]||<:>2022년 8월 26일 지정||<:>|| ||<-3><:>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金銅阿彌陀如來三尊像 및 腹藏遺物)||<:>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고려]]||<:>2022년 8월 26일 지정||<:>|| ||<-3><:>영천 인종대왕 태실 (永川 仁宗大王 胎室)||<:>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산 24||<:>[[조선]]||<:>2022년 8월 26일 지정||<:>|| ||<-3><:>법화현론 권3∼4 (法華玄論 卷三∼四)||<:>대구광역시 남구||<:>[[조선]]||<:>2022년 10월 26일 지정||<:>|| ||<-3><:>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 (咸安 末伊山 四十五號墳 出土 象形陶器 一括)||<:>경상남도 함안군 고분길 153-31 (가야읍, 함안박물관)||<:>[[가야]]||<:>2022년 10월 26일 지정||<:>|| ||<-3><:>속초 신흥사 영산회상도 (束草 新興寺 靈山會上圖)||<:>강원도 속초시 설악산로 1137 (설악동, 신흥사)||<:>[[조선]]||<:>2022년 10월 26일 지정||<:>|| ||<-3><:>봉화 청암정 (奉化 青巖亭)||<:>경상북도 봉화군 충재길 44 (봉화읍, 충재권벌선생 관계유적)||<:>[[조선]]||<:>2022년 10월 31일 지정||<:>|| ||<-3><:>영주 부석사 안양루 (榮州 浮石寺 安養樓)||<:>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로 345 (부석면, 부석사)||<:>[[조선]]||<:>2022년 10월 31일 지정||<:>|| ||<-3><:>영주 부석사 범종각 (榮州 浮石寺 梵鐘閣)||<:>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56||<:>[[조선]]||<:>2022년 10월 31일 지정||<:>|| ||<-3><:>남한산성 숭렬전 (南漢山城 崇烈殿)||<:>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717||<:>[[조선]]||<:>2022년 11월 25일 지정||<:>|| ||<-3><:>영월 창절사 (寧越 彰節祠)||<:>강원도 영월군 단종로 60 (영월읍, 창절서원)||<:>[[조선]]||<:>2022년 11월 25일 지정||<:>|| ||<-3><:>영동 세천재 (永同 歲薦齋)||<:>충청북도 영동군 내오곡길 94-97 (매곡면, 세천재)||<:>[[조선]]||<:>2022년 11월 25일 지정||<:>|| ||<-3><:>고흥 여산송씨 쌍충 정려각 (高興 礪山宋氏 雙忠 旌閭閣)||<:>전라남도 고흥군 마륜마서길 49-6 (동강면, 재실)||<:>[[조선]]||<:>2022년 11월 25일 지정||<:>|| ||<-3><:>강진 해남윤씨 추원당 (康津 海南尹氏 追遠堂)||<:>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강정리 82||<:>[[조선]]||<:>2022년 11월 25일 지정||<:>|| ||<-3><:>강진 해남윤씨 영모당 (康津 海南尹氏 永慕堂)||<:>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계라리 707||<:>[[조선]]||<:>2022년 11월 25일 지정||<:>|| ||<-3><:>전주 조경묘 정묘 (全州 肇慶廟 正廟)||<:>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3가 91-3||<:>[[조선]]||<:>2022년 11월 25일 지정||<:>|| ||<-3><:>포항 상달암 (浦項 上達菴)||<:>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새마을로766번길 21 (연일읍)||<:>[[조선]]||<:>2022년 11월 25일 지정||<:>|| ||<-3><:>김제 내아 (金堤 內衙)||<:>전라북도 김제시 동헌4길 46-1 (교동)||<:>[[조선]]||<:>2022년 11월 25일 지정||<:>|| ||<-3><:>경주 (전)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 (慶州 傳 念佛寺地 東‧西 三層石塔)||<:>경상북도 경주시 남산동 1129-3||<:>[[통일신라]]||<:>2022년 11월 25일 지정||<:>|| ||<-3><:>손소 적개공신교서 (孫昭 敵愾功臣敎書)||<:>경기도 성남시||<:>[[조선]]||<:>2022년 12월 27일 지정||<:>|| ||<-3><:>[[사시찬요]] (四時纂要)||<:>경상북도 예천군||<:>[[조선]]||<:>2022년 12월 27일 지정||<:>|| ||<-3><:>대방광불화엄경소 권88 (大方廣佛華嚴經疏 卷八十八)||<:>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박물관)||<:>[[고려]]||<:>2022년 12월 27일 지정||<:>|| ||<-3><:>불조역대통재 (佛祖歷代通載)||<:>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9길 15-14 (사직동, 종로도서관)||<:>[[조선]]||<:>2022년 12월 27일 지정||<:>|| ||<-3><:>초조본 유가사지론 권66 (初雕本 瑜伽師地論 卷六十六)||<:>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국립한글박물관)||<:>[[조선]]||<:>2022년 12월 27일 지정||<:>|| ||<-3><:>[[이봉창]] 의사 선서문 (李奉昌 義士 宣誓文)||<:>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일제강점기]]||<:>2022년 12월 27일 지정||<:> [* 원래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2009년 4월 8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01호 ~ 제800호|국가등록문화재 745-1호]])되었다가 보물로 승격한 것이다.]