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목록)] [목차] == 개요 == 다음은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201호부터 제300호까지의 목록이다. == 201~210호 == * 제201호 [[통영 해저터널]]: [[1932년]] 완공된 '''동양 최초의 [[해저터널]]'''. * 제202호 구 [[진주역 차량정비고]]: [[1925년]]에 건립되었다. * 제203호 거창 정장리 최남식 가옥 * 제204호 [[밀양시]] [[상동터널]]: 건립시기는 [[1905년]] 이전. 길이가 40m, 60m 2기이며, 콘크리트조 터널이 보급되기 전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1965년]]에 경부선 복선화로 이전하기 전까지 쓰였으며, 100년이 지난 지금도 원형 그대로 보존되고 있으며, 포평리와 여수동을 잇는 도로로 쓰이고 있다. * 제205호 구 [[밀양역]] 파출소 * 제206호 밀양 구 비행기격납고 * 제207호 군산 구 제1수원지 제방 * 제208호 군산 [[임피역|임피역사]]: [[군산선]](현재는 [[장항선]]으로 편입됨)의 역사로, [[대야역]]과 [[군산역]] 사이에 있다. * 제209호 익산 주현동 구 [[일본인]]농장 사무실: 이전 명칭은 익산 주현동 구 大橋농장 사무실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일본인 이름 삭제됨 * 제210호 익산 춘포역사: [[전라선]] [[춘포역]]의 건물로 [[동익산역]]과 [[삼례역]] 사이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로 알려져 있다. 2011년 전라선 개량으로 인하여 선로가 고가화되면서 그대로 폐역되었고, 역사를 제외한 역 내부 시설은 모두 철거되었다. == 211~220호 == * 제211호 익산 춘포리 구 일본인농장 가옥: 이전 명칭은 익산 춘포리 구 細川농장 가옥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일본인 이름 삭제됨 * 제212호 정읍 영주정사 및 영양사 * 제213호 정읍 진산동 영모재 * 제214호 정읍 관청리 조재홍 가옥 * 제215호 정읍 화호리 구 일본인농장 가옥: 이전 명칭은 정읍 화호리 구 熊本농장 가옥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일본인 이름 삭제됨 * 제216호 장수경찰서 관사 * 제217호 포항 구 삼화제철소 고로 [[파일:external/www.cha.go.kr/20051116104342200000.jpg]] 원래 이 고로는 삼척군 북평읍(현재의 [[동해]]시 북평동)에 있었으나, [[포항제철]]이 출범한 후 이를 포항으로 옮겼다. * 제218호 봉화 유곡리 김직현 가옥 * 제219호 김제 신풍동 손효성 가옥 * 제220호 김제 종신리 황병주 가옥 == 221~230호 == * 제221호 완주 구 삼례양수장 * 제222호 곡성 삼기우체국(구 삼기면사무소) * 제223호 광양 [[서울대학교]] 남부연습림 관사 * 제224호 순천 별량농협창고 * 제225호 순천 옥천동 서한모 가옥 * 제226호 보성 벌교 농민상담소(구 벌교금융조합) * 제227호 고흥 풍양농협(구 풍양지소 금융조합) * 제228호 곡성 단군전 * 제229호 서울 북촌문화센터(구 민형기 가옥) * 제230호 [[천주교 서울대교구]] [[혜화동 성당]]: 성당 뒤편에는 부설유치원이 있고, 여기서 언덕을 오르면 [[사제(성직자)|사제]]를 양성하는 신학교인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이 있다. [[학교법인 가톨릭학원]] 소속의 남학교인 [[동성중학교(서울)|동성중학교]]와 [[동성고등학교]]도 가까이 있다. == 231~240호 == * 제231호 서울 창전동 [[공민왕]] 사당 * 제232호 공주 [[금강교|금강철교]]: 우리가 흔히 아는 기차가 지나가는 철도교와는 전혀 상관 없는 다리이며, 다만 철(鐵)로 교량을 구축하였기 때문에 철교로 불린다. 1932년 [[충청남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한 이후, 공주 지역의 반발을 막기 위해서 세운 다리로, 현재는 강북에서 강남 방향으로 건너가는 일방통행으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노후화 된 다리의 상태로 인하여 1.5톤 이상 화물차와 18인승 이상의 승합차는 출입 금지.] 