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0년 12월 31일까지 노선 번호가 1001번이었던 바로타 노선, rd1=대전 버스 B1)] [include(틀:대전광역시 시내버스)] [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전1001번 대교.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1번 세교.jpg|width=100%]]}}} || || {{{#ffffff [[대전광역시 시내버스|'''{{{#ffffff 대전 시내버스}}}''']] 차량}}} || {{{#ffffff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ffffff 세종 시내버스}}}''']]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전광역시 광역급행버스 1001번}}} || ||<-6>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width=25]] {{{#ffffff 세종특별자치시 광역급행버스 10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전, 세종 버스 1001 노선도 (2).svg|width=100%]] }}} || ||<-2> 기점 || 세종특별자치시 집현동(집현동) ||<-2> 종점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시청환승지) || ||<|2> 종점[br]행 || 첫차 || 05:40 ||<|2> 기점[br]행 || 첫차 || 05:40 || || 막차 || 22:40 || 막차 || 22:40 || ||<-2> 평일배차 || 13분 ||<-2> 주말배차 || 17분 || ||<-2> 운수사명 || [[대전교통]], [[동건운수]], [[한일버스]], [[세종교통]] ||<-2> 인가대수 || 16대[* 대전교통 4대, 동건운수 2대, 한일버스 2대, 세종교통 8대][* 주말 12대 운행] || ||<-2> 노선 ||<-4> [[집현동]] - [[반곡동(세종특별자치시)|반곡동(수루배마을)]] - [[세종국책연구단지|국책연구단지]] - 대전세종연구원 - [[한국개발연구원|한국개발연구원(KDI)]] - 씨에이치씨랩 - 서한이다음1단지 - 서한이다음2단지 - 송강마을아파트 - 롯데마트대덕점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현대아울렛]] - 용산고등학교 - 테크노밸리12단지 - 테크노밸리6단지- 대덕고등학교 - [[대전신세계|신세계백화점]] - 통계센터 - 둔산2동주민센터 - 시청환승지 || == 개요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의 광역급행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7km이다. == 역사 == * 세종시는 2021~2022년 세종~대전간 M버스를 추진하면서 초기에는 1~2생활권에서 대전으로 가는 노선만을 고려하였으나, 검토 과정에서 1~3생활권 및 4~6생활권 노선의 2개 노선안을 대광위에 제출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때 1~3생 / 4~6생 두 노선을 새샘교차로에서 분기시키려 하였는데, 두 노선 중 4~6생활권 노선안이 지금의 이 노선이 되었다.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07028|#]]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13564|#]] * 세종시가 2개의 M버스 노선안을 대광위에 제출한 후 M버스 노선 선정 발표 직전인 2022년 9월, 세종시 주간업무계획에서는 이 노선이 M버스가 아닌 일반광역노선으로 언급되었는데,([[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44323?s_pos=-528582&s_type=subject_m&serval=%EC%84%B8%EC%A2%85|#]]) 이는 이 노선을 두고 대전시와 세종시의 의견이 갈려,[* 세종시는 4~6생 정차 이후 [[대전 버스 B1|B1번]]과 같이 대전 도심까지 무정차 통과를, 대전시는 둔곡지구 경유를 요구한 것으로 추정되며, 둔곡지구 경유 시 M버스의 기점부 7.5km내 정류장 8곳 규정을 만족하기 어려워진다. 세종이 둔곡 경유를 내주는 대신 노선 신설 및 공동 배차를 얻은 것으로 추정.] 이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이 노선을 M버스 대신 일반 광역버스로 신설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 이후 2023년 5월 11일 [[2023년 세종 시내버스 개편]] 설명회에서 이 노선의 초안이 발표되었다. 