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서구(부산)의 법정동)] ||<-2> '''[[강서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강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대저1동}}}'''[br]大渚一洞 | Daejeo 1(il)-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360042 || || '''관할 법정동''' || 대저1동 || || '''하위 행정구역''' || 28통 118반 || || '''면적''' || 17.73㎢ || || '''인구''' || 6,122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345.29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북구·강서구 을'''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도읍]] ,,(3선),, || ||<-2> '''부산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종환(1960)|이종환]] ,,(재선),, || ||<-2> '''강서구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정용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주홍 ,,(재선),,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박상준(1981)|박상준]] ,,(3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대저로221번길 19[* 대저1동 684-2] || || [[https://www.bsgangseo.go.kr/bsgangseo/dong/centerInfo.do?deptCode=33600420000&mId=0505010000|대저1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에 위치한 동으로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아래 대저2동과 마찬가지로 법정동 자체가 n동 식으로 되어 있는데, 유사한 사례로 [[서울시]] [[동작구]] [[상도1동]]이 있고[* 단 법정동 상도1동과 행정동 상도1동이 같은 구역이 아니다. 엄밀하게는 행정동이 법정동을 포함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고.], [[제주시]]에도 이러한 사례가 있다.[* 단 제주시의 경우는 법정동 자체를 1동, 2동 식으로 분할한 것으로 기존의 여러 법정리들을 통폐합하면서 만든 대저1·2동의 경우와는 조금 다르다. 또한 이쪽은 일동, 이동처럼 한글로 표기한다. [[안산시]] [[상록구]]에도 팔곡일동, 팔곡이동이 있지만 역시나 한글로 표기한다.] 본래 구한말 양산군 관할이었던 지역으로 1906년 김해군으로 이관되었다가 1978년에 부산으로 편입되었다. 지금의 대저1동은 김해군 시절 '''대저읍 대지리·사덕리·출두리·평강리 일대'''에 해당하며, 1914년 이전 대하면(현 [[대저2동]])과 대저면으로 합쳐진 대상면에 해당된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낙동북로]]가 지나는 강서구의 중심지. 김해와 부산을 잇는 길목에 위치해 있어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고 [[구포대교]]만 건너면 구포역, 구포시장, 덕천으로 접근이 가능해 이쪽 방면으로의 교통이 활발하다. [[강서구청(부산)|강서구청]]과 [[부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 부산지방[[대한민국 기상청|기상청]]과 [[부산 아이파크]]의 [[클럽하우스]]가 있는 [[강서체육공원]]이 이 동에 있다. == 상세 == 원래는 [[하중도]]인 [[대저도]]의 일부인, 엄연한 섬인데 교량이 연결되고 교통이 편리해 보통 섬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대저의 특산물로, 일명 짭짤이[[토마토]]라 불리는 찰토마토가 있는데 매년 4~5월 경, 강서체육공원에서 대저 토마토 축제가 열린다.--[[라 토마티나|스페인의 모 축제]]처럼 토마토를 던지지는 않는다.-- 대저 토마토는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도 등록되어 있다. 2019년 8월, 부산광역시에서는 이 동의 일부와 [[강동동(부산)|강동동]]을 포괄하는 강동·대저지구 계획을 발표했다.[[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0300&key=20190821.33001008519|기사]] [[벡스코]]의 2배 이상 면적이라는 부산제2컨벤션센터와 1만2천석 규모 [[축구전용구장]]까지 들어간 원대한 계획인데, 문제는 [[김해국제공항]] 소음피해를 직격으로 받을 만큼의 근거리인데다 상술한 대저토마토 농지 문제도 있고, 그리고 무엇보다 [[사상구]] [[주례동]]과 [[학장동]]에 위치한 부산[[구치소]] 이전이 포함된 부분이라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일고 있어 실현 여부는 미지수.[* [[북구·강서구 을]] 미래통합당 소속 [[김도읍]] 국회의원이 사활을 걸고 이전 결사반대를 추진중이다.][* 다만 현재 대저1동 한가운데 위치한 거대한 교도소를 구치소와 통합하여 강동동 [[북부산TG]] 뒤편의 최외곽으로 이전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오히려 환영해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현재 [[부산교도소]]는 대저1동의 알짜배기 평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대저1동 개발을 가로막는 주범이기 때문.] == 교통 == === 시내버스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부산 버스 55-1]][*A 출근시간 전용 노선] * [[부산 버스 123]] * [[부산 버스 127]] * [[부산 버스 307]] * [[부산 버스 1004]] * [[부산 버스 1009-1]] * [[부산 버스 1012]] * [[김해시 시내버스]] * [[김해 버스 8]] * [[김해 버스 8-1]] * [[김해 버스 70]] * [[김해 버스 73]] * [[김해 버스 911]] * [[김해 버스 912]] * [[김해 버스 913]] === 마을버스 ===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부산 버스 강서2]] * [[부산 버스 강서5]] * [[부산 버스 강서7-2]] * [[부산 버스 강서11]] * [[부산 버스 강서13]] * [[부산 버스 강서15]] * [[부산 버스 강서19]] === 도시철도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강서구청역(부산)|강서구청역]] * [[체육공원역]] * [[대저역]] * [[부산김해경전철]] * [[대저역]] * [[평강역]] == 학교 == 면적에 비해 인구가 워낙 적은 곳이고 논밭만 있는 동네라 학교도 별로 없다.[* 옆 동네 [[강동동(부산)|강동동]] 또한 마찬가지고 바로 밑에 있는 [[대저2동]]은 면적 대비 더욱 심하다.] 이 때문에 이름은 [[동(행정구역)|동]]이지만 실제로는 [[읍(행정구역)|읍]][[면(행정구역)|면]] 지역의 학교라 해도 손색없을 정도로 시골스러운 모습을 간직한 학교들이 많다.[* 황당하게도 겉모습은 완전 농촌이지만 행정구역 상 동 지역이라는 이유로 [[농어촌특별전형]]이 적용되지 않는다.] === 초등학교 === * 대상초등학교 * 대저초등학교 === 중학교 === * [[낙동중학교(부산)|낙동중학교]] === 고등학교 === * [[부산강서고등학교]] === [[특수학교]] === * 부산혜원학교 == 주거 == * 태원더블루원 - 2017/12, 36세대, 1개동 15층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강서구(부산), version=183)] [[분류:강서구(부산)의 법정동]][[분류:강서구(부산)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