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한민국 육군본부)]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반적인 설명과 타국의 사례, rd1=육군참모차장)] [include(틀:대한민국 국군의 현직 중장)]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육군참모차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34632a 20%, #34632a 80%, #2a4f22)"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width=30]][br]'''{{{+2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br]大韓民國 陸軍參謨次長[br]Vice Chief of Staff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현석7군단장.jpg|width=100%]]}}} || ||<-2> '''[[중장|{{{#fff 중장}}}]] [[고현석(군인)|{{{#fff 고현석}}}]]''' {{{-2 (제64대)}}} || || '''취임일''' || [[2023년]] [[4월]] || || '''임관''' || [[학군사관]] 29기 || || '''관사''' || [[계룡대]] [[공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참모차장]]으로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에서 [[참모장]] 역할을 하며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이 부재시 대리한다. 현재 육군참모차장의 계급은 [[중장]]이다. == 상세 == [[대한민국 육군|육군]]의 경우 [[대한민국 해군|해군]]이나 [[대한민국 공군|공군]]과 구별되는 특성이 [[중장]] 보직이 많다는 것이다. 우선 [[작전사령부]]의 부사령관(2인)[* [[제2작전사령부]]의 부사령관은 소장이 임명되기도 한다.]에 [[군단장]](6인), 군수사령관, 사관학교장, 교육사령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령관]], [[육군특수전사령관]], [[참모차장]] 등 19명에 이른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4인)[*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동참모차장]], 작전본부장, 군사지원본부장, 전략기획본부장.]이나 국방부(3인)[* [[국군방첩사령부]], [[국방정보본부]].] 등에도 육군 중장이 많이 들어가는 걸 생각하면 육군의 중장들은 굳이 육군참모차장을 거치지 않아도 [[대장(계급)|대장]]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에 반해 해공군의 고정된 중장보직은 작전사령관, 사관학교장, 교육사령관, 참모차장 4자리이며 최대 중장 T/O도 5명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다른 보직에서 해, 공군 중장들이 많이 보직이 돼서 정원이 초과되면 해공군의 교육사령관, 심지어 사관학교장도 소장이 임명된다.] 과거 [[군령권]]과 [[군정권]]을 참모총장이 모두 행사하던 시절, 지상군이 강세인 특성상 육군참모차장이 명실공히 국군의 2인자나 다름없던 시절도 있었다. 이 시기 참모차장을 거쳐 대장 1차보직을 수행한 후 참모총장으로 영전하는 장군들도 많았다. 그러나 군령권과 군정권이 분리되고,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참의장]]의 권위가 부각되는 요즘에는 그렇지만도 않은 듯. 최근 5년간 참모차장에서 곧장 참모총장으로 영전한 인물은 없고 10년으로 범위를 넓히면 단 [[한민구|한 사람]]뿐이며, 참모차장을 거쳐 대장으로 승진한 뒤 2차보직으로 참모총장으로 영전한 인물도 두 사람뿐이다. 그중 한 명인 전임 참모총장 [[김요환]] 대장의 경우 본래 전역할 예정이었으나, 군내 [[구타]] 및 [[가혹행위]]의 책임을 지고 동기인 [[권오성]] 총장이 급작스레 물러나면서 영전한 것이다.[* 보통 1기수 밑인 35기에서 인선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임기가 짦아서 동기를 보임했다.] 최근 10년간 참모총장으로 다수 진출한 자리는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이다. [[제1야전군사령관]], [[제3야전군사령관]][* [[제1야전군사령부]]와 [[제3야전군사령부]]가 통합된 [[지상작전사령부]]를 이끄는 [[지상작전사령관]] 출신 참모총장은 49대 [[남영신]] 대장이 있다.]이나 [[제2작전사령관]][* 비육사출신 대장들을 주로 보임하고 있다.]을 거친 총장은 많지 않다. 43대 육군참모총장인 [[조정환]] 대장이 [[제2작전사령관]]에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한 첫 번째 케이스일 정도. 위의 이야기는 이제는 옛날 이야기로,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은 대장 보직 중 그 자리에서 그냥 은퇴하는 사람이 가장 많은 한직이다. 대장 진급 확률을 놓고 이야기하면 육군참모차장은 예나 지금이나 합참 작전본부장에 버금가는 최고 요직이다. 최근에는 묘하게 박주경, 황대일, 여운태 장군처럼 말년 중장의 보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아졌으나, 동기가 대장에 진급한 말년이 아니라 아직 대장 진급을 노릴 수 있는 진급 적기에 보임된 박찬주, 최병혁, 김승겸, 안병석 장군의 경우 모두 대장으로 1차 진급했다. 그래서 의외로 합참 작전본부장보다 대장 진급자 자체는 더 많이 배출했다. 합참 작전본부장처럼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자리는 아니지만, 작전이나 경계 실패의 책임을 오롯이 지는 작전본부장과 달리 이쪽은 설사 육군에서 큰 사고가 터져도 참모총장이 책임을 지기 때문에 책임질 일이 없어서 꾸준하게 대장을 배출할 수 있다. 