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 국군)]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국군]]의 주요 양성교육[* 민간인 또는 현역군인의 군인화 과정. 후자의 경우엔 이미 특정 군종과 신분으로 재직 중인 군인이 다른 군종이나 다른 신분으로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과 보수교육[* 양성교육을 제외한 모든 군대 내의 교육. [[후반기교육]]이나 [[직무교육]], 리더십교육 등이 해당된다.]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 입대 == [[대한민국]] 국민으로 남성이면 만 19세가 되는 해에 [[병무청]]에 가서 [[신체검사]]를 받게 된다. 신체검사 후 3급 이상이면 군에 입대해야 한다. 한국이 [[징병제]]이긴 하나 입대 과정에서 징병의 형태를 띄는 것은 [[대한민국 육군]] [[병(군인)|병]]뿐이다. 모든 간부(장교/준사관/부사관)는 지원에 의하며[* [[사관학교]]를 중퇴한 [[사관생도]]는 지원에 의하지 아니한 하사가 될 수 있긴 하다. 하사로 의무복무 기간을 때우게 된다.] [[수병]]과 [[해병]], 공군병도 모두 면접을 통한 지원제이다.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또는 [[대한민국 공군]] 병으로 복무하면 육군 병으로는 복무하지 않아도 된다. 육군 병만 징병으로 데려갈 수 있다. 육군 병 가운데서도 일부는 지원을 받는다. == 합동교육훈련 == * [[국군간호사관학교]]: 해병대를 제외한 육해공에 간호장교를 공급한다. 해병대는 해군에서 파견. * [[국방대학교]] * --[[미국국립군의관의과대학#s-4|국방의과대학]]--: 군의관 확보를 위해 2010년쯤 검토되었으나 무산되었....?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원]]에 [[군의관]] 문서 참고. * [[전문사관|특수사관]]: [[군의관|의무사관]], [[군법무관|법무사관]], [[의정사관]], [[수의사관]], [[경리사관]], [[전산사관]], [[통역장교|통역사관]], [[교수사관]], [[치의사관]], [[간호장교|간호사관]], [[변리사관]], [[군종장교|군종사관]], [[국방연구소 박사사관]] 등이 해당된다. 합동으로 교육받은 뒤에 각 군화(軍化) 과정을 거친다.[* 거의 육군에서 교육을 받기 때문에 실상은 해군과 공군에서 육군물을 빼는 것에 가깝다. 보통 자군화 교육은 1주 정도... 그러나 간호사관 등 일부는 학사장교후보생 과정으로 교육시켜 임관 후 자대로 직접 배속한다.] * [[합동군사대학교|합동군사대학]]: 과거의 [[육군대학]], [[해군대학]], [[공군대학]] 및 [[합동참모대학]]을 합친 것. 3군대학은 2020년을 끝으로 각군 본부로 다시 돌아갔다. == 사라진 과정들 == *[[갑종간부후보생]] *[[간부사관#s-2.1|단기사관]] *[[단기하사]] *[[을종간부후보생]] *[[일반하사]] *[[제2사관학교]] *[[현지임관]]: 법률상으론 상존. *[[특별임관]]: 사실상 사문화. 한동안 [[조선인민군]] 출신 탈북자를 특별임관시켰으나 현재는 [[대한민국 군무원]]으로 보임. *[[금오공업고등학교]]: 301학군단(부사관학군단)을 설치했었다. == [[대한민국 육군]] == === 양성교육 === *[[장교]] 과정은 아래와 같다. * [[육군사관학교]] * [[육군3사관학교]] * [[육군학생군사학교]]: [[학군사관]], [[학사사관]], [[간부사관]] *[[부사관]] 과정은 아래와 같다. * [[육군부사관학교]] : [[부사관 학군단|부사관 학군단 포함]]. [[부사관과]]는 엄연히 민간인이기에 졸업하고 지원해서 교육을 받는다. * [[특수전학교]] * [[임기제부사관]] *[[병(군인)|병]] 과정은 아래와 같다. * [[육군훈련소]] * [[신병교육대]] === 보수교육 === 대부분이 [[육군교육사령부]] 휘하이다. * [[자운대]] 지역 * [[육군정보통신학교]] * [[육군종합군수학교]] * [[육군리더십센터]] * [[상무대]] 지역 * [[육군보병학교]] * [[육군기계화학교]] * [[육군포병학교]] * [[육군화생방학교]] * [[육군공병학교]] * [[육군방공학교]] * [[육군정보학교]] * [[육군항공학교]] * [[육군종합행정학교]] * [[KATUSA|KTA]][* 병 자원 중 [[KATUSA]]자원은 경기도 평택 소재 미 8군 분대장 교육대(8th Army NCO Academy) 산하의 카투사 교육대(Katusa Training Academy)에서 3주간 교육을 받는다. 다만 일반적 보수교육의 형태와 달리 미군식 양성교육(Basic Training)을 3주간 하는 것에 가까우며, 실무 보직도 한동안은 '카투사'라는 일괄 분류로 묶여있다가 보수교육 기간에 결정된다. 실무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자대에 가야 시작한다.] 