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의정부시·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의 버스회사)] ||<-3> '''{{{#FFFFFF {{{+2 대양운수 주식회사}}}[br]大洋運輸}}}''' || ||<-2> 설립일 || 1970년 8월 13일 || ||<-2> '''업종명''' || 시내버스 운송업 || ||<-2> '''대표자''' || 문갑주 || ||<-2> '''사원수''' || 85명 || ||<-2> '''기업 분류''' || [[중소기업]] || ||<-2> '''상장 여부''' || 비상장 || ||<-2> '''보유 대수''' || 47대 || ||<|2> '''주소지''' || '''동두천''' || [[경기도]] [[동두천시]] 송내로 15([[송내동(동두천)|송내동]]) || || '''전곡'''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은대성로 71-2(전곡리) || ||<-2> '''문의전화''' || 동두천 : 031)865-4150[br] 031)866-4547[br]전곡 : 031)832-2194 || [[파일:53-5_8040.jpg|width=480]] 이 회사의 주력노선인 [[동두천 버스 53|53-5번]]. [목차] [clearfix] == 소개 == [[경기도]] [[동두천시]]에 면허를 두고 있는 '''유일한''' [[버스 회사]]이다.[* [[전세버스]], [[시외버스]]도 동두천 면허는 없다.] 또한, [[연천군]] 면허 노선([[연천 버스 80|80-2번]], [[연천 버스 81|81번]], [[연천 버스 82|82번]], [[연천 버스 83|83번]], [[연천 버스 100|100번]])도 가지고 있는 복수면허 업체이다. [[선진고속(1954년)|영종여객]]에서 1970년 8월 13일 분리되어 만들어졌다. 과거 영종3사[* 영종여객, [[용일여객]], 대양운수.]중 유일하게 살아 남아있다. 특이하게도 [[의정부시|의정부]] 방면으로 나가는 노선은 하나도 없고[* 영종여객에서 분리되었을 땐 의정부, 영종도의 버스회사였으나 1980년대에 동두천으로 면허지를 옮기고 시외버스 사업을 전부 철수, 영종도 노선은 90년대 말에 철수, 현재 의정부, 영종도 진입노선은 없다.], 동두천시를 관할하는 노선보다는 연천군 일대를 휩쓸고 다니는 노선의 비중이 큰 편이다. 그래서 [[아웃 ○○ 노선|아웃동두천]]인 노선이 많은 편이다. 진짜 연천군 관내 회사로는 [[연천교통]]이 있지만 본래 [[평화로(경기도)|평화로]]([[3번 국도]]) 노선을 전담하던 회사였던데다가 [[KD 운송그룹|KD]]에게 39번대 노선을 대부분 넘기면서 사세가 많이 약해졌다.[* 하지만 지금도 1호선 연계노선인 39-2번이 막강한데다가 여러 공영버스가 신설되면서 전보다는 나아졌다. 되래 서울행 39번 시리즈가 망해버렸다.] 그래서 연천군 교통은 대양운수가 책임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양운수의 아웃동두천 및 연천군 면허 노선이 연천교통의 모든 노선보다 많다. 사실상 강세. KD의 경우 연천군에서의 영업범위는 연천읍까지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이전까지는 시외버스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구간요금을 크게 징수했고 당시만 해도 국방개혁 이전이어서 병력자원이 많다보니 5, 25, 28사단 등 군 부대 수요도 지금보다 훨씬 더 많았었다.[* 여담으로 동두천은 한때 미군들이 많이 거주했으며 미군들의 경우 1달러를 내고 탔었다.] 그래서 제법 잘 나갔으나, 지금은 그게 불가능해지면서 사세가 줄어드는 양상이다.[* 끝물에 동두천시의 지원을 받아 [[저상버스]]를 도입했으나, 대차분은 전부 일반형으로 교체했다.] 계열사로는 포천시 시내버스 회사 [[포천상운]]과 파주시 마을버스 회사인 파주운수가 있었으며, 파주운수의 경우 [[동두천 버스 61|61번]]과 [[파주 버스 091|091번]]을 공동배차한다. 그러나 포천상운은 [[선진그룹]]에 매각됐고,[* 이후 포천상운의 경우 [[부천버스]]와 함께 선진그룹에서 벗어났다가 선진그룹에서 다시 인수했으나 선진그룹 웹사이트에서도 빠져 있고 사실상 독자 경영한다. 사장이 같은 [[연천교통]] - [[선진시내버스]] - [[포천상운]]이 사실상 한 회사라고 봐도 될 수준. 포천상운 대표인 강대견은 신재호 회장의 인척이다.] 파주운수의 경우 사명이 [[으뜸교통]]으로 바뀌면서 계열에서 분리됐다. 