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대전광역시의 도시철도]] [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대한민국의 경전철)] [include(틀:대전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5> {{{+1 '''대전 도시철도 {{{+1 3호선}}}'''[br]{{{-1 大田 都市鐵道}}} 三號線[br]{{{-1 Daejeon Metro}}} Line 3}}} || ||<-5> {{{#fff '''노선도'''}}}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eejangwoometro.jpg|width=100%]] }}} || ||<-4> {{{#fff '''노선 정보'''}}} || || '''분류''' ||<-4> [[대한민국의 도시철도|도시철도]] || || '''기점''' ||<-4> [[신탄진역]](계획) || || '''종점''' ||<-4> 산내역(계획) || || '''역 수''' ||<-4> 22개(계획) || || '''구성 노선''' ||<-4> 대전 도시철도 3호선 || || '''착공일''' ||<-4> 미정 || || '''개업일''' ||<-4> 미정 || || '''소유자''' ||<-4> [[대전광역시]] || || '''운영자''' ||<-4> [[대전교통공사]] || || '''사용차량''' ||<-4> 고/저심도 지하철도 방식 병행 || || '''차량기지''' ||<-4> 미정 || ||<-5> '''{{{#fff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4> 26km(계획) || || '''표정속도''' ||<-4> 미정 || || '''통행방향''' ||<-4> 미정 || [목차][clearfix] == 개요 == [[대전광역시]]에 건설될 예정인 [[대전 도시철도]]의 세 번째 노선이다. ==# 구 계획 #== || [[파일:b0042023_49377ed079b82.gif|width=100%]] || || '''2004년 7월 안''' || * 1991년, 도시철도 건설계획 수립 당시 [[중전철]]을 기획했다. * 2001년 9월, '제 1차 대전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한국교통연구원|교통개발연구원]]이 연구용역에서 대전 3호선 건설을 제안했다. * 2001년 12월, '제 1차 지방 5대 도시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에 [[국토교통부|건설교통부]]가 완공목표 미정으로 포함했다. * 2004년 7월 22일, '도시철도건설 기본계획 변경(안) 공청회'가 노선 구상을 발표했다. * 노선 - [[신탄진역]], 송강동, 전민동, [[엑스포과학공원역]], [[정부청사역]], 변동, [[도마역]], 안영동 [* [[:파일:110830_10_1.jpg|다른 노선도 참조]]. 기존 기차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가칭이다.] * 연장 - 총 23개 역, 영업거리 26.0 km * 궤간 - 1,435mm 혹은 1,700mm[* 이 노선이 철제차륜 경전철으로 추진되었다면 궤간이 1,435mm였을 것이고, 이 노선이 [[고무차륜 경전철]]로 추진되었다면 궤간이 1,700mm였을 것이다.] * 전기 -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 2009년 2월, [[박성효]] 시장 시기 대전광역시가 [[한국교통연구원]]에 2/3호선 노선과 건설방식 용역을 주었다. [[경전철]]로 구상이 바뀐다. * 2015년, [[권선택]] 시장 시기 대전광역시는 예비타당성 조사 1년, 설계 2년 등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해 3호선 추진을 본격 착수했다. 하지만 2015년 11월 [[충청권 광역철도]]의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되자 노선이 겹친다는 이유 등으로 3호선이 사실상 무산되었다. 이후 충청권 광역철도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남북축이라 사실상 3호선 기능'이라고 마케팅한다. == 신 계획 == || [[파일:leejangwoometro.jpg|width=100%]] || || '''2022년 3월 안''' || * 2021년 2월 2일, [[대전교통공사|대전도시철도공사]] 시무식에서 산성동~신탄진 20km의 신규 도시철도 노선이 재구상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http://www.joongdo.co.kr/web/view.php?key=20210202010001146|#]] * 2022년 2월 28일, [[허태정]] 시장이 3호선을 추진하기로 하며, 50km 길이, 트램, 2028년 착공 2033년 개통을 원칙으로 밝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228068851063|#]] * 2022년 3월 17일, [[이장우(정치인)|이장우]] 시장 예비후보가 새로운 3, 4, 5호선 노선도를 공약했다. [[https://www.cc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0762|#]] * 2022년 5월 13일, [[허태정]] 시장은 다른 3, 4 그리고 2호선 지선 3개의 노선도를 제안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2205131435142134|#]] * 2022년 6월 1일, 이장우 시장이 당선되었다. 당선 인사로 "3, 4, 5호선 건설은 당과도 상의된 일이기 때문에 동시에 추진해 가되, 최우선적으로 교통수요가 있는 지역부터 단계적으로 건설하는 방안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http://omn.kr/1z7kt|#]] * 2022년 12월 20일, 이장우 시장이 2023년에 3호선 용역을 신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3, 4, 5호선 동시건설이 아닌 3호선 우선추진, 4-5호선 차후추진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http://m.joongdo.co.kr/view.php?key=20221220010005512|#]] * 2023년 1월 30일, 이장우 시장이 3호선 용역이 추진중이며, 행정절차에 들어가면 최소 10년 가까이 걸리기 때문에 미리 충분히 계획을 짜고 단계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283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