발표된 노선 초안에서는 세종시 구간 정차 정류장([[한국개발연구원(KDI) 정류장 |KDI]]~[[한별동 정류장|한별동]] 구간)만 표기되고 대전시 구간의 경우 종점이 대전시청이라는 정보만 알려졌었다. * 2023년 8월 18일에 개통했다. [[https://www.sejong.go.kr/bbs/R0079/view.do?nttId=B000000094010Dq2nT1k|세종시 보도자료]] [[http://traffic.daejeon.go.kr/customer/noticeList|대전시 공지사항]] 당초 보도자료에서는 차고지가 위치한 새나루마을10단지 인근이 기점지로 표기되었으나, 실 개통 시에는 한누리대로의 집현동 정류장까지만 운행한다. * 서구 힐링아트페스티벌 기간에는 시청환승지로 들어가지 않고, 시청남문까지 가서 회차한다. == 특징 ==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차량,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차량 둘 다 현금승차가 불가능하다. * 광역급행버스로 되어있으나, 이 노선은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와는 관련 없다.[* 세종~대전 간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로는 [[광역급행버스 M7101|M7101번]]이 개통될 예정이다.] * 대전권에서 원래 1001번은 대전역에서 세종을 거쳐 오송역으로 가는 BRT 노선이었다. 그러나 이 노선이 바로타 브랜드 적용으로 인해 [[대전 버스 B1|B1번]]으로 바뀌었고, 결국 1001번은 결번이 되었는데, 2023년에 새 광역버스 노선으로 부활하게 되었다.[* 만약 바로타 브랜드가 적용되지 않았다면 대전 1002번과 세종 1004번 사이에 결번인 1003번 노선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노선은 기존의 B1번과는 완전히 다르다.[* 다만 겹치는 구간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구즉세종로]]에서 둔곡동 이후~세종시 새샘교차로 구간에서 겹치는데, 이 외에는 대전에서도 세종에서도 아예 따로 논다. ] * 세종시와 가까이 있음에도 세종시로 가는 버스가 운행횟수가 적은 [[대전 버스 75|75번]][* 특히 이 노선은 시계외요금이 km당 60원으로 적용된다.]이나 세종 마을버스만 다니던 송강동 일대는 세종시로 넘어가려면 해당 버스들을 시간 맞춰서 타거나 신구교로 가서 B1로 갈아타야 하는데, 이 노선이 생기면 송강동, 관평동에서 바로 세종시로 갈 수 있다. B1의 대덕산단~세종 구간 혼잡의 완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B1이 세종시청 방향으로 가는 것과 달리 이 노선은 집현동 쪽으로 간다. * 구룡동, [[둔곡동]]의 경우 송강동보다 버스 교통이 더 절망적인데, 여긴 송강동으로 나가는 [[대전 버스 첨단2|첨단2번]] 이외에는 아예 버스 노선이 없으며, 대전과 세종 어디를 가든 환승을 반드시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노선이 들어오면 둔산동과 세종 시내 BRT 정류장 등 주요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 테크노밸리12단지, 용산고등학교 정류장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전충남지역대학과 가까운 편이어서 대전 기타 지역 및 세종에서의 방송대 통학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방송대 대전충남지역대학은 학교 앞에 버스 노선 추가를 요구한 바가 있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에서 대전으로 진입하는 노선 중 처음으로 [[서구(대전광역시)|서구]] 지역으로 운행되는 노선이다. 이전까지는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가 충남대, 반석역, 신탄진까지만 운행되어 [[둔산동(대전)|둔산동]] 등 그 외의 목적지로는 몇 차례 환승이 필요하였으나 본 노선의 운행으로 이러한 환승 불편이 크게 줄 것으로 예상이 된다. * 2023년 5월 발표되었던 노선 초안에 따르면 추후 5생활권 입주 시 한누리대로를 따라 [[한별동 정류장]]까지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 노선 개통 발표 시 집현동 내부까지 경유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 개통 시에는 한누리대로만 경유하여 집현동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에 세종시청은 [[2023년 세종 시내버스 개편|노선 개편]]을 통해 연계 노선을 강화하고, 5~6생활권 입주 전까지 임시로 노선을 새나루마을10단지까지 연장하는 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52499|#]] ||[[파일:1001번 대전세종연구원 임시 정류장.jpg|width=100%]]|| || 임시 정류장 || * [[법원·검찰청·경찰청 정류장|법원·검찰청·경찰청]] 정류장의 반대편은 좌회전시 차선변경의 문제로 별도로 임시정류장 (대전세종연구원 정류장) 을 가설해서 운영 중에 있다. * 본 노선에서 하차 시 하차태그를 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버스 승차시 구간 최대 요금인 300원이 추가로 지불된다.