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목록)] [목차] == 개요 == 다음은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01호부터 제200호까지의 목록이다. == 제101~110호 == * 제101호 대전 [[충청남도청]] 구 관사 1·2·5·6호와 부속창고: 충청남도청이 이전하기 전까지 [[충청남도]]의 국장급 이상 간부들이 머물렸던 관사들 중 일부와 창고들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전쟁]]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임시로 머물렸다는 [[충청남도지사]]의 관사(공관)는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받고 있으며, 현재는 관사촌 일대를 [[http://temiorae.com/|테미오래]]로 꾸며서 일반에 개방하고 있다. * 제102호 [[울산광역시|울산]] 구 상북면사무소 * 제103호 울산 언양성당 본관 및 사제관([[천주교 부산교구]]) * 제104호 울산 [[구 삼호교]]: 관련 문서에도 나오지만, 전체가 아닌 일부만 남아있다. 1990년대 현재의 [[삼호교]] 건설 당시 일부분을 없앴기 때문이다. * 제105호 울산 [[남창역]]사 [[동해선]] 복선전철화 과정에서도 살아남았다. 다만, 2020년 9월 이후부터는 역사 업무를 신 역사로 넘긴 바람에 현재는 빈 건물로 남아있다. * 제106호 울산 [[울기등대]] 구 등탑 * 제107호 춘천 강원도지사 구 관사: 관사 이후로는 춘천문화원(등록 당시 명칭)으로 하다가, 문화원 이전 후에는 [[춘천시청]]의 부속 건물로 쓰였다. 춘천시청이 기존 청사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신축할 당시 이전 논란이 불거지긴 했지만, [[https://www.yna.co.kr/view/AKR20151201197900062?input=1195m|이전 대신]] 존치하면서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는 [[http://www.newsmak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98264|춘천시 마을자치지원센터로 운영]]한다고 한다. * 제108호 구 [[홍천군청]]: 건축 당시 군청으로 썼으며, 이후 읍사무소를 거쳐 현재는 지역 미술관으로 쓰이고 있다. * 제109호 화천 수력발전소 * 제110호 화천 꺼먹다리 == 제111~120호 == * 제111호 [[태백시|태백]] 장성이중교: 2000년대 이후로는 사용을 하지 않고 있지만, 최근에 [[https://www.yna.co.kr/view/AKR20200914090300062?input=1195m|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보도되어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 제112호 [[금강산]] [[금강산선|전기철도]] 교량: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안에 위치하여 있어 출입이 불가능하다. 단, 출입하기 위해서는 인근의 음식점을 이용하는 조건으로 출입해야 하는데, 이 곳에서 메기매운탕을 먹어야 한다. 2인분에 3만원이므로 이 정도의 돈을 쓰고 갈 각오하고 들어가야 할 것이며, 원형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 제113호 제주 이승만 별장: 송당목장 안에 있어서 출입이 어렵다. * 제114호 [[목포시]] 양동교회 * 제115호 [[여수시]] 장천교회 * 제116호 [[마래터널(망양로)|여수 제2 마래터널]]: [[여수엑스포역]]에서 만성리해수욕장 쪽으로 가는 길에 있는 터널. 1차선짜리 좁은 터널로 암벽을 뚫어 만든 터널이다. 