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양시의 중학교]][[분류:2004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의 중학교)] ||<-2> '''{{{#white {{{+2 대송중학교}}}[br]大松中學校[br]Daesong Middle School}}}''' || ||<-2> [[파일:대송중학교 로고.pn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대송중학교(경기), 너비=100%)] || || {{{#black '''개교''' }}} || [[2004년]] [[3월 1일]] || || {{{#black '''성별''' }}} || [[남녀공학]] || || {{{#black '''운영형태''' }}} || [[공립]] || || {{{#black '''교장''' }}} || 조경학 || || {{{#black '''교표''' }}} || 맑은 눈, 순수, 희망 || || {{{#black '''상징''' }}} || [[목련]][br][[소나무]][br][[까치]] || || {{{#black '''관할교육청''' }}} || [[경기도교육청]] || || {{{#black '''학생 수''' }}} || 478명[br][*기준 2023년] || || {{{#black '''교직원 수''' }}} || 39명[br][*기준 2023년] || || {{{#black '''교지''' }}} || 건축면적 2,360㎡ [br] 체 육 장 5,340㎡ [br] 기 타 4,302㎡ || || {{{#black '''주소''' }}}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송포로49([[대송중학교]]) || || {{{#black '''홈페이지''' }}} || [[http://www.daesong.ms.kr/main| ]] || [목차] == 개요 == [[대송중학교]]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고양)|대화동]]에 위치한 공립 3년제 중학교이다. 1학년 6학급, 2학년 6학급, 3학년 7학급으로 이루어져 있다.[*기준] == 역사 == ||2004.03.01 초대 민병철 교장 취임|| ||2004.03.02 12학급 편성|| ||2004.03.03 신입생 398명 입학|| ||2004.03.22 총 13학급 편성|| ||2005.03.02 총 23학급 편성|| ||2006.03.01 제2대 김승주 교장 취임|| ||2006.03.02 총 28학급 편성|| ||2007.02.15 제3회 졸업식(389명)|| ||2007.03.02 신입생 369명 입학|| ||2007.03.02 총 29학급 편성|| ||2008.02.15 제4회 졸업식(435명)|| ||2008.03.03 신입생 389명 입학|| ||2009.02.28 제5회 졸업식(345명)|| ||2009.03.02 신입생 367명 입학|| ||2009.03.02 총 28학급 편성|| ||2010.02.11 제6회 졸업식(340명)|| ||2010.03.01 제3대 최경희 교장 취임|| ||2010.03.02 신입생 407명 입학|| ||2010.03.02 총 30학급 편성|| ||2011.02.11 제7회 졸업식(386명)|| ||2011.03.02 신입생 345명 입학|| ||2011.03.02 총 30학급 편성|| ||2012.02.10 제8회 졸업식(352명)|| ||2012.03.02 신입생 327명 입학|| ||2012.03.02 총 28학급 편성|| ||2013.02.08 제9회 졸업식(383명)|| ||2013.03.02 총 26학급 편성|| ||2014.02.01 제10회 졸업식|| ||2014.03.03 총 24학급 편성|| ||2015.02.11 제11회 졸업식|| ||2015.03.02 총 22학급 편성|| ||2015.09.01 제4대 소복례 교장 취임|| ||2016.02.05 02월 05일 제12회 졸업식(275명)|| ||2016.03.02 제12회 졸업식(275명)|| ||2016.03.02 03월 02일 총 21학급 편성|| ||2017.02.03 제13회 졸업식(233명) 누적 3,858명|| ||2017.03.02 입학식(총 21학급, 학생수 234명)|| ||2018.02.09 제14회 졸업식(219명) 누적 4,077명|| ||2018.03.02 입학식(총 23학급, 