[* [[세종 버스 655|655번]]은 전 구간 기본요금이나 하차태그를 안할 경우에만 300원 가량 추가로 지불되고 [[세종 버스 1000|1000번]]의 경우에도 조치원-세종 혹은 세종시내구간만 이용할경우 하차태그를 안할시 역시 300원 가량 추가로 지불 발생한다. 또한 [[세종 버스 B2|B2]], [[세종 버스 B4|B4]]는 [[반석역]]에서 혹은 [[오송역]] 탑승해서 세종 구간만 이용해도 하차태그를 안할 경우 대전-세종-청주 구간을 모두 이용한것으로 인식이 되어 최대 요금 600원이 추가로 지불되고 세종시내에서만 승차 후 하차태그를 안할경우 300원 가량 추가요금이 발생한다.] * 광역급행버스이나, 대전시에서는 예전에 간선노선에서 운행했던 차량들을 이용한다.[* 아직 급행도색으로 재도색을 하지는 않았다.] === 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c0000 45%, #a1598b 55%)"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width=25]] {{{#ffffff 대전·세종 광역급행버스 1001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8> '''시청환승지'''[br]'''32340''' {{{-2 (대전)}}} · '''32970''' {{{-2 (세종)}}} [[대전 도시철도 1호선|[[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width=15]]]] || || 둔산2동주민센터[br]35850 {{{-2 (대전)}}} || 둔산2동주민센터[br]32230 {{{-2 (세종)}}} || {{{#ffffff ↓}}} || || || {{{#ffffff ↑}}} || 둔산2동주민센터[br]32230 {{{-2 (대전)}}} || 둔산2동주민센터[br]35850 {{{-2 (세종)}}} || ||<-2> 둔산경찰서[br]32160 [[대전 도시철도 1호선|[[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width=15]]]] || || || || ||<-2> 통계센터[br]32970 [[대전 도시철도 1호선|[[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width=15]]]] || ||<-2> 신세계백화점[br]43220 || {{{#ffffff ↓}}} || || || {{{#ffffff ↑}}} ||<-2> 국립중앙과학관입구[br]43210 || ||<-2> 대덕고등학교[br]43200 || || || || ||<-2> 대덕고등학교[br]43160 || ||<-2> 테크노밸리6단지[br]81720 || {{{#ffffff ↓}}} || || || {{{#ffffff ↑}}} ||<-2> 테크노밸리6단지[br]81730 || ||<-2> 테크노밸리12단지[br]81930 || || || || ||<-2> 테크노밸리12단지[br]82050 || ||<-2> 용산고등학교[br]47080 || {{{#ffffff ↓}}} || || || {{{#ffffff ↑}}} ||<-2> 용산고등학교[br]47070 || ||<-2> 현대아울렛북문[br]46680 || || || || ||<-2> 현대아울렛남문[br]46280 || ||<-2> 롯데마트대덕점[br]44600 || {{{#ffffff ↓}}} || || || {{{#ffffff ↑}}} ||<-2> 롯데마트대덕점[br]44590 || ||<-2> 휴먼시아아파트[br]44770 || || || || ||<-2> 송강마을아파트[br]44790 || ||<-2> 서한이다음2단지[br]46860 || {{{#ffffff ↓}}} || || || {{{#ffffff ↑}}} ||<-2> 서한이다음2단지[br]47030 || ||<-2> 우미린아파트[br]46870 || || || || || 서한이다음1단지[br]47020 {{{-2 (대전)}}} || 서한이다음1단지[br]47030 {{{-2 (세종)}}} || ||<-2> 씨에이치씨랩[br]46930 || {{{#ffffff ↓}}} || || || {{{#ffffff ↑}}} ||<-2> 씨에이치씨랩[br]47000 || || 한국개발연구원(KDI)[br]051001 {{{-2 (대전)}}} || 한국개발연구원(KDI)[br]51001 {{{-2 (세종)}}} || || || || || 한국개발연구원(KDI)[br]051002 {{{-2 (대전)}}} || 한국개발연구원(KDI)[br]51002 {{{-2 (세종)}}} || || 법원,검찰청,경찰청[br]057019 {{{-2 (대전)}}} || 법원.