각 사단 신병교육대 휘하에는 [[분대장교육대]]가 있다. == [[대한민국 해군]] == === 양성교육 === *장교 과정은 아래와 같다. * [[해군사관학교]] * [[대한민국 해군|해군]] [[학생군사교육단|학군단]] * [[해군사관후보생|NAVAL OCS]][* 장교교육대대가 [[해군교육사령부]]가 아닌 해사에 위치한다. 야교대 훈련 때는 [[해군기초군사교육단]]을 가기는 한다. 해병대 OCS도 교육을 일부 같이 받는다.] *부사관 과정은 아래와 같다. * [[해군기초군사교육단]] * [[임기제부사관]] *병 과정은 아래와 같다. * [[해군기초군사교육단]] === 보수교육 === [[해군교육사령부]] 휘하에 교육기관이 있다. * [[해군기술행정학교]] * [[해군전투병과학교]] * [[해군정보통신학교]] * [[실습전대]] * [[충무공리더십센터]] [[해군작전사령부]] * [[해군 특수전전단|특수전전단]] 교육훈련전대 *특수전교육훈련대대 *[[해군 해난구조전대|해난구조대]] 교육훈련대대 === [[대한민국 해병대]] === ==== 양성교육 ==== *장교 과정은 아래와 같다. * [[해군사관학교]] 병종 상륙 선택자 *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학생군사교육단|학군단]] * [[해군사관후보생|MARINE OCS]] *부사관 과정은 아래와 같다. * [[해병대 교육훈련단]] * [[임기제부사관]] *병 과정은 아래와 같다. * [[해병대 교육훈련단]] ==== 보수교육 ==== ===== 자체교육기관 ===== *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해병대사령부]] : 군악, 의장 * 실무부대 자체교육 : 포병(측지), 병기(탄약관리) * [[해병대 교육훈련단]] * 상장교육대 : 상륙장갑차(상장승무, 상장정비),병기(상장수리) * 수색교육대 : 보병(수색) * 통신교육대 : 통신(유무선운용) * 포병교육대 : 포병(야포, 계산) ===== 육군 위탁교육기관 ===== * 육군교육사령부 * 육군공병학교 : 공병(장비병, 전투공병, 장비공병, 시설공병, 환경관리) * 육군기계화학교 : 기갑(전차승무, 전차정비) * 육군방공학교 : 포병(대공포) * 육군정보학교 : 정보 * 육군정보통신학교 : 통신(유무선운용, 체계운용) * 육군종합군수학교 : 병기(기계공작, 총포수리, 화생방장비/물자수리, 야포수리, 전자/광학정비, 탄약검사/수리, 탄약처리, 전차수리, 자주포/장갑차수리, 대공무기수리, 대전차무기수리), 통신(유무선운용), 보급(병참정비), 수송(K-532운전 및 중견인차량운전, 차량수리) * 제2수송교육연대 : 수송(차량운전) * 육군종합행정학교 : 헌병 * 육군포병학교 : 대전차화기(토우), 포병(자주포정비, 자주포조종) * 육군화생방학교 : 화학 ===== 해군 위탁교육기관 ===== * 해군교육사령부 * 해군기술행정학교 : 보급(보급관리, 조리관리), 공병(장비병) * 해군전투병과학교 : 통신(통기, 전탐) * 해군정보통신학교 : 통신(전산) ===== 공군 위탁교육기관 ===== * 공군교육사령부 * 공군정보통신학교 : 항공관제(운항관제), 항공통제, 기상(항공기상관측), 정보통신(정보체계관리, 보안체계관리, 지상레이더체계정비, 무선통신체계정비(분반 교육), 전술항공통신체계정비, 유선통신체계정비) === [[해양경찰청 의무경찰]] === [[대한민국 해군]] 소속은 아니지만 [[해군기초군사교육단]]에서 2021년까지 위탁교육을 받았었다. 2023년에 해양의무경찰은 폐지된다. == [[대한민국 공군]] == === 양성교육 === *장교 과정은 아래와 같다. * [[공군사관학교]] * [[대한민국 공군|공군]] [[학생군사교육단|학군단]] * [[공군장교교육대대|OTS]] *부사관 과정은 아래와 같다. *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예하 [[공군부사관교육대대]] *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임기제부사관]] *병 과정은 아래와 같다. *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예하 [[공군신병훈련대대]] === 보수교육 === [[공군교육사령부]] 휘하의 부대들이다. 대부분의 병들은 보라매리더십센터를 제외한 아래 중 하나의 특기학교를 반드시 거친 후 자대에 배속되며, 부사관과 정책자원 장교들의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 구.초등군사반, 초군반]은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조종 자원들은 맨 아래의 3군데를 거치며, 학군 출신은 공사에 가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이곳들 중 한 군데에서 [[대위 지휘참모과정]][* 구.고등군사반, 고군반]에 간다는 명목으로 갈 수도 있다. * [[공군군수1학교]] * [[공군군수2학교]] * [[공군방공포병학교]] * [[공군정보통신학교]] * [[공군행정학교]] * [[보라매리더십센터]] * [[공군사관학교]] * [[제3훈련비행단]] * [[제1전투비행단]] [[분류:대한민국 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