학생수 209명)|| ||2019.02.15 제15회 졸업식(228명) 누적 4,305명|| ||2019.03.01 제5대 김승정 교장 취임|| ||2019.03.04 입학식(총 21학급, 학생수 626명)|| ||2020.02.07 제16회 졸업식(227명) 누적 4,532명|| ||2020.03.09 신입생 207명 입학, 총 20학급 편성|| ||2020.09.01 제6대 김미경 교장 취임|| ||2023.03.01 제7대 조경학 교장 취임|| == 교훈 == 큰 뜻을 품고 작은 일부터 충실하자 == 목표 == 더불어 꿈과 끼를 키워가는 행복한 학교 == 학교 교육 목표 == 학생상 - 배움을 실천하는 즐거운 학생 교사상 - 집단지성으로 성장하는 행복한 교사 학교상 - 참여와 소통으로 희망을 만드는 학교 == 교육 목표 구현 중점 ==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 -대송인은 아름다운 꿈으로 미래를 가꾸며, 사랑과 존경으로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고, 어떠한 어려움에도 도전 정신과 용기로 극복하며, 실천과 창의로 진리를 탐구하는 창의(創意) 민주시민을 기르고자 한다. == 학교 행사 == 기본적으로 학교에서 주관하여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행사는 체육회, 소축제 정도이다. 졸업식의 경우 졸업생들과 재학생 대표들만 참여가 의무이다. 체육회에서의 상금은 각 학년 당 1등을 차지한 학급에게 돌아갔으며 대부분 이러한 상금은 학급 학생들을 위한 군것질거리나 단합 비용에 들어가는 편이었다. 소축제는 2학기 말에 하며 학년별로 강당에서 춤, 노래를 경연하는 것이 관례였으며 이례적으로 2017년 부스 운영 등의 색다른 활동이 거론되었으나 학생 투표에 따라 역시나 예전과 같은 소축제로 진행하게 되었다. [* 코로나 시기 이후 이러한 관례는 점점 사라지고 있으며 대회의 상금도 없어졌다. --교사 마음--] 학생 전체가 참여할 필요가 없는 행사로는 스포츠클럽 대회[* 반 대항 스포츠 경기이다. 축구, 배드민턴, 농구 등의 경기를 펼친다.], 대송컵[* 종목은 남학생 축구, 여학생 피구로 되어 있다. 스포츠 클럽의 축구 경기와는 다르게 모든 시간을 남학생들이 뛴다.] 등이 있다.. --1위 학급에게는 상금이 주어졌었다.-- 현장체험학습은 정해진 횟수가 없고 상황 따라 다르다. --과거 1회--, 학년 수련회는 1학년들만 1학기에 1번 진행했었다[* 역시 코로나로 인해 학년 수련회는 하지 않게 되었다.] == 학교 시설 == 교실은 원래 나무바닥이라 물걸레를 이용한 청소가 불가능했지만 2021년부터 마루로 바뀌어 교실도 물걸레를 해야한다. 사물함은 본래 높이가 낮고 수납 공간이 좁았으나 2016년 8월 교체하며 높이가 높아졌고, 수납 공간이 커졌다. 건물은 5층까지 존재하며[* 사실 옥상으로 올라가는 층이 하나 더 있지만 계단 하나로 밖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그나마도 현재 막혀있다.] 건물을 올라가는 방법으로는 3개의 계단과 1개의 엘레베이터가 있다. 그러나 엘레베이터는 원칙적으로 학생 사용 금지이므로 학생들이 이용 가능한 수단은 계단 밖에 없다. 화장실은 각 층마다 두 개 씩 있다. 2023년 1학기 초에 화장실 공사를 진행하였고, 2023년 2학기 중반, 두 번째 화장실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각 교실은 보드마카가 아닌 분필을 사용한다. 각 학급에서 사용하는 TV의 전력량은 455Wh 이다. === 1층 === * 보건실[* 수업시간에 보건실을 다녀온다면 교과 선생님들께 보여드릴 확인증은 꼭 챙겨야 한다.] [* 보건실에서 학급에서 사용할 물티슈를 얻어오기도 한다.] * 컴퓨터실[* 정보시간에만 주로 이용했으나 크롬북을 도입한 이후 소프트웨어 동아리에서 주로 이용하며, 1학년 정보시간에만 컴퓨터실을 이용한다. ] * 제 1,2 과학실 * 급식실[* 전교생이 모두 이용하기엔 공간이 부족해 교사만 사용한다. 2023년 9월 부터 급식실 급식 시행설이 돌았지만 시행되지 않고 있다.] * 기계실--쓰레기통--[* 1층에서 계단으로 내려가게끔 되어있으며 이곳에 지하 피난소 또한 존재한다.] * 솔향기반[* 장애인들을 위한 교실이다.] * 제 1교무실[* 자치안전부, 인문환경부, 예술체육부 교사들을 위한 교무실이다.] * 행정실 * 당직실 * 교장실 * 대송 갤러리(Gallery Daesong)[* 4점의 그림이 전시되어있다.] === 2층 === * 제 2교무실[* 모든 층에 교무실이 있긴 하지만 다른 교무실들은 각 학년 담임 교사들이 주로 근무하는 곳이다. 