검찰청,경찰청[br]57011 {{{-2 (세종)}}} || {{{#ffffff ↓}}} || || || {{{#ffffff ↑}}} || 대전세종연구원[br]76300 {{{-2 (대전)}}} || 대전세종연구원[br]64088 {{{-2 (세종)}}} || || 국책연구단지남측[br]057013 {{{-2 (대전)}}} || 국책연구단지남측[br]57013 {{{-2 (세종)}}} || || || || || 국책연구단지남측[br]053054 {{{-2 (대전)}}} || 국책연구단지남측[br]57014 {{{-2 (세종)}}} || || 반곡동(수루배마을)[br]059030 {{{-2 (대전)}}} || 반곡동(수루배마을)[br]59030 {{{-2 (세종)}}} || {{{#ffffff ↓}}} || || || {{{#ffffff ↑}}} || 반곡동(수루배마을)[br]059031 {{{-2 (대전)}}} || 반곡동(수루배마을)[br]59031 {{{-2 (세종)}}} || ||<-4> '''집현동[br]57033''' ||<-4> '''집현동[br]57034'''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c0000 45%, #a1598b 55%)" }}} || === 일평균 승차인원 === ||<-3>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전광역시 광역급행버스 1001번}}} || ||<-3>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width=25]] {{{#ffffff 세종특별자치시 광역급행버스 100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23년 || - || - || * 2023년 자료는 8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13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s://ptc.ts2020.kr/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http://tportal.daejeon.go.kr/stats/content03.view?search=2|대전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http://tdata.sejong.go.kr/ingecep/launcher/dashboard/|세종특별자치시 교통정보시스템 빅데이터]] === 요금 === [[교통카드]] 기준 요금은 다음과 같으며, 현금 사용이 불가능한 노선이다. || 구간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대전광역시 내|| 1,250 || 750 || 350 || || 세종특별자치시 내|| 1,400 || 1,100|| 600 || ||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 대전-세종간 구간 요금 300원]|| 1,550 || 1,050 || 650 || === 시간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c0000 40%, #a1598b 60%)" {{{#ffffff 대전·세종 버스 1001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23년 2월 1일 기준 / }}} [[http://www.daejeonbus.or.kr/sub0202.do|{{{#fff 출처}}}]]}}} || || {{{#!folding [ 평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2> 집현동 ||<-2> 시청환승지 || ||<-2>첫차 05:40 / 막차 22:40 / 편도 80회 ||<-2>첫차 05:40 / 막차 22:40 / 편도 80회 || ||5시||{{{#00a0c6 40 52}}} ||5시||{{{#0caf4e 40 51}}} || ||6시||{{{#00a0c6 04 17 30 43 56}}} ||6시||{{{#0caf4e 02 13 23 33 43 53}}} || ||7시||{{{#00a0c6 10}}} {{{#0caf4e 24 38 52}}} ||7시||{{{#00a0c6 03 13 26 40 54}}} || ||8시||{{{#0caf4e 06 20 34 48}}} ||8시||{{{#00a0c6 08 22 37}}} {{{#0caf4e 52}}} || ||9시||{{{#0caf4e 02}}} {{{#00a0c6 16 30 44 59}}} ||9시||{{{#0caf4e 07 22 36 49}}} || ||10시||{{{#00a0c6 14 29 44}}} ||10시||{{{#0caf4e 02 15 28}}} {{{#00a0c6 41 54}}} || ||11시||{{{#00a0c6 00}}} {{{#0caf4e 16 32 47}}} ||11시||{{{#00a0c6 08 22 37 52}}} || ||12시||{{{#0caf4e 00 13 26 39 52}}} ||12시||{{{#00a0c6 07 23}}} {{{#0caf4e 39 55}}} || ||13시||{{{#00a0c6 04 16 28 40 52}}} ||13시||{{{#0caf4e 10 23 36 49}}} || ||14시||{{{#00a0c6 04 16 28}}} {{{#0caf4e 40 52}}} ||14시||{{{#0caf4e 02 15}}} {{{#00a0c6 27 39 51}}} || ||15시||{{{#0caf4e 04 16 29 42 55}}} ||15시||{{{#00a0c6 03 15 27 39 51}}} || ||16시||{{{#0caf4e 08}}} {{{#00a0c6 21 34 47}}} ||16시||{{{#0caf4e 03 15 29 39 52}}} || ||17시||{{{#00a0c6 