백제큰다리(백제큰길)와 금강철교 사이에 제2금강교가 완공되면 이 다리는 보행자전용으로 바뀔 예정이다만... 바로 옆에 [[공산성]]과 인근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송산리 고분군]] 등의 이유로 해서 논란이 많은 편이다. 자세한 건 [[금강교]] 문서 2번 참조. * 제233호 공주 중학동 구 선교사가옥 * 제234호 남해 덕신리 하천재 * 제235호 울릉도 도동리 이영관 가옥(구 일본인 가옥): 현재 문화유산 국민신탁이 관리하고 있으며, 보수정비를 거쳐서 울릉역사문화센터로 사용하고 있다. [[도동항]]에서 걸어서 5분 정도 골목길에 위치해 있다. * 제236호 고흥 구 녹동우편소 * 제237호 구 [[대법원]] 청사 [[파일:/100/400/79/1264679.jpg]] 1928년에 세워져 1995년까지 사용하다가 대법원이 [[서초동]]으로 이전한 후, 파사드(정면)만 남겨두고 재건축하여 현재 [[서울시립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비슷한 건물로는 [[서울시청]] 본관이 있다. * 제238호 구 미국 문화원: 원래 해당 건물 터에는 1900년대 초부터 일본 미쓰이물산 경성지점이 있었으나, 1938년부터 기존 건물을 헐고 지하 1층/지상 4층으로 새로 지었다. 1945년 8.15 광복 후, 1948년 미국 정부에 불하되어 한동안 미국문화원 청사로 쓰였으며, 1985년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이 터진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했다. 1990년부터 서울시로 넘어가 1992년 청소사업본부, 1997년 종합자료관을 거쳐 2008년 구 시청 건물의 철거로 인해 을지로 별관으로 쓰이다가 2015년부터 밀랍인형 박물관 '그레뱅 뮤지엄'이 됐다. * 제239호 구 목포사범학교 본관: 현재는 [[목포대학교]] 목포캠퍼스 내 도서문화연구원·어울림아카데미 건물로 쓰이고 있다. 자세한 건 목포대학교 문서 참조. * 제240호 [[창덕궁 희정당#s-5.2.1|창덕궁 희정당 총석정절경도]] 240호와 241호는 [[김규진(화가)|김규진]]이 1920년대에 희정당 벽에 그린 벽화로서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 241~250호 == * 제241호 [[창덕궁 희정당#s-5.2.1|창덕궁 희정당 금강산만물초승경도]] * 제242호 [[창덕궁 대조전#s-4.2.1|창덕궁 대조전 봉황도]] * 제243호 [[창덕궁 대조전#s-4.2.1|창덕궁 대조전 백학도]] * 제244호 [[창덕궁 경훈각#s-3.2.1|창덕궁 경훈각 조일선관도]] * 제245호 [[창덕궁 경훈각#s-3.2.1|창덕궁 경훈각 삼선관파도]] * 제246호 인천 선린동 [[공화춘#s-1.1|공화춘]] [[파일:/100/400/72/401872.jpg]] [[차이나타운(인천)|인천 차이나타운]]에 있는 공화춘은 대한민국 최초의 [[중화요리]] 음식점으로 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은 구 건물이다. 원래 이 건물은 안전등급이 매우 낮고 붕괴의 위험이 있어 개방되지 않고 있었으나 현재는 자장면박물관으로 리모델링되어 공개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역]]에서 걸어서 3분 거리에 있다. 