따라서 이곳의 규모가 제일 크다. 교무기획부, 교육연구부, 혁신교육부, 수리정보부 교사들을 위한 교무실이다.] * 강당 * 예절실 * 미술실 * 간이 실내 체육실[* 그냥 탁구장이다. 2023년 2학기에 1학년 체육 수업에서 탁구를 배우기 시작하자, 학생들이 탁구에 미쳐버려 남학생들의 인기가 매우 많은 장소이다. 신발장도 구비되어 있지만 일부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문 앞에 실내화를 쌓아둔다.] * 방송실[* 시험기간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날에는 점심시간에 노래를 틀어준다. 선정적이거나 욕설이 들어간 노래 신청이 많아 방송부원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 음악실 * 기술실 * 전산실 * 회의실 * 진로활동실 * DIY 목공실 === 3층 === * 1학년 교실[* 총 6학급까지 있다.] * 제 3교무실[* 1학년부, 진로인성부 교사들을 위한 교무실이다.] * 도서관 * 배움 중심 교실 1 * Wee클래스 교실[* 여러 자잘한 이벤트들을 진행한다. 2023년 1학기,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에 마이쮸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했었지만 학생들이 전부 몰리는 바람에 2학기에는 사라지고 말았다.] [* 심지어는 1교시와 2교시 사이 쉬는시간에 준비해둔 마이쮸가 다 떨어지기도 했다.] * 시청각실 * 협의회실 1 * 여자 탈의실[*여담 '''현재는 통제구역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남자들은 화장실 옆에 딸린 작은 탈의실에서 옷을 갈아입어야 했다.] === 4층 === * 2학년 교실[* 총 6학급까지 있다.] * 제 4교무실[* 2학년부 교사들을 위한 교무실이다.] * [[해리 포터|영어반(해리포터)]], [[아라고른 2세|영어반(아라곤)]] * 학생 자치회실 * 체력단련실 * 협의회실 * 여자 탈의실[*여담] === 5층 === * 3학년 교실[* 총 7학급까지 있다.] * 제 5교무실[* 3학년부 교사들을 위한 교무실이다.] * [[정수|수학반(정수)]], [[유리수|수학반(유리수)]] * 협의회실 2 * 배움 중심 교실 2 * 여자 탈의실[*여담] == 출신 인물 == * [[김유정(배우)|김유정]] * [[다원(SF9)|다원]] * [[이재희(Weeekly)|이재희]] *[[박성욱(1997)|Ria(프로게이머)]] * [[진영준]] * [[이영채|이영채([[방과후 설렘]])]] == 오는 방법 == === 버스 === * 대송중학교 정류장 : [[광역급행버스 M7646|M7646]], [[고양 버스 056|056]], [[고양 버스 061|061]], [[고양 버스 062|062]], [[고양 버스 N007|N007]] * 대화동 정류장 : [[고양 버스 75|75]], [[고양 버스 870|870]], [[고양 버스 1000|1000]] == 여담 == * 대화마을에는 [[고양한내초등학교|한내초]]와 [[대화초등학교(경기)|대화초]], 총 2개의 초등학교가 있지만 대송중학교는 대화마을의 유일한 중학교이다. 따라서 두 초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대송중학교로 오기 때문에 1학년들이 학교로 편을 가르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 사건사고 == 대송중의 한 여학생이 마두역 근처에서 집단괴롭힘[* 발생한 시기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시기]]였는지라 [[패드립|가해 학생들 학부모가 코로나 걸려 죽기라도 했나]] 하는 반응도 있었다.]에 가담하여 성추행을 한 점이 드러났다. [[https://www.google.co.kr/amp/s/m.yna.co.kr/amp/view/AKR20210715104551060|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