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전광역시 서구의 중학교)] [include(틀:학교법인 삼육학원)] ||<-2>
'''{{{+1 대전삼육중학교}}}[br]大田三育中學校[br]Daejeon Sahmyook Middle School''' || ||<-2> [include(틀:지도, 장소= 대전삼육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52년]] || ||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사립]] || || '''학교법인''' || [[삼육학원]] || || '''모 종교'''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 '''교훈''' || 사랑, 정직, 봉사 || || '''교화''' || 개나리 || || '''교목''' || 향나무 || || '''학생 수''' || 182명[*기준 2023년 3월 1일] || || '''교원 수''' || 22명[*기준] || || '''관할 교육청''' || [[대전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 ||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대전)|서구]] 도림1길 15 || || '''홈페이지''' || [[http://djsahmyookms.djsch.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전광역시 서구 도마2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 교훈 및 상징 == 교훈은 ‘사랑, 정직, 봉사’ 이며 교목은 향나무, 교화는 개나리이다. 교가는 1학년 수행평가로 많이 부른다. 정식 행사가 있을 때는 마지막에 부른다. 교가는 대전삼육초등학교와 동일하다. 다른 삼육학원 소속 학교와는 다른 교가이다. == 학교 특징 == 학급 수가 적기에 선후배간 사이는 좋은 편이다.[* '화목한 만남'이라는 활동을 통해 소통한다.] 또, 인원수 자체가 적다보니 상위 4%만 뽑는 중학교 1등급컷에 들어가기가 힘들다. 이 학교는 한 학년이 보통 60명 정도인데, 이렇게 된다면 4명은 고이 접어두고 2~3명 나올까 말까다. 고로 전교 2~3등은 해야한다는 소리. 언뜻 들으면 쉬워보이지만, 기타 항목에 후술할 이 학교의 오해 때문에 이 역시 쉬운 게 아니다. === 복장 === ==== 일반 교복 ==== 동복은 갈색 조끼에 옅은 갈색 치마 혹은 바지[* 여학생은 바지 치마 둘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다.], 아이보리색 와이셔츠에 노란색+남색 줄무늬 리본, 혹은 넥타이를 착용하며 진한 남색 자켓을 입는다. 스타킹은 살구색 혹은 검정색이며, 허리띠는 자유다.[* 이러한 교복 색 때문에 외부에선 예술고 학생으로 오인받는 경우가 굉장히 흔하다.] 춘추복은 동복에서 자켓만 벗는다.[* 가디건 착용도 가능하다] 하복은 흰색 블라우스에 채도가 낮은 하늘색 치마 혹은 바지를 입는다. 여자 한정으로 회색의 작은 리본을 착용했었다. 그러나 2020년 이후로는 하복 착용 시 선택적으로 리본을 착용할 수 있다. 생활복은 체육복과 비슷한 소재의 티셔츠, 교복과 비슷한 소재의 반바지이고, 생활복과 하복은 혼용 가능하다. 에어컨이나 일교차 때문에 추운 학생들은 체육복 긴팔 겉옷을 위에 입을 수 있다. 의무적으로 실내화를 신어야 한다.[* 실내화로 운동장을 제외한 모든 구역에 갈 수 있다.] 양말은 예전엔 흰색, 검정색, 회색만 허용되었으나 현재는 상관 없다. ==== 그 외 ==== 동복 체육복은 남색의 바탕에 크기가 큰 순서로 갈색, 파란색, 검은색이 겹쳐져 있다. 남녀 구분없이 똑같다. 하복 체육복은 하늘색 바탕에 하얀 카라의 반팔이며, 바지는 검은색 바탕의 흰색줄 하나가 있는 반바지이다. 생활복은 흰색 바탕에 팔쪽+카라만 회색으로 되어있는 반팔이다. 