|| ||<-3><:>순천 [[선암사]] 일주문 (順天 仙巖寺 一柱門)||<:>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길 450 (승주읍, 선암사)||<:>[[조선]]||<:>2022년 12월 28일 지정||<:>|| ||<-3><:>문경 봉암사 봉황문 (聞慶 鳳巖寺 鳳凰門)||<:>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627||<:>[[조선]]||<:>2022년 12월 28일 지정||<:>|| ||<-3><:>구례 천은사 일주문 (求禮 泉隱寺 一柱門)||<:>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산 1-1||<:>[[조선]]||<:>2022년 12월 28일 지정||<:>|| ||<-3><:>대구 [[동화사]] 봉황문 (大邱 桐華寺 鳳凰門)||<:>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산 124-1||<:>[[조선]]||<:>2022년 12월 28일 지정||<:>|| ||<-3><:>고성 옥천사 자방루 (固城 玉泉寺 滋芳樓)||<:>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 408||<:>[[조선]]||<:>2022년 12월 28일 지정||<:>|| ||<-3><:>상주 대산루 (尙州 對山樓)||<:>경상북도 상주시 채릉산로 799-46 (외서면)||<:>[[조선]]||<:>2022년 12월 28일 지정||<:>|| ||<-3><:>성남 봉국사 대광명전 (城南 奉國寺 大光明殿)||<:>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로 79 (태평동, 봉국사)||<:>[[조선]]||<:>2022년 12월 28일 지정||<:>|| ||<-3><:>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 (南原 實相寺 片雲和尙塔)||<:>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후백제]]||<:>2022년 12월 28일 지정||<:>|| ||<-3><:>[[나신걸 한글편지]] (羅臣傑 한글便紙)||<:>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98 (상대동, 대전역사박물관)||<:>[[조선]]||<:>2023년 3월 9일 지정||<:>|| ||<-3><:>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昌寧 觀龍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경상남도 창녕군 화왕산관룡사길 171 (창녕읍)||<:>[[조선]]||<:>2023년 3월 9일 지정||<:>|| ||<-3><:>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서울 靑龍寺 毘盧遮那佛 三身掛佛圖)||<:>서울특별시 종로구 동망산길 65 (숭인동, 청룡사)||<:>[[조선]]||<:>2023년 3월 9일 지정||<:>|| ||<-3><:>독서당계회도(2023) (讀書堂契會圖(2023))||<:>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조선]]||<:>2023년 4월 28일 지정||<:>|| ||<-3><:>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安城 靑龍寺 金銅觀音菩薩坐像)||<:>경기도 안성시 청룡길 140 (서운면, 대한불교조계종 청룡사)||<:>[[고려]]||<:>2023년 4월 28일 지정||<:>|| ||<-3><:>수능엄경의해 권9∼15 (首楞嚴經義海 卷9∼15)||<:>부산광역시 금정구 동부곡로 50 (부곡동, 401호)||<:>[[조선]]||<:>2023년 4월 28일 지정||<:>|| ||<-3><:>이항복 해서 천자문 (李恒福 楷書 千字文)||<:>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조선]]||<:>2023년 4월 28일 지정||<:>|| ||<-3><:>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 (朝鮮王朝 御寶・御冊・敎命)||<:>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조선]]||<:>2023년 6월 20일 지정||<:>|| ||<-3><:>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 (朝鮮王朝 御寶・御冊・敎命(2023))||<:>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조선]]||<:>2023년 6월 20일 지정||<:>|| ||<-3><:>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2) (朝鮮王朝 御寶・御冊・敎命(2023-2))||<:>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안암동5가, 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 고려대학교박물관||<:>[[조선]]||<:>2023년 6월 20일 지정||<:>|| ||<-3><:>[[근묵]] (槿墨)||<:>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 성균관대학교박물관)||<:>[[일제강점기]]||<:>2023년 6월 20일 지정||<:>|| ||<-3><:>아미타여래구존도 (阿彌陀如來九尊圖)||<:>울산광역시 남구 두왕로 277 (신정동, 박물관) 울산박물관||<:>[[조선]]||<:>2023년 6월 20일 지정||<:>|| ||<-3><:>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順天 桐華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전라남도 순천시 동화사길 208 (별량면, 동화사)||<:>[[조선]]||<:>2023년 6월 20일 지정||<:>|| ||<-3><:>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康津 白蓮寺 大雄寶殿)||<:>전라남도 강진군 백련사길 145 (도암면, 백련사)||<:>[[조선]]||<:>2023년 6월 26일 지정||<:>|| ||<-3><:>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金正喜 筆 不二禪蘭圖)||<:>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조선]]||<:>2023년 8월 24일 지정||<:>|| ||<-3><:>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機張 古佛寺 靈山會上圖)||<:>부산광역시 기장군 고촌로28번길 77 (철마면, 고불사)||<:>[[조선]]||<:>2023년 8월 24일 지정||<:>|| ||<-3><:>파주 보광사 동종 (坡州 普光寺 銅鍾)||<:>경기도 파주시 보광로474번길 87 (광탄면, 보광사)||<:>[[조선]]||<:>2023년 8월 24일 지정||<:>|| ||<-7><:>[[대한민국의 보물/1801~2000호|◀ 이전 목록으로]] '''대한민국의 보물/2001~2200호''' || [[분류:대한민국의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