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역 안에 있던 역, rd1=엑스포역)] ||<-3> {{{+2 '''대전조차장역'''}}}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대전조차장역, 너비=100%, 높이=100%)]}}}||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Daejeonjochajang || || [[한자]] ||<-2> 大田操車場 || || [[간체자]] ||<-2> 大田操车场 || || [[가나(문자)|가나]] ||<-2> [ruby(大田, ruby=テジョン)]操車場 || ||<-3> '''주소''' || ||<-3> [[대전광역시]] [[대덕구]] 아리랑로 166 (읍내동 426) || ||<-3> '''관리역 등급''' || ||<-3> [[관리역]][br]([[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3> '''운영 기관''' || || [[경부선]] ||<-2><|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 [[호남선]] || ||<-3> '''개업일''' || || [[경부선]] ||<-2> 1978년 1월 10일 || || [[대전선]] ||<-2> 1978년 1월 10일 [br]~ 2004년 3월 31일 || || [[호남선]] ||<-2> 2004년 4월 1일[* [[KTX]] 개통, [[통일호]] 폐지와 동시에 호남선의 대전역-[[서대전역]]은 현재의 [[대전선]]으로 가고, [[대전조차장역]]-[[서대전역]]은 호남선으로 들어온다.] || ||<-3> '''승강장 구조''' || ||<-3> 0면 '''26선'''[* 여객취급역이 아니기에 승강장이 따로 없다.] || ||<-3> '''철도거리표'''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회덕역|회 덕]][br]← 4.1 ㎞ || '''[[경부선]]'''[br]대전조차장 || [[부산역|{{{#!html
부산 방면}}}]][[대전역|대 전]][br]4.7 ㎞ → || || {{{#!html
기점}}} || '''[[호남선]]'''[br]대전조차장 || [[목포역|{{{#!html
목포 방면}}}]][[서대전역|서대전]][br]5.7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lh3.googleusercontent.com/%2525EC%2525A0%25259C%2525EB%2525AA%2525A9%252520%2525EC%252597%252586%2525EC%25259D%25258C.png|width=100%]]}}} || || {{{#000 '''현 역사(2004년 준공)'''}}} || [[경부선]]과 [[경부고속선]]과 [[호남선]]이 분기하는 [[철도역]]. 현업에선 '''대전조'''라고 줄여 부른다. [clearfix]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A0%84%EC%A1%B0%EC%B0%A8%EC%9E%A5%EC%97%AD#%EB%B0%B0%EC%84%A0%EB%8F%84|배선도]]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전선)] 1905년 [[경부선]], 1914년 [[호남선]]이 개업했다. 다만 서울에서 전라도를 가려면 [[대전역]]으로 들어간 후 기관차를 돌려서 [[대전선]](과거에는 이곳이 호남선 본선이었다.)을 통해 [[호남선]]으로 들어가야 했다. 1944년 삼각선이 지어졌으나 단선이라 여객노선 역할은 하지 못 했다. 1978년 대전조차장-익산 구간 복선화가 완료된 뒤에야 대전조차장-[[서대전역]]을 따라 여객 노선이 운영된다. 당시 주로 익산역이 기종점이던 [[전라선]] 열차를 [[전주역]], [[여수역]]으로 연장했는데 2001년까지 서대전-대전조차장은 상행선과 하행선이 서로 따로 떨어져 지나야 했고 특히 대전조차장역에서 만나는 열차는 하필이면 배차간격이 좋은 [[경부선]] 열차인지라 호남선·전라선 열차는 대전조차장에 진입하면 속도를 늦추거나 아니면 경부선 열차가 이곳에 오면 경부선 열차에게 우선권을 줘 먼저 보내고 6 ~ 10분을 지나야 운행할 수 있었다. 