안에 들어가보면 아무런 마감 없이 암벽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 인상깊다. 1차선짜리 터널이기 때문에 중간에 서로 차가 비켜갈 수 있도록 만든 장소가 여러 군데 있다. * 제117호 [[함평군]] 천주교회([[천주교 광주대교구]]) * 제118호 함평군 월호리 282번지 가옥 및 창고 * 제119호 영광 법성리 일본식여관: 이전 명칭은 영광 법성리 구 기꾸야여관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명칭 변경됨 * 제120호 [[구례읍]] 사무소 == 제121~130호 == * 제121호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 제122호 [[전라선]] [[곡성역(폐역)|구 곡성역]]: 신선 이설 후 곡성역은 신 역사로 이전하였고, 구 역사는 섬진강 기차마을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 역은 코레일관광개발에 의해 위탁 관리되고 있다. * 제123호 [[순천매산중학교]] 매산관 * 제124호 구 순천 선교부 외국인 어린이학교 * ~~제125호 순천 구 [[선교사]] 코잇 가옥~~ (2005.12.27. 등록문화재 지정 해제, 전라남도 지방유형문화재 259호로 승격) * 제126호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 제127호 순천 구 남장로교회 조지와츠 기념관 * 제128호 순천 구 [[원창역]]사: [[순천역]]과 [[구룡역(경전선)|구룡역]] 사이에 있으며 2014년에 보수공사를 하면서 구내 역명판이 없어졌다. * 제129호 영산포 등대 * 제130호 장흥 예양리 8번지 가옥 == 제131~140호 == * 제131호 장흥 기양리 48번지 가옥 * 제132호 [[보성여관|구 보성여관]]: [[보성군]] [[벌교읍]]에 있는 [[적산가옥|일본풍 여관]]. 폐가 상태에 있던 것을 [[https://nationaltrustkorea.org/|문화유산국민신탁]][* 이 곳을 포함해 울릉 도동리 [[적산가옥|일본식 가옥]]과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도 이 단체가 관리하고 있다.]이 고치면서 문화 공간이자 벌교를 대표하는 새로운 관광 명소로 자리잡았다. 숙박도 가능하나 숙박비가 비싼 편. * 제133호 서대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선교교육원 * 제134호 동선동 [[권진규]] 아틀리에 [[http://www.ntculture.or.kr/culturalHeritage/3]]: 작가 사후 어머니와 여동생 등 유족들이 관리하다가,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http://www.ntculture.or.kr/]]이 유족들의 기부를 받아서 시민문화유산 제3호로 관리하고 있다.[* 해당 단체는 이 곳을 비롯해 [[최순우]] 옛집과 나주 도래마을 옛집도 보존, 관리하고 있다.] * 제135호 [[영등포 구 경성방직 사무동]]: [[경방|경성방직]]의 사무동으로, 현재 복원된 건물은 [[경방 타임스퀘어|타임스퀘어]] 착공과 함께 남쪽으로 약간 이동되었다. [[신세계백화점]] 영등포점 뒤에 있다. * 제136호 [[경의선]] 구 [[신촌역(경의선)|신촌역사]]: [[서울역]]과 [[가좌역]] 사이에 있으며, 신역사 건설 때문에 '''좌우가 바뀌었다.''' 현재의 신역사는 민자역사로서 각종 상점 및 편의 시설이 들어섰었는데, 지금은 일부를 빼면 빈 공간일 뿐이다. * 제137호 구 철원제2금융조합 건물지: [[한국전쟁]] 중에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민간인 통제선 안에 있기 때문에 민간인의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이 곳에 가려면 [[철원군]] 안보관광 견학코스를 이용해서 가는 방법이 유일하다. 늦어도 약 1주일 전에 한탄강관광사업소(철원군 동송읍 소재)에 전화하여 인적 사항을 통보하고 마지막에 나올 때 이 곳에 들러야 한다. * 제138호 [[중앙선]] [[원주역]] 급수탑 * 제139호 [[원주시]] [[원동성당]]: [[천주교 원주교구]] [[주교좌성당]]이다. 매일 첫 [[미사]]부터 마지막 미사까지 개방한다. * 제140호 원주 천주교 대안리[[공소(가톨릭)|공소]]: 현 [[원주교구]] 관할 지역에서 [[풍수원성당]][* 풍수원성당 본당은 강원도 시도유형문화재 제69호로 이미 지정되어 있어서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다.]