두 계열사를 정리한 이후에도 회사 재정이 안 좋은건지 최근 들어서 수많은 차량들이 양도되거나 말소됐다. 그것으로도 부족했는지 59번을 [[포천 버스 59|포천상운에 넘겨버렸으며]] 51, 54, 57번이 2022년 4월 30일까지 운행을 중단하다가 끝내 폐선됐다. 현재 대부분의 노선이 과속을 하지는 않고 있으나,[* 53번 같은 경우 평균 60~80km/h 정도지만, 중형차인가 대형차인가에 따라 속도가 달라진다.] 연천군 오지노선이나 50번, 60-3번 같은 빠른 경우도 있다.[* 55번의 경우 직선이 긴 구간에서 100km/h를 잠깐 넘긴다.] 그리고 과거에는 심각한 차량상태로 비판받았지만 이후 전반적으로 차량 상태가 좋아졌다.[* 물론 상태가 안 좋았던 2008년식 차량들이 전부 대차됐을 뿐이며 2012, 2015년식 차들은 상태가 좋지 않다.] 특이하게도 2009년 이전, [[연천 버스 39-2|39-2번]]과 동일하게 운행하는 53번 대광리 운행계통이 있었다. 당시 연천교통과 [[공동 배차]]를 했으나 소리소문도 없이 폐선됐다. 한때 [[연천 버스 100|동두천(연천) 버스 100번]]이 무번호였을 시절 운행차량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도색을 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2015년에 대차분을 가져오면서 [[경기도]] 북부지역 [[시내버스]] 회사 중 최초로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레스타]]를 뽑은 회사다. 한때는 공차회송을 하기보다는 회송용 노선으로 노선을 바꾸어 운행하는 경향이 강했다.[* 53번의 경우 53번(전곡)과 53-11번(차고지) 식으로. [[천연가스버스]] 충전의 경우 가스충전을 하러 덕정동까지 53-8번으로 운행하며, 충전이후 다시 53-2번으로 덕정동에서 운행을 시작하는 방식이다. 전곡에서 연천군 각지를 운행하는 노선도 대양운수 차고지에서 출발하는 계통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한때 53번의 공차회송 번호를 달고 운행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전곡에 차고지가 완공돼 옛 얘기가 되었다.][* 2번의 경우 차고지 입고 노선으로 2-7번, 50번의 경우 출고노선인 50-5번과 50-6번, 51번은 1-1번으로 운행하였으나 모두 폐선되었다.] 한때 대부분의 노선들은 전곡 구 터미널이나 [[생연동 구 터미널|구)터미널]]을 경유하는 편이였다.[* 동두천 노선은 생연동 (구)터미널을 경유하고, 연천 노선은 전곡터미널을 경유한다. 53번은 두 곳 다 간다. 50번의 경우 롯데마트 연장 이전에는 구터미널로 가기는 했었다. 현재도 [[생연동 구 터미널|구)터미널]]을 경유하지 않지만, 해성산부인과 정류장이 구)터미널 바로 앞이니 해성산부인과에서 내리자.] 그러다가 일자 미상으로 전곡을 운행하는 모든 노선이 전곡 구터미널의 폐쇄로 터미널 앞 도로변에서 승하차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신시가지쪽이 많이 활성화됨에 따라 50번과 60번이 신시가지 경유로 변경되면서 구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게 됐다. 웬만해선 파업에 참여를 잘 안하는 회사다.[* [[2012년 버스 운행 중단 사태]] 때도 운행 중단 회사가 아니었다.] 동두천시의 유일한 버스 회사라는 것도 있지만, 광암동이나 안말같은 교통오지는 이 회사가 독점하기 때문. 여러번의 전국 시내버스 파업속에서도 이 회사는 꿋꿋이 예외로 들어갔....으나 2023년 10월 예정이였던 경기도 시내버스 파업에 연대로 참여하였다. 다만 버스파업이 또다시 극적타결되면서 운행중단 역시 없던 일이 되버렸다. 또 한때는 평일 수요를 위한 노선인데도 불구하고 주말에도 운행하는 노선이 많았었다. 과거에 운행되었던 52-1번, 53-2번(2기노선), 변경 이전의 90-1번과 91번은 통학하는 학생들을 위해 신설됐으나, 주말에도 맞춤형 노선을 제외하면 감차없이 잘만 돌아다닌다! 아마 운행횟수가 적어서 평일에만 운행할 필요가 없는 듯. 그러나 현재는 1-1번을 제외한 모든 통학노선들이 통학노선이 아니게 되거나 폐지되었고 최근 운행을 시작한 91-3번은 대양운수 최초의 평일 전용노선이 되었다. 대부분의 버스가 공휴일이면 휴일 시간표로 운행하는 것과 달리, 공휴일(일명 빨간날)이어도 평일이면 평일 시간표대로 운행한다. 