그렇다 보니 당시 [[회기역]], [[수원역]]과 더불어 [[평면교차]]로 악명이 자자했으며, 그 중에서 [[호남선]]·[[전라선]] 연선을 오가는 이용객들의 불만이 쌓여갔다. 1980년대 [[경부고속선]] 계획 초기에 [[둔산신도시]]의 수요를 겨냥해 이 역을 [[KTX]] 전용역으로 하려는 계획이 있었다. 물론 정책상 KTX가 한 도시에 2개역 정차를 안했기에 페이퍼 플랜에 지나지 않았다. 1993년 [[1993 대전 엑스포|대전 엑스포]]를 맞아 여객 용도의 [[엑스포역]]이 임시로 운영되었다. 한편 [[제천조차장역|제천조차장]] 역시 여객을 취급한 적이 있어 국내에 존재하는 두 조차장은 모두 여객취급 이력이 있다. 1997년부터 2002년까지 대전조차장 구내 개선공사를 실시했다. 호남선 입체교차화, 철도고객센터 건설, 대전차량사업소 이전 등이 주요 내용이다. 2001년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은 논란의 서대전-대전조차장 구간을 고가로 올려 평면교차에서 [[입체교차]]로 교체했다. 그러나 입체교차가 된 후에도 호남선·전라선 열차는 분기기의 제한속도 때문에 대전조차장역에서는 느리게 운행되고 있다. [[안산선]] 금정-산본의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간 상호 간섭이 없는데도 드리프트 때문에 4호선 열차가 빠르게 운행할 수 없는 것이 같은 이치이다. 다만 과거 경부선 열차에 막혀 몇 분씩 연착되던 현상은 사라졌다. 2002년 대전역 구내의 대전차량사업소가 이전해왔다. 그 전까지 화물중계와 양회화물(동양시멘트) 취급만 하다가 졸지에 차량기지의 역할까지 하게 된 것. 그러다 보니 구내가 남북으로 매우 긴 데다가 상선군과 하선군을 넘나드는 건넘선 주변에 차량사업소 관련 시설이 잔뜩 있다보니 조차장으로서의 역할이 상당히 떨어지게 되었다. 다만 대전역 착발이 그렇게 많지도 않은데다 그마저도 대전조차장 회송도 잘 안 하다 보니[* 대전착발 열차 44회 중에서 12회는 대전조차장 회송 없이 종착한 위치에서 바로 준비 후 운행에 투입한다. 6회는 기관차만 회송하고, 그 외에는 모두 회송한다. 8200호대 같이 양방향에 운전대가 있는 기관차들은 대전역 구내 선로를 이용해 방향전환을 하고 있고, 대부분의 열차가 서울/부산이나 용산/목포 등 끝단 역에서 발착하는지라 웬만한 회송은 노선 끝단의 차량사업소에서 시행하다 보니, 대전차량사업소의 비중은 과거 통일호 때와 비교하면 매우 줄었다.] 대전차량사업소의 가동률이 높은 편이 아니었어서 [[부산차량사업소]]처럼 조차장이 차량사업소에 먹힌 건 아니다. 화물 중계 및 화차 유치 등 조차장 본연의 업무도 잘 하고 있다. 2004년 [[경부고속선]]이 개업하자 대전조차장-서대전의 오정선을 호남선으로, 서대전-대전은 호남선에서 대전선으로 명칭을 맞바꿔 정리한다. 대전선은 경부선의 지선으로 취급된다. 2018년 7월 6일 [[충청권 광역철도]]의 1단계 개통 역에서 제외되었다. 오정지하차도 위치의 [[오정역]]이 지어질 예정. 2021년 2월 3일 [[충청권 광역철도]]의 1단계에 대전조차장역도 포함하자고 타당성 조사에 들어갔다.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2818|#]] 2021년 3월 3일 대전시가 조차장 부지에 주택을 건설하기로 국토부에 제안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303073100063|#]] 차량경정비는 [[대전철도차량정비단]]으로, 중계화물 취급은 다른 조차장에 기능이 많이 이미 이전되었다는 것. == 특징 == * 대전조차장역은 핵심 노선이 합류하고 갈라지는 역이므로 만약 이 역에서 열차 사고가 발생하거나 역이 적으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수도권과 한반도 남부와의 철도교통이 단절된다. [[호남선]]이 우회하려면 [[호남고속선]]이나 [[장항선]]이 아니라면 현재로선 답이 없고, 경부선 계통은 [[근성열차/대한민국|근성열차]] 항목에 있는 청량리-부전 노선과 비슷하게 타는 식으로 [[동해선]]과 [[중앙선]]으로 크게 우회하든가 아니면 [[경북선]]과 [[중앙선]] 루트를 타야 한다. 