체육복 동복과 하복이 동일하다보니 같은 체육복을 계속 입어야 한다. === 규정 === 여학생들 사이에 대전에서 '머리규정이 가장 길고, '''치마규정도 가장 긴 학교'''라는 이야기가 있다. 타 학교들도 후술할 규정과 거의 비슷하겠지만, 이 학교 규모가 작다보니 웬만해서는 어기면 거의 다 잡히는 편이다. ==== 두발 규정 ==== 남자는 단정한 스포츠머리,[* 사실 파마나 머리 묶은것만 아니면 상관 없다.] 앞머리는 눈에 찌르지 않는 선이며, 여자는 길이는 상관없으니, 어깨길이를 넘어가게 되면 묶어야 한다. 하나로 묶는 머리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다.[* 집게핀으로 머리를 묶는 것은 안 된다. 안쪽 머리 색을 볼 수 없다나.] 남녀 모두 머리는 염색하지 않은 자연모이여야 한다. 여자 한정으로 머리를 묶었을 때 장식이 없는 검은 머리끈을 사용해야 한다. ==== 복장 규정 ==== 반드시 동복을 착용 후에 겉옷을 입어야한다. ==== 벌점제도 ==== 대체적으로 삼육중학교는 상점 받기가 매우 힘든 반면에 벌점은 매우 받기 쉬운 편이다. 상점을 받고 싶다면 교사에게 말을 해서 심부름 거리나 청소거리를 얻어야 한다. 다만 어겨도 잘 안 잡는 경우가 많다. 벌점이 많은 학생들에게 벌점을 상쇄하라는 의미로 상점을 많이 주기도 한다. 상점을 주는 일을 많이 수행하거나 교무실에 불려가 벌을 받으면 상점을 부여함으로써 벌점을 상쇄시켜준다. == [[대전삼육중학교/시설|학교 시설]] == [[대전삼육중학교/시설]] 참고. 교실 종류와 상세 정보를 설명하고 있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수련회/수학여행 ==== 보통 5월 초쯤 중간고사가 끝나고 간다. 1학년과 2학년은 장소가 늘 고정이다. 예전에는 수련회, 소풍, 수학여행을 학년마다 돌아가면서 갔었다. 1학년 때 수련회를 갔다면 2학년 때는 소풍, 3학년 때는 수학여행인 격. 그래서 2015년 졸업생들은 [[세월호]] 사건으로 인해 수학여행을 가지 못했다고 한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모두 취소되었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주변에 도마삼거리, 도마네거리, 정림동 정류장 등 규모가 큰 정류장이 상당수 위치해있어 버스가 자주, 많이 다닌다. 또한 근처에 도마동 시외버스 정류소도 위치해 있어 충남권 시외로의 이동도 용이하다. 학교에서 3분거리의 정류장인 도마삼거리 정류장엔 시내직행 버스인 [[대전 버스 1|급행 1번]]이 다니며, 바로 앞의 대전삼육중입구 정류장엔 배재대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대전 버스 613|613번]] 버스 등 시험 끝나고 버스타고 놀러가기 정말 좋은 위치에 자리해있다. 주거밀집지역으로 가는 버스도 넉넉하게 많아서 등하굣길은 걱정 없다. 관저동으로 가는 [[대전 버스 201|201번]], [[대전 버스 202, 계룡 버스 2002|202번, 2002번]], [[대전 버스 211|211번]]과 도안동으로 가는 [[대전 버스 115|115번]], 중구쪽으로 가는 [[대전 버스 1|급행 1번]], 복수동으로 가는 [[대전 버스 916|916번]] 등 배차간격도 빠른 버스들이 많다. 삼육중이 위치해 있는 곳이 외곽과 중심의 경계인지라 [[대전 버스 20|20번]], [[대전 버스 21|21번]], [[대전 버스 22|22번]], [[대전 버스 23|23번]], [[대전 버스 24|24번]], [[대전 버스 25|25번]], [[대전 버스 26|26번]], [[대전 버스 27|27번]], [[대전 버스 41|41번]], [[대전 버스 42|42번]], [[계룡시 시내버스/외곽#s-2.1|43번]], [[대전 버스 46|46번]] 외곽버스도 볼 수 있다. == 출신 인물 == == 기타 == * 다른 학교에 비해서는 아니지만 학교의 이름을 여기저기 알리고 다니는 편이다. 2015년 기준 2학년들이 소녀나라 스쿨어택 이벤트에도 당첨되었으며 2016년 자유학기제 홍보대사와 함께 사진을 찍는 등 의외로 인터넷에서의 활동은 자주 보인다. * 대전삼육중학교가 2013년도 기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13등을 했다.