에 이어 2번째로 설립된 [[공소(가톨릭)|공소]]. [[원주교구]] 흥업성당 관할이다. == 제141~150호 == * 제141호 [[삼척시|삼척]] [[천주교 원주교구]] 성내동성당 * 제142호 [[동해시|동해]] 구 상수시설 * 제143호 [[고성군(강원도)|고성]] 합축교 * 제144호 괴산군수 관사 * 제145호 창녕 남지철교 * 제146호 [[광주광역시|광주]] 장덕동 근대한옥: [[1928년]]에 세워진 개량 한옥. 원래는 장덕동 527번지에 있어서 등록명도 '광주 장덕동 527번지 가옥'이었으나, 현재는 [[수완지구]] 개발로 장덕동 1291-1번지로 이전하여 보존 중이다. 2013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제147호 [[거창군|거창]] 경덕재~~ (2014. 7. 3. 문화재 지정 해제, 화재로 인한 문화재적 가치 상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2&sid2=249&oid=079&aid=0002584355|#]]) * 제148호 [[산청군]] 금서면 민재호 가옥 * 제149호 구 통영군청: 1995년 [[통영시]] 통합 이후에는 [[통영시청]] 별관으로 쓰다가, 2002년부터는 [[윤이상]] 페스티벌 하우스로 사용하였으며, 현재는 [[http://museum.tongyeong.go.kr/|통영시립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 제150호 [[통영시]] 문화동 배수시설 == 제151~160호 == * 제151호 [[밀양시]] 교동 손병구 가옥 * 제152호 밀양 퇴로리 이병수 가옥 * ~~제153호 [[진주시]] 하촌동 남인수 생가~~ (2013.12.17. 문화재 지정 해제, 근거 자료의 신빙성 부족, 지역 주민의 증언 등 여러 정황상 남인수의 생가로 볼 수 없음.) * 제154호 진주 옥봉성당([[천주교 마산교구]]) * 제155호 구 제주도청사: 1950년대 초반 제주도청으로 개관해 이용했으며, 현재는 [[제주시청]]의 본관으로 운영 중이다. * 제156호 [[서귀포시]] 천제연 관개수로 * 제157호 남제주 구 대정면 사무소 * 제158호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現 [[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C%A3%BC%EC%88%98%ED%94%BC%EC%95%84%EC%97%AC%EC%9E%90%EC%A4%91%ED%95%99%EA%B5%90|수피아여자중학교]], [[수피아여자고등학교]]] 수피아홀 * 제159호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메모리얼홀 * 제160호 [[철원]] 수도국지 내 급수탑 == 제161~170호 == * 제161호 [[춘천]] 소양로 천주교회([[천주교 춘천교구]]): 다른 지역의 성당과는 달리 원형으로 되어 있는 구조이다. * 제162호 [[천주교 춘천교구]] 홍천성당 * 제163호: [[횡성]] [[천주교 원주교구]] [[풍수원성당]] 구 사제관 [* 본당은 [[강원도]] 시도유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어 있다.] * 제164호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원주 중앙시장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SC제일은행]] 원주지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등록문화재 중 은행으로 계속 사용되는 몇 안 되는 건물. ~~구 [[조흥은행]] 지점들은?~~ * 제165호 원주 구 [[반곡역]]사: 옛 [[중앙선]] [[원주역]]과 [[치악역]] 사이에 있다. 이 곳은 드라마 및 영화의 촬영지로 사용되었으며, 6.25 전쟁 때 격전이 벌어졌던 곳이다. 교외라서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았으나 2010년대 이후 바로 옆에 [[원주혁신도시]] 개발로 열차가 다시 정차하게 되었다. 2021년 중앙선 원주-봉양 간 복선전철화 공사로 폐지되었으나 역사는 보존되었다. * 제166호 구 태백 등기소: 현재 태백교육지원청의 부속 건물로 이용 중. * 제167호 태백경찰서 망루 * 제168호 구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재무과 보급창고 3호: 원래 [[대전역]] 동광장의 주차장 가운데 섬처럼 존재했는데, 주변 재개발(환승센터 건립)로 인해서 '''건물째 들어올리는 공사''' 끝에 600m 떨어진 '신안2역사공원'으로 이전했다.