이 역에 견줄 정도로 중요한 구간은 최종보스격인 경의1선 [[수색역]]-[[서울역]]의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신촌역(경의선)|신촌역]], [[서울역]]이나 [[서울역]]-[[금천구청역]]의 경부1선 역들 정도밖에 없다. 이들은 한번 사고라도 나면 한술 더 떠 [[가좌역 선로 지반침하 사건|한국의 철도교통이 마비된다.]] 하루빨리 [[서해선]]이 준공돼서 서울 시내를 피해서 지나가는 우회루트가 필요하다. [[대전조차장 SRT 탈선 사고]]로 인해 이 역 이남의 '''경부, 호남선 전체가 마비'''된 적도 있으니... * [[대한민국]]에서 비공식 포함 딱 4곳 있는 [[조차장]]이다. 조차장이므로 당연히 여객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대신 대전차량사업소, 대전기관차승무사업소 조차장 주재, 대전전기사업소 조차장주재, 대전전기사업소 신호제어 조차장주재 등 다양한 분야의 현업 사업소가 있다. 열차의 취급을 상선군(群)과 하선군으로 나누어서 하고 있다. * 구내에 철도고객센터가 있다. == 사건사고 == 위에서도 다뤘듯 대전조차장역은 한국 철도망의 대동맥 역할을 하는 두 노선의 분기점이기에 중요도가 높다. 그 때문에 안전에 신경을 많이 써왔지만 이상하게 2010년대 후반부터 큰 사고들이 몇 건 생겼다. 대전조차장에서 생긴 사고 중 나무위키에 문서가 개설된 사고는 현재 두 건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그 두 건의 사고에 관한)] * [[대전조차장 화물열차 탈선사고]] * [[대전조차장 SRT 탈선 사고]] 2023년 7월 6일 디젤기관차 7462호가 전차대 구조물과 접촉하고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구내에서 비영업차가 발생한 사고로 지장열차는 없었다. 하지만 7462호 기관차 앞부분이 전차대 밑으로 떨어져서 크레인 두 대를 동원하여 수습을 하였다. 먼저 차체를 들어낸 다음 대차를 차체에 붙여서 수습을 완료했지만, 생각 외로 큰 사고인 탓에 폐차를 검토중이다. == 여담 == * 現 [[회덕역]]보다 舊 [[회덕군]]의 전통적인 중심지에 더 가까운 곳에 있다. * 인근 [[주공아파트]] 단지 맞은편 길에 목재 난간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대전조차장역과 주변 철도 전경을 실컷 감상할 수 있다. 역 자체도 딱히 보안시설은 아니라서 철로로 내려가거나 하지 않는 한 들어가 여기저기 돌아다닌다고 제지하는 사람은 없다. * 과거 이 조차장 구석에 [[새마을호]] [[DHC 디젤동차|DHC 동차]] 여럿이 퇴역 후 커플링된 상태로 쌓여있었다. 탑승구나 엔진 베이 문을 열어 둔 상태로 방치 중인 것으로 보아 관리 상태는 좋지 않았다. DHC가 도입됐을 때의 새마을호의 지위를 생각하면... 현재는 모두 사라졌다. 과거 니가타 동차 등이 유치되었던 곳은 여기가 아니라 [[신탄진역]]에서 진입 가능한 [[대전철도차량정비단]]이다. * [[경부선]], [[경부고속선]], [[호남선]] 상행 열차의 우측 창문으로 보인다. * 역 한가운데에 탑이 있으며 [[KTX]] 홍보 일러스트와 문구가 그려져 있다. 왼쪽에는 '미래를 달리는 고속철도', 오른쪽에는 '꿈이 열리는 [[한국철도]]'라고 되어 있다. 그 위에 코레일 로고에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이라고 쓰여진 것을 보면 [[KTX]] 개통 초기에 그려진 것 같다. * 위와 같이 문제가 생기면 대한민국의 철도망이 통째로 마비되므로 냉전 시대에는 소련의 핵 공격 목표 중 하나로 설정됐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include(틀:호남선의 역 목록)] [[분류:197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덕구의 철도역]][[분류:분기역]][[분류:경부선의 철도역]][[분류:호남선의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