특히 요일 기준으로 운행하는 맞춤형버스는 더더욱 그렇다. 과거에 시골 [[농어촌버스]]들처럼 [[가지노선]]이 심해 운행하는 노선에 가지노선(지선)이 무조건 하나씩은 있었으나[* 53번 노선의 경우 '''상·하행이 각각 별개의 노선번호를 가지고 있어서 서로 환승 할인이 가능한 시절도 있었으며'''(전화국→신시가지→덕정주공 53-5(-8번), 전화국→지행동→덕정주공 53-1(-7번). 예외적으로 만송동까지 들어가는 노선은 왕복 운행했다. 다만 최근 53번 운행차량의 가스충전을 위해 53-2번과 53-8번으로 또다시 상하행이 별개의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61번의 경우 한술 더 떠 각 회차별로 노선번호가 달랐을 정도이다.] 최근에는 동두천 본사 소속 노선들은 거의 다 사라져버렸고, 다른 대도시 노선들처럼 [[동두천 버스 60-3|가지 노선에도 고정 차량이 들어가는 노선]]도 생겼다. 현재는 노선이 매우 간결해져서 헷갈일 일은 많이 줄어들었다. == 운행 노선 == 각 노선별 지선은 해당 문서나 [[http://www.gbis.go.kr/|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 노선현황에서 시내버스-지역별 인허가노선 중 동두천시 인가를 참고.]을 참고할 것. 여기서는 본선과 각 행선지의 대표 지선만 기재한다. 아웃 동두천 노선이나 53번대 노선의 경우 [[가지노선|노선이 매우 복잡하다.]][* 53번대 노선의 경우 일부 시간대에 상,하행이 노선번호를 다르게 부여하기도 한다. 내려서 볼일을 보고 반대방향으로 타도 환승할인이 적용됐었던 셈. 현재는 가지노선을 많이 정리해서 과거보다는 헷갈릴 일이 줄었다.] ||<-2> '''{{{#FFFFFF {{{+2 대양운수의 운행노선}}}}}}''' || ||<-2> {{{#FFF 일반시내버스}}} || ||<-2> 동두천 영업소(본사) || || [[동두천 버스 1|{{{#FFF 1,,-1,,}}}]] || 롯데마트 ↔ 전화국 ↔ 안말회관 || || [[동두천 버스 2|{{{#FFF 2}}}]] || 롯데마트 → 보산초교 → 롯데마트 || || [[동두천 버스 3|{{{#FFF 3}}}]] || 롯데마트 ↔ 전화국 ↔ 안흥동마을회관 || || [[동두천 버스 4|{{{#FFF 4}}}]] || 롯데마트 ← 보산초교 ← 롯데마트 || || [[동두천 버스 5|{{{#FFF 5}}}]] || 동두천중앙역 ↔ 보산초교 ↔ 동두천중앙역 || || [[동두천 버스 6|{{{#FFF 6}}}]] || 대양운수 ↔ 가르멜수도원 || || [[동두천 버스 11|{{{#FFF 11,,-1,,}}}]] || 동두천중앙역 ↔ 광암동 ↔ 장림 || || [[동두천 버스 50|{{{#FFF 50}}}]] || 롯데마트 ↔ 광암동 ↔ 대진대 || || [[동두천 버스 52|{{{#FFF 52}}}]] || 대양운수 ↔ 봉암리 ↔ 숭의전 || || [[동두천 버스 53|{{{#FFF 53}}}]] || 전곡 ↔ 전화국 ↔ 덕정주공[*A 각 노선별 지선은 문서참조.][* 53번은 오전 회송용 노선이고, 본선은 53-5번 노선이다.] || || [[동두천 버스 60|{{{#FFF 60,,-1,,}}}]] || 롯데마트 ↔ 광암동 ↔ 장림 || || [[동두천 버스 60-3|{{{#FFF 60-3}}}]] || 롯데마트 ↔ 광암동 ↔ 놀자숲 || ||<-2> 전곡 영업소 || || [[동두천 버스 55|{{{#FFF 55}}}]] || 전곡 ↔ 북삼리 ↔ 연천역[*A][* 55번은 존재하지 않고 55-x번대 노선이 시간대마다 각각 다르게 운행된다. 본선격 노선은 55-6번.] || || [[동두천 버스 56|{{{#FFF 56}}}]] || 전곡 ↔ 통현리 ↔ 고문리[*A][* 전곡에서 [[포천 버스 56|포천 56번과 56-1번]]과 만난다. 이점 주의.] || || [[동두천 버스 58, 62|{{{#FFF 58}}}]] || 전곡 ↔ 왕징면 ↔ 동중리[*A] || || [[동두천 버스 61|{{{#FFF 61}}}]] || 전곡 ↔ 어유지리 ↔ 적성 || || [[연천 버스 82|{{{#FFF 82}}}]] || 전곡 ↔ 고능리 ↔ 양원리[*C] || || [[연천 버스 83|{{{#FFF 83}}}]] || 전곡 ↔ 두일리 ↔ 고랑포구 || || [[연천 버스 100|{{{#FFF 100[br]100-1[br]100-2}}}]] || 전곡 ↔ 은대리 ↔ 횡산리[br]전곡 ↔ 은대리 ↔ 군남면[br]전곡 ↔ 은대리 ↔ 왕림리 || ||<-2> {{{#FFF 맞춤형버스}}} || || [[연천 버스 80|{{{#FFF 80-2}}}]] || 전곡 ↔ 숭의전 ↔ 두일리 || || [[연천 버스 81|{{{#FFF 81[br]81-1[br]81-2[br]81-3}}}]] || 전곡 ↔ 동이리 ↔ 봉화촌[br]전곡 ↔ 고능리 ↔ 양원리[br]전곡 ↔ 전곡중고교 ↔ 장탄1리[br] 전곡 ↔ 장탄1리 ↔ 장탄2리 || || [[동두천 버스 90|{{{#FFF 90}}}]] || 동두천 시내순환[* 단일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복잡한 노선이다! 