참고로 그 인근에 "공화춘"이라는 이름으로 영업하는 중화요리점은 오리지널 공화춘과는 아무 관련이 없으며 2004년 한국인이 상표만 가로채서 세운 곳이다. * 제247호 대한민국 수준원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인하공업전문대학]] 내에 있다. 1963년 12월 설치. 수준원점은 해발고도를 나타내는 지점으로 이를 기점으로 특정 지역의 해발 높이가 결정된다. 해발 0m 지점에는 설치하기 어려우므로, 인하공전의 수준원점 표고는 해발 (+)26.6871m. * 제248호 [[구 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구 일본우선 주식회사 인천지점]]: [[인천광역시]] [[중구(인천)|중구]] 중앙동에 있으며 이 건물 바로 북쪽에 대한민국 최초의 서양식 호텔로 기록된 [[대불호텔]]이 전시관 형태로 복원돼 있다. 해당 건물은 인천아트플랫폼과 묶여 있다. * 제249호 [[중구청(인천)|구 인천부 청사]]: 이 건물은 1985년까지 [[인천광역시청|인천시청]]으로 쓰이다가 현재는 [[인천광역시]] 중구청 본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제250호 [[한강철교|한강철도교]]: 대한민국 최초의 철도 교량이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곳은 현재 [[KTX]] 및 일반열차가 지나가는 복선 C 교량과 급행 전철이 지나가는 단선 A, B 교량이다. 일반 전철이 지나가는 D 교량은 1990년대에 지어졌기 때문에 문화재 지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 251~260호 == * 제251호 대구 대봉배수지 * 제252호 [[대구화교협회]] * 제253호 영천 과전동 성용환 가옥 * 제254호 영천 구 화룡교 * 제255호 영양 구 용화광산 선광장 * 제256호 청도 풍각면사무소 * 제257호 봉화 척곡교회 * 제258호 [[경상남도 고성군]] 학동마을 옛 담장 * 제259호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 * 제260호 산청 단계마을 옛 담장 == 261~270호 == * ~~제261호 성주 한개마을 옛 담장~~ (2010. 8. 25. 등록문화재 해제, 성주 한개마을이 중요민속자료 255호로 지정됨에 따라 등록문화재 해제) * 제262호 무주 지전마을 옛 담장 * 제263호 익산 함라마을 옛 담장 * 제264호 강진 병영마을 옛 담장 * 제265호 담양 창평 삼지천마을 옛 담장 * 제266호 대구 옻골마을 옛 담장 * 제267호 [[경운궁 양이재]]: 이 건물은 [[성공회 서울대성당]] 내에 있다. 현재 내부는 현대식으로 개량된 상태이며, [[서울교구장]] 공관으로 사용된다. * 제268호 [[최순우 옛집|서울 성북동 최순우 가옥]] * 제269호 서울 청량리역 구 검수차고: [[청량리역]] 구내에 있다. 원형으로 지어져 기관차의 검수를 담당하던 곳이었으나, 문화재 지정 당시 17칸이 남았다가 지금은 3칸만 남아 있다. * 제270호 [[반야월역(대구선)|반야월역사]]: 구 [[대구선]]의 반야월역으로 사용되던 건물로, 이 건물은 원래 장소에서 500m 떨어진 곳에 이전되었다. == 271~280호 == * 제271호 구 [[천주교 춘천교구]] 포천성당: 이 건물은 지붕이 없는데 그 이유는 [[1989년]] 화재로 성당이 소실되었기 때문이다. 지금의 포천성당은 이와 약 60m 가량 떨어진 곳에 크게 지어져 있다. * 제272호 [[홍성고등학교]] 강당: 지금은 학교가 [[내포신도시]]로 이전했으나, 명칭은 그대로 쓰고 있는 듯 하다.[* 참고로, 해당 강당을 비롯한 옛 홍성고 부지는 이후 홍성여자고등학교가 이전해서 쓰고 있다. 