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CC0000> '''{{{#FFE400 소련 훈장의 순차 }}}''' || ||<:> [[대조국전쟁 승전 40주년기념메달]] ||<:> ← ||<:> '''대일승전메달''' ||<:> → ||<:> [[부다페스트 탈환메달]] || {{{+2 Медаль «За победу над Японией»}}} Medal "For the Victory over Japan" 대일승전메달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9/Victory_Against_Japan_OBVERSE.jpg|외형]] [목차] == 개요 == 이름 그대로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군]]이 실시한 [[만주 작전]]을 통한 [[일본 제국]]의 [[관동군]] 격멸과 [[만주국]], [[한반도]] 등의 수복, 그리고 최종적으로 전쟁의 종결을 축하하는 동시에 모든 [[참전용사]]와 소련인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성격의 메달로, 1945년 9월 30일에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Президиум ВС СССР)의 법령에 따라 제정되었다. [[나치 독일]]의 항복 이후 제정된 [[대조국전쟁 대독승전메달]]의 형제격 메달이기도 하다. 다만 [[독소전쟁]]이 워낙에 [[크고 아름다운]] 규모였던지라, 수훈자 숫자는 차이가 많이 난다. --거의 '''10배'''-- == 수훈 대상과 사유 == 이 메달은 1945년 8월부터 9월에 이르기까지 [[일본 제국]]과의 전투에 참가한 '''모든 인원'''에게 수여되었다. > '''수훈 대상''' > * [[소련군|노농적군]], 해군 혹은 [[NKVD|내무인민위원부]](НКВД)의 소속으로 대일전선에 참전한 자 > * 극동 지역 군사작전에 관여한 국방인민위원부(НКО), 해군인민위원부(НКВМФ), 혹은 내무인민위원부 소속 인원 이 메달은 제1 극동[[전선군]], 제2 극동전선군, 바이칼 후방전선군, [[태평양 함대]] 혹은 아무르강 [[전단(군대)|전단]] 소속 장병들에게 수여되었다. 이 메달은 그 자체로는 '기념'메달이 아니었지만, 맥락을 같이 하는 [[대조국전쟁 대독승전메달]]이 추후 제정되는 승전 기념메달들의 기원으로 취급되면서 같이 묶이게 된다. 다만 [[소련]]에서는 [[독소전쟁]]의 훈격을 우선했기 때문에 전승 기념메달의 마지막인 [[대조국전쟁 승전 40주년기념메달]] 다음에 패용한다. 총 수여인원은 대략 1,831,000명이다. == 형태 == 메달의 지름은 32밀리미터이며 메달 전체를 [[황동]]으로 만든다. 따라서 메달은 전체적으로 동색이다. 메달의 [[디자인]]은 단순한 편이며, 전면에는 1943년형 회색 [[원수(계급)|원수]]예복을 갖춰입은[* 사실 1945년에 [[장성급 장교]]를 위한 새 녹색 예복이 제정되었지만, [[이오시프 스탈린]]은 이때 [[대원수]]예복의 착용을 거부하였으며 대신 다른 [[장군]]들과 구별되도록 1943년형 예복을 입고 [[계급장]]은 원수의 것을 달았다.] [[이오시프 스탈린]]의 흉상이 부조되었다. 스탈린의 시선은 오른쪽을 향하는데, 이는 [[소련]]을 기준으로 전선의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스탈린의 시선이 왼쪽을 향하고 있는 [[대조국전쟁 대독승전메달]]과 반대이다. 흉상 상부에는 메달 테두리를 따라서 '대일 승전을 치하하여(ЗА ПОБЕДУ НАД ЯПОНИЕЙ)'라는 글귀를 세겼다. 메달 뒷면에는 상부의 작은 오각별을 제외하면 날짜만 있었는데, 1945년 9월 3일(3 СЕНТЯБРЯ 1945)이 년/월/일이 3줄로 나뉘어 배치되었다. 메달의 [[리본]] 배색은 적색과 흰색, 노란색으로, 리본의 양 테두리에 3밀리미터 두께의 노란색 줄이 있었다. 여기에 0.5밀리미터씩의 흰색 선을 두고 가운데에 [[적기훈장]]의 리본 배색의 반전으로, 두 줄의 적색 줄무늬가 흰색 바탕 위에 나란히 배치되었다. == 관련 문서 == * [[소련군]] * [[훈장(상훈)/소련]] * [[관동군]] [[분류:소련 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