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파일:대우자동차 로고.svg|width=2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대우 AD-100.png|width=100%]]}}}|| || {{{#fff '''AD-100'''}}}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사라진 자동차 제조사인 [[대우자동차]]에서 개발을 진행했었던 중형트럭이다. 2000년까지 양산을 하려고 개발이 막바지까지 진행됐지만 1999년에 대우 사태가 일어나면서 한국에서의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으며 당시 대우가 인수했던 [[체코]]의 [[아비아]](AVIA)사가 이를 기반으로 트럭을 생산함으로서, 간접적으로나마 출시되었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via_vystava.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via_kabina.jpg|width=100%]] }}} || || {{{#ffffff ▲ 외관}}} || {{{#ffffff ▲ 실내}}} || 1980년대, [[대우 바네트]]가 실패한 이후 대우차는 상용차 시장에서 많은 열세를 보여왔다. [[다마스]]와 [[라보]] 같은 경형 상용차나 10톤 이상의 대형 트럭 외에는 수익성을 많이 낼 수 있던 중형트럭이 부족했기 때문에 중소형 부문에서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에 비해 밀리는 경향이 많았다. 이로 인해 [[대우자동차]]는 중소형 상용차 시장의 공백을 메우면서도 [[GM]]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해 판매하는 [[월드카]]를 만들 계획으로 이 프로젝트를 구상하면서, [[콘셉트카]]를 연상시킬 정도로 날렵한 유선형 디자인에 헤드램프는 [[삼성상용차]]의 트럭처럼 삼각형 모양이었고, 측면 디자인은 대우의 대형 차세대 트럭과 비슷했다고 한다. 범퍼 역시 승용차 수준의 유기적인 형태이며 앞 양옆으로 공기흐름을 제어하는 코너 베인을 적용했다고 한다. == 양산 무산 == 2000년까지 양산을 하려고 개발이 막바지까지 진행됐지만 1999년에 대우 사태가 일어나면서 한국에서의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으며 당시 대우가 인수했던 체코의 [[아비아]](AVIA)[* 과거 독일의 2차대전 패망 후 [[Bf109]]의 설계도를 갖고 아비아 199를 만들어 [[이스라엘 공군]]에 납품했던 회사.] 사가 이를 기반으로 [[아비아 D|트럭]]을 생산함으로서, 간접적으로나마 출시되었다.[* 공식명칭은 D120이다.]([[https://www.google.co.kr/search?q=avia+truck&client=ms-android-kt-kr&prmd=ivmn&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iFi4akjMDZAhWKV7wKHaXoADoQ_AUIESgB&biw=360&bih=612|#]]) 다만, 구글에서 'Daewoo avia truck' 이라고 치면 맨 처음에 나온 사진 속 차량을 찾을 수 있다. 아비아 D의 1/43 스케일의 다이캐스트 모델도 있다. 대우그룹 해체 이후 아비아를 인수한 인도의 아쇽 레일랜드에서 아비아 D를 베이스로 한 아쇽 레일랜드 보스(Ashok Leyland Boss)라는 차종을 출시하기도 했다. 한편 대우자동차의 상용부문은 타타대우 프리마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으로 [[타타대우 구쎈]]으로 내놓으면서 [[정신적 후속작|그 자리를 메웠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우자동차의 차량)] [[분류:대우자동차/베이퍼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