홍성고등학교 시설에는 학습실→전시관으로 사용되었고, 홍성여자고등학교가 이전한 이후로는 카페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 제273호 제천 엽연초 수납취급소: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건물을 사용하거나 보수하지 않아 많이 훼손된 상태라고 한다. * 제274호 화순 [[오지호(화가)|오지호]] 생가 * 제275호 화순농협 동부지점 * 제276호 정읍 나용균 생가 및 사당 * 제277호 거제 학동 진석중 가옥 * 제278호 상주 구 내서면사무소 * 제279호 청산도 상서마을 옛 담장 * 제280호 부여 반교마을 옛 담장 == 281~290호 == * 제281호 산청 남사마을 옛 담장 * 제282호 흑산도 사리마을 옛 담장 * 제283호 비금도 내촌마을 옛 담장 * 제284호 상주농협협동조합 구 창고 * 제285호 구 왜관터널: 구 왜관철교(호국의 다리)가 아직 사용중일 때 [[왜관역]]에서 철교로 진입하기 위해 뚫은 단선 터널이다. 철교보다 터널이 먼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철교쪽 입구만 있고, 반대편 입구는 매몰된 상태이다. 철교 건너편에도 터널이 하나 더 있지만 이 터널은 가정집 뒤편에 있는데다 반대편이 역시 매몰되고, 훼손 상태가 심해서인지 등록문화재 지정이 안 된 상태다. * 제286호 울진 행곡교회 * 제287호 울진 용장교회 * 제288호 영덕 송천예배당 * 제289호 문경 구 금융조합사택 * 제290호 경주 구 서경사: 국내에 현존하는 [[일본]]식 사찰 건물 중 하나. 일본식의 목조 불당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팔작지붕의 건물로, 일본 [[불교]]계가 경주지역 포교를 위해 지은 건물. 해방 이후에는 이런 저런 용도로 굴려지다가 현재는 무형문화재인 정가의 전수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291~300호 == * 제291호 구 군위성결교회 * 제292호 경주 우안 양수장 * 제293호 청도 이호우와 이영도 생가 * 제294호 고양 [[일산역]]: [[경의선]] 일산역의 옛 건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전철화]]가 된 2009년 이후 기존 위치에서 200m 떨어진 현재의 역사로 업무가 넘어갔고, 이후 빈 건물로 남았다가 [[http://ilsan-platform.com/|전시관과 어린이도서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 제295호 남양주 [[팔당역]]: [[중앙선]] 팔당역의 건물로, 역사가 승강장에 서 있는 형태의 역이다. 이 역사는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하기 전 역무실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 역사와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서는 신역사와는 다른 역으로 거리가 제법 떨어져 있다. * 제296호 양평 [[구둔역]]: [[중앙선]] 구둔역의 건물로, [[석불역]]과 [[매곡역]] 사이에 있다. 이 역사는 이 역이 포함된 구간이 복선전철화되어 이설됨에 따라 2012년 8월 16일 새 역사로 이전, 사용되지 않고 있다. * 제297호 영동 [[심천역]]: [[경부선]] 심천역의 건물이다. [[지탄역]]과 [[각계역]] 사이에 있다. * 제298호 삼척 [[도경리신호장|도경리역]]: [[영동선]] 도경리역의 건물로, [[동해역]]과 [[미로역]] 사이에 있다. 이 역은 현재 여객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역이며, 역명판이 다른 역과는 달리 구형 나무판으로 되어 있다. 현재 리모델링이 끝나서 예전의 모습을 볼 수 없다. * 제299호 나주 [[남평역]]: [[경전선]] 남평역의 건물이다. * 제300호 화랑대역: 구 [[경춘선]] [[화랑대역(경춘선)|화랑대역]]의 건물로, [[육군사관학교]] 정문 앞에 있다. 2010년 12월 21일부로 경춘선이 신설 구간으로 이설되어 더 이상 여객 열차가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