이용시 방향에 주의할 것.] || || [[동두천 버스 91|{{{#FFF 91[br]91-1}}}]] || 롯데마트 ↔ 전화국 ↔ 걸산동마을회관[br]롯데마트 ↔ 송내안골 ↔ 동두천중앙역 || || [[동두천 버스 91-3, 91-4|{{{#FFF 91-3[br]91-4}}}]] || 지행역 ↔ 신흥중고교[br]동두천중앙역 ↔ 광암동 ↔ 쇠목계곡 || == 운행차종 == * 창업 초기부터 골수 대우빠 업체였었으며, 현대차는 레스타가 출시되기 이전엔 카운티를 어느 정도 뽑고 포천에 에어로타운을 극소수로 뽑았지만 2015년에 레스타를 출고하고, 2019년에 12년 만에 카운티를 다시 출고했으며[* 레스타의 고질병으로 인해 카운티를 재출고한다.], 카운티를 제외한 출고분은 전부 자일대우버스였다. 그러다 2020년 4월에 '''그린시티 개선형 CNG'''를 출고했으며 2020년에 자일대우버스 공장 폐쇄 사태로 인해 아예 현대차로 공급선을 돌렸다. * 2023년 9월에 첫 [[전기버스]]인 '''일렉시티'''로 도입했으며 이는 2009년에 BS110CN F/L 이후로 '''14년'''만에 도입한 [[저상버스]]이기도 하다. * [[동두천 버스 53|53번]]에 운행중인 천연가스버스는 고읍동까지 공차회송해서 충전한다. 전에는 소요산에 가스충전소가 있어서 가스차량의 비중이 높았지만, 소요산 충전소 철거 후에는 53번을 제외하고 디젤버스만 운용한다. * 에어컨은 DNKR(덴소풍성)의 것이 흔하나 2019년에 출고한 82, 83번용 BS090 이후로는 동환에어컨만 출고했다. 또한 두원 에어컨이 달린 BS090이 한 대 있다. * 소형인 카운티, 레스타를 제외하곤 좌석형 위주로 출고했던 업체였으나 2016년 이후로는 입석형 차량도 출고한다. 53번에 운행중인 BS106 좌석형 차량에는 안전벨트가 있지만 안전벨트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는 아니며, 좌석형 차량과 입석형 차량중 한 대에는 휴대전화 충전용 USB포트가 있지만 충전 성능이 영 좋지 않다. == 면허체계 == * 경기 '''72'''자 '''8000'''호 ~ '''8070'''호 * 경기 '''77'''사 '''71#1'''호 (연천군 면허)[* 80-2번, 81번, 82번 및 83번, 100번 운행용. 다른 차량과 달리 기초자치단체 로고가 [[동두천시]]가 아닌 '''[[연천군]]''' 것이 붙어 있다.] == 보유차량 == === 현재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대우 레스타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자동차]] ==== * [[현대 카운티|현대 뉴 카운티 디젤]] * [[현대 카운티|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C|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자동차]] ==== * [[현대 카운티|현대 카운티 디젤]] * [[현대 카운티|현대 E-카운티 디젤]] * [[현대 에어로타운|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포천 면허였으며 2003년에 포천상운으로 넘어갔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 2018년 1월 30일 대양운수 차고지에서 버스 1대가 폭발하는 사고가 있었다.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7770|#]]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 관련 문서 == * [[버스 회사]] * [[동두천시/교통]] * [[동두천시·연천군 버스 목록]] == 둘러보기 == [include(틀:경기도의 버스 회사)] [[분류:경기도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7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