[* 현재는 상위 100개 학교만 발표하고 있지만 당시엔 순위도 발표했다.] 당시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보통 학력이 높은 학교는 수도권/경기에 치중되어 있기에, 지방에 있는, 특히 대전의 공부 좀 한다 하는 초6에겐 꿈같은 사실이었다.[* 주소를 조작하지 않는 이상 정상적으로 공부 잘하는 중학교에 갈 수 있는 방법은 특별전형인 삼육중 뿐이다.] 결국 삼육중에 대전에서 공부 잘 한다는 학생들은 전부 몰려버리게 된다.[* 삼육초에서 온 학생들도 모두 평균 이상이다. 괜히 사립이 아니다!] 그 때문에 대전에서 중학교 학부모들에게 삼육중이라는 말만 꺼내면 뭔가 위대하다 생각하는데, 대전삼육중은 시험을 치고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신앙심을 보고 들어가는 것도 아닌 단순한 '''뺑뺑이로 들어가는 중학교'''일 뿐이다. 여기 들어가는건 그저 운이 좋은 것 뿐이다. * 사실 학교 규칙엔 양말 색깔의 규정도 있었고, 지금도 있다. 다만 지키거나 잡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 학교에서 제일 큰 건물인 강당[* 대전삼육초등학교와 공동사용한다.]에는 의자가 놓여있으며, 이때문에 시청각실은 따로 없다. 2016년에 별관 2층 구석에 체육실을 신축했다.[* 이제는 이 자리에 교무실이 들어왔으며, 체육관은 신축 예정이다.] * 체육실 신축에 대해선 호불호가 꽤 갈리는 편. 탁구장을 애용하는 남학생들은 좋아했으나 여학생들은 그럭저럭 생각하는 듯 하다. 학기 초반과 초등학교 공개수업이 있을 때 사용하는데, 수업 내용이 스트레칭 위주라 좀 괴랄하다. * 2015년에 한 학생이 학교 건의함에 '''급식에 고기가 나오게 해달라고''' 건의를 넣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때문인지 그 주 교장이 채식의 장점이라는 주제로 채플을 진행했다. * 2학기 중순쯤 토요일에 삼육 유기농 장터가 열린다.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아도 된다. * 1학년 전통으로 [[국립대전현충원]]에 비석을 닦으러 가는 봉사활동이 있다. * 대전삼육중학교가 유일하게 나가는 스포츠 종목 대회는 교육청 주최 축구 대회이다. 학교 대표팀 감독은 체육교사가 맡고 있다. 학교 대표팀 엔트리는 축구부로만 짜여지며, 3학년 위주로 짜여지고 추가로 2학년 학생들을 영입하기도 한다. 2016년에 1학년 학생도 출전했다. 비록 학생 수가 다른 학교들보다 월등히 적지만 나쁘지 않은 기록을 내왔다. 2014년에는 버드내중학교를 상대로 승리를 거뒀으나 다음 라운드에서 봉우중학교한테 져 떨어졌다. 2015년에는 둔산중학교에게 2:0 으로 졌었다. * 2016년 2, 3학년 축구부가 우볼컵 예선 조 1위로 올라갔고, 3위[* 4위까지 공동 3위로 간주하는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론 공동 3위이다.]를 차지하며 시 대회 참여자격이 주어졌다. * 2016년 7월 12일, 13일 대전서부교육청이 주최한 초/중등 음악 발표대회에서 합창팀이 노래 '꿈꾸지 않으면'외 1곡으로 3등을, 관현악 오케스트라가 [[캐리비안의 해적]] OST ' he's a pirate ' 으로 1등을 수상했다. 등수를 벗어나 첫 출전 수상에 굉장히 의의가 큰 결과이다. * 2015년부터 1년마다 피구대회를 한다.[* 2020년 이후로는 코로나19로 인해 하지 못했다.] [[분류:창의인재씨앗학교]][[분류:1952년 개교]][[분류:삼육학원]][[분류:개신교계 중학교]][[분류:서구(대전)의 중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