00 13 26 39 51}}} ||17시||{{{#0caf4e 05 18 31}}} {{{#00a0c6 44 58}}} || ||18시||{{{#0caf4e 03 16 29 42 55}}} ||18시||{{{#00a0c6 12 26 40 54}}} || ||19시||{{{#0caf4e 08 21 34}}} {{{#00a0c6 46 58}}} ||19시||{{{#00a0c6 08 21}}} {{{#0caf4e 34 47}}} || ||20시||{{{#00a0c6 10 22 34 46 58}}} ||20시||{{{#0caf4e 00 13 26 39 52}}} || ||21시||{{{#00a0c6 10}}} {{{#0caf4e 22 34 45 56}}} ||21시||{{{#0caf4e 04}}} {{{#00a0c6 16 28 40 52}}} || ||22시||{{{#0caf4e 07 18 29 40}}} ||22시||{{{#00a0c6 04 16 28 40}}} || ||<-4> {{{#0caf4e 초록색}}}으로 표시된 시간대는 대전, {{{#00a0c6 하늘색}}}으로 표시된 시간대는 세종 차량 ||}}} || || {{{#!folding [ 주말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2> 집현동 ||<-2> 시청환승지 || ||<-2>첫차 05:40 / 막차 22:40 / 편도 60회 ||<-2>첫차 05:40 / 막차 22:40 / 편도 60회 || ||5시||{{{#00a0c6 40 58}}} ||5시||{{{#0caf4e 40 56}}} || ||6시||{{{#00a0c6 16 35 54}}} ||6시||{{{#0caf4e 12 28 44}}} || ||7시||{{{#00a0c6 13}}} {{{#0caf4e 32 51}}} ||7시||{{{#0caf4e 00}}} {{{#00a0c6 16 32 48}}} || ||8시||{{{#0caf4e 10 29 48}}} ||8시||{{{#00a0c6 04 20 37}}} {{{#0caf4e 55}}} || ||9시||{{{#0caf4e 07}}} {{{#00a0c6 26 45}}} ||9시||{{{#0caf4e 14 33 52}}} || ||10시||{{{#00a0c6 04 23 42}}} ||10시||{{{#0caf4e 11 30}}} {{{#00a0c6 49}}} || ||11시||{{{#00a0c6 01}}} {{{#0caf4e 20 39 58}}} ||11시||{{{#00a0c6 08 27 46}}} || ||12시||{{{#0caf4e 17 36 54}}} ||12시||{{{#00a0c6 05 24}}} {{{#0caf4e 43}}} || ||13시||{{{#00a0c6 12 29 46}}} ||13시||{{{#0caf4e 02 21 40 59}}} || ||14시||{{{#00a0c6 03 20 37}}} {{{#0caf4e 53}}} ||14시||{{{#0caf4e 18}}} {{{#00a0c6 37 55}}} || ||15시||{{{#0caf4e 09 26 43}}} ||15시||{{{#00a0c6 13 30 47}}} || ||16시||{{{#0caf4e 00 17}}} {{{#00a0c6 34 51}}} ||16시||{{{#00a0c6 04}}} {{{#0caf4e 20 36 53}}} || ||17시||{{{#00a0c6 08 25 42 59}}} ||17시||{{{#0caf4e 10 27 44}}} || ||18시||{{{#0caf4e 16 33 50}}} ||18시||{{{#00a0c6 01 18 35 52}}} || ||19시||{{{#0caf4e 06 22 38}}} {{{#00a0c6 54}}} ||19시||{{{#00a0c6 09 26}}} {{{#0caf4e 43}}} || ||20시||{{{#00a0c6 10 25 40 55}}} ||20시||{{{#0caf4e 00 16 32 48}}} || ||21시||{{{#00a0c6 10}}} {{{#0caf4e 25 40 55}}} ||21시||{{{#0caf4e 04}}} {{{#00a0c6 20 36 52}}} || ||22시||{{{#0caf4e 10 25 40}}} ||22시||{{{#00a0c6 08 24 40}}} || ||<-4> {{{#0caf4e 초록색}}}으로 표시된 시간대는 대전, {{{#00a0c6 하늘색}}}으로 표시된 시간대는 세종 차량 ||}}} || == 연계 철도역 == *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width=17]]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시청역(대전)|시청역]], [[정부청사역]][* 집현동 방향은 둔산경찰서, 시청환승지 방향은 통계센터에서 하차 후 도보] == 둘러보기 == [include(틀:대전-세종간 버스)] [[분류: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분류:대전광역시 경유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분류:세종특별자치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202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