([[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926008006&wlog_tag3=naver|관련 기사 1]],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30926001500641?input=1825m|관련 기사 2]]) * ~~제169호 대전 선화동 구 사범부속학교 교장 사택~~ (2012. 4. 19. 문화재 지정 해제, 화재로 인한 문화재적 가치 상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9&aid=0002235274|#]])[* 안타깝게도 2011년 12월 19일 새벽1시 55분경 불타서 지금은 빈 터만 남았다. 남은 자리 주변 일대는 대전광역시에서 공원을 조성하였다. 여담으로 당일 뉴스에도 나왔는데, 하필 그 날 [[김정일]] 사망 발표가 난 바람에 묻혔다...] * 제170호 제일은행 여수지점: 현재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여수지점으로 영업 중. == 제171~180호 == * 제171호 이상범 가옥 및 화실 * 제172호 [[전주신흥고등학교#s-10.10|전주신흥고등학교 강당 및 본관 포치]] * 제173호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 * 제174호 전주 다가동 구 중국인 포목상점 * 제175호 정읍 신태인 구 도정공장 창고 * 제176호 구 [[고창고등학교]] 강당 * 제177호 구 부안 금융조합 * 제178호 익산 구 이리농림학교 축산과 교사 * 제179호 [[원불교 중앙총부|원불교 익산성지]] * 제180호 익산 중앙동 구 삼산의원 == 제181~190호 == * 제181호 익산 구 익옥수리조합 사무소 및 창고 * 제182호 군산 개정면 구 일본인농장 창고: 이전 명칭은 군산 구 시마타니 농장 귀중품 창고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명칭 변경됨. 마치 문이 없는 것처럼 보이나 사실 문이 있다. * 제183호 [[군산 신흥동 일본식 가옥]]: 이전 명칭은 군산 신흥동 구 히로쓰 가옥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명칭 변경됨 * 제184호 군산 해망굴 * 제185호 김제 증산법종교 본부영대 및 삼청전 * 제186호 김제 구 백구 금융조합 * 제187호 김제 신풍동 일본식가옥: 이전 명칭은 김제 신풍동 아리따 설계 가옥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명칭 변경됨 * 제188호 임실 오수망루 * 제189호 장수천주교회 수분[[공소(가톨릭)|공소]]([[천주교 전주교구]]) * 제190호 장수 호룡보루 == 제191~200호 == * 제191호 진안 강정리 전영표 가옥 * 제192호 [[진해역|창원 진해역사]]: [[진해선]]의 종착역이다. 실제 종착역은 [[통해역]]이나 이 역은 군사시설 내에 위치하고 있어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는 곳이다. * 제193호 구 진해해군통제부 병원장 사택 * 제194호 구 진해요항부 사령부 * 제195호 구 진해방비대 사령부 * 제196호 구 진해방비대사령부 별관 * 제197호 구 진해요항부 병원 194호부터 197호까지는 [[대한민국 해군]] 진해기지 내에 있어서 일반인들의 출입은 철저히 금지되어 있다. 게다가 해당 건물들은 전부 아직도 군사 시설로 쓰이고 있다.[* 진해요항부 사령부는 현재 [[진해기지사령부]]의 본관, 진해방비대 사령부와 별관 건물은 2008년 이전에는 [[해군작전사령부]]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해군군수사령부]] 본관과 별관으로 2000년대까지 병원/의료원으로 사용했던 진해요항부 병원 건물은 현재 정훈공보실로 쓰이고 있다.] [[군항제]] 기간에 일반에 개방하지만, 사진을 찍을 수 없으니 조심하자! * 제198호 구 마산헌병 분견대 * 제199호 마산 봉암수원지 * 제200호 창원 소답동 김종영 생가 [[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