육사 출신 중장은 합참 작전본부장과 육군참모차장,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외의 자리에선 진급 가능성이 매우 떨어진다. [[중장#s-2.4.2.1|중장 문서의 해당 문단 참조.]] == 역대 [[육군참모차장]] ==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육군참모차장)]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ffffff 역대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 || || '''{{{#ffffff 대수}}}''' || '''{{{#ffffff 사진}}}''' || '''{{{#ffffff 이름}}}''' || '''{{{#ffffff 계급}}}''' || '''{{{#ffffff 임관}}}''' || '''{{{#ffffff 재임기간}}}''' || '''{{{#ffffff 비고}}}''' || || 초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5px-General_Lee_Eung-jun_1948.jpg|width=50]] || [[이응준]] || 예) [[중장]] || || || || || '''47대''' || [[파일:박흥렬 대장.jpg|width=50]] || '''[[박흥렬]]'''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8기 || 2005.05.04.~2006.11.15. || || || '''48대''' || [[파일:방효복중장.jpg|width=50]] || '''[[방효복]]'''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0기 || 2006.12.04.~2008.04.01. || || || '''49대''' || [[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318432520.jpg|width=50]] || '''[[한민구]]'''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1기 || 2008.04.01~2009.09.21 || || || 50대 || [[파일:임관빈.jpg|width=50]] || [[임관빈]]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2기 || 2009.10.27~2010.06.23 || || || '''51대''' || [[파일:조정환 대장.jpg|width=50]] || '''[[조정환]]'''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3기 || 2010.06.23~2011.04.20 || || || '''52대''' || [[파일:김요환 대장.jpg|width=50]] || '''[[김요환]]'''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4기 || 2011.04.20~2012.10.02 || || || 53대 || [[파일:황인무.jpg|width=50]] || [[황인무(군인)|황인무]]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5기 || 2012.10.31~2014.04.21 || || || 54대 || [[파일:김유근 1차장.jpg|width=50]] || [[김유근]]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6기 || 2014.04.21~2014.10.17 || || || '''55대''' || [[파일:박찬주대장.png|width=50]] || '''[[박찬주(군인)|박찬주]]'''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7기 || 2014.10.17~2015.10.27 || || || 56대 || [[파일:정연봉.jpg|width=50]] || [[정연봉]]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8기 || 2015.10.27~2017.09.26 || || || 57대 || [[파일:구홍모중장.png|width=50]] || [[구홍모]]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0기 || 2017.09.26~2018.11.22 || || || '''58대''' || [[파일:최병혁.png|width=50]] || '''[[최병혁]]'''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1기 || 2018.11.22~2019.04.16 || || || '''59대''' || [[파일:김승겸 부사령관.jpg|width=50]] || '''[[김승겸]]''' ||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2기 || 2019.05.10~2020.09.22 || || || 60대 || [[파일:박주경 중장.jpg|width=50]] || [[박주경]]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2기 || 2020.12.08~2021.01 || [* [[백신수송지원본부장]] 겸직][* 이후 백신수송지원본부장 직에 전념하면서 이대웅 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육사 45기, 소장)이 황대일 신임 참모차장 내정 전까지 직무대리.] || || 61대 || [[파일:황대일 사령관.jpg|width=50]] || [[황대일]]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3기 || 2021.05.27~2021.12.16 || || || '''62대''' || [[파일:안병석_중장.jpg|width=50]] || '''[[안병석]]'''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 2021.12.17~2022.05.26 || || || 63대 || [[파일:여운태중장.jpg|width=50]] || [[여운태]]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 2022.06.09~2023.03.31 || || || 64대 || [[파일:고현석7군단장.jpg|width=50]] || '''[[고현석(군인)|{{{고현석}}}]]''' || [[중장]] || [[학군사관|학군]] 29기 || 2023.04.01~현직 || ||}}}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육군]] * [[대한민국 육군본부]] * [[참모총장]] * [[육군참모총장]] *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 [[참모차장]] * [[육군참모차장]] * [[주임원사]] * [[육군주임원사]] * [[대한민국 육군주임원사]]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참모차장)] [[분류: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