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기도 파주시의 초등학교)] ||<-2> '''{{{#white {{{+1 대성동초등학교}}}[br]Daesungdong Elementary School}}}''' || ||<-2> [[파일:daesungdong_e_logo.jpg]] || ||<-2>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대성동길 150,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68년]] [[5월 8일]]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공립]] || || {{{#white '''교장'''}}} || 윤영희 || || {{{#white '''교감'''}}} || 이O필 || || {{{#white '''교훈'''}}} || 생각은 깊게, 행동은 바르게, 항상 최선을 다하는 어린이가 되자 || || {{{#white '''교화'''}}} || [[개나리]] || || {{{#white '''교목'''}}} || [[은행나무]] || || {{{#white '''학생 수'''}}} || 30명[*기준 2023년 03월 01일] || || {{{#white '''교직원 수'''}}} || 10명[*기준] || || {{{#white '''관할 교육청'''}}} ||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 || || {{{#white '''주소'''}}} ||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대성동길 150[* [[비무장지대]] 내에 위치해 있어 학교 출입 시 교무실로 연락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방문 목적 없이는 출입할 수 없다.] || || {{{#white '''홈페이지'''}}} || [[http://daesungdong.e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초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 {{{#white 날짜}}} || 연혁 || || {{{#white 1954.02.01}}} ||대성동 마을 자치학교 개설(22명)|| || {{{#white 1968.05.08}}} ||대성동국민학교로 승격 개교(3학급)|| || {{{#white 1986.03.01}}} ||6학급 편성 인가|| || {{{#white 1996.03.01}}} ||대성동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 {{{#white 2006.09.01}}} ||파주시 공동학구 지정|| || {{{#white 2007.08.21}}} ||대성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폐원|| || {{{#white 2008.11.19}}} ||유엔사 군정위와 양해각서 체결(전교생 35명)|| || {{{#white 2011.03.07}}} ||대성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재개원(4명)|| || {{{#white 2021.01.08}}} ||제52회 졸업식(5명, 총 211명)|| || {{{#white 2021.03.01}}} ||6학급 편성(전교생 30명)|| || {{{#white 2023.03.01}}} ||6학급 편성(전교생 30명)|| == 교훈 및 상징[* 출처: 대성동초등학교 홈페이지] == * 교표 [[파일:daesungdong_e_교표.jpg]] * 교화 : [[개나리]] [[파일:daesungdong_e_교화.jpg]] * 교목 : [[은행나무]] [[파일:daesungdong_e_교목.jpg]] * 교훈 : '''생각은 깊게, 행동은 바르게, 항상 최선을 다하는 어린이가 되자''' * 교가 >< 대성동초등학교 교가 > > >삼각산 높이 솟은 자유의 마을 >바르고 씩씩하게 자라는 우리 >파주 대성동에 희망의 새싹 >영원히 길이 빛날 대성동초등학교 == 학교 특징 == * 국내 유일 [[비무장지대]] 안에 위치한 [[초등학교]]로, 본교가 위치한 [[대성동(파주)|대성동 마을]]에 방문하려면 [[통일대교]]와 JSA 검문소에서 신원확인을 받아야지만 출입할 수 있다.[* 특별한 사유 없이 관광 목적 등으로는 출입할 수 없다.] == 학교 생활 == 원주민 자녀는 한 자리 수지만 [[파주시]] 이곳저곳에서 학생을 끌어모아 간신히 학교를 유지하고 있다. 1개 학년당 정원이 5명으로 '''학생이 고작 30명인데 교직원이 무려 22명'''인 무서운 학교.[* 2023년 3월 1일 기준. 비슷한 실정인 군내초등학교의 경우 학생 41명에 교직원 21명이다.] 학생 수가 적어서 1대 1 교육이 이뤄지는 데다 [[영어]]특성화학교로 지정돼 있어 판문점 소속 UN군이 영어를 가르쳐 주기 때문에, 해마다 외부 학생 신청자가 많다. 또한 학교 곳곳을 육군 병력이 보초를 서며 지키고 있다. [[대성동(파주)|대성동]]은 [[중등교육기관]]이 없기 때문에, 학교를 졸업하면 무조건 다른 지역으로 가야한다. 그래서 [[대성동초등학교]] 졸업(예정)생은 [[서울특별시|서울]], [[인천광역시|인천]], [[경기도|경기]] 관할 [[중학교]]에 배치 받을 수 있는 특혜를 주고 있다. 예전에 중학교의 경우 급식비나 방과 후 학교 비용, 의무 교육이 아닌 고등학교의 경우 운영 지원비 등을 낼 때도 대성동 주민들은 학비와 급식비 등 모든 금액을 전액 지원 받았다. 현지 주민들이 자녀 교육 때문에 마을을 일시적으로 떠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주민의 신분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대성초 졸업생들은 서울 중학교 입학 가능 특혜가 있어 다들 서울에 나가는데, 미성년자들이니만큼 부모 한 명 혹은 둘 다 함께 나가서 살아야 한다. 어린이들이 놀러다닐 때도 항상 군인이 주시를 해야 하는 동네지만, 주민 어린이들은 나고 자라다 보니 '위험하다, 무섭다'는 생각을 딱히 하지 않는다. 그 반대급부로 어린이들이 밖에서 노는 것을 부모들이 위험하다고 통제하는 일이 적다. 크리스마스에는 [[미합중국 육군]] 부대에서 크리스마스 파티를 하는데 어린이들을 초대한다. 최근에는 근처 미 육군 기지의 [[미군]]을 끌어들여 원어민 영어 교육을 시킨다고 신문에 나오기도 했다. 졸업생들을 축하해주기 위해 [[유엔군사령부]]와 [[공동경비구역#s-5.1.4|중립국감독위원회]]의 각국 [[장교]]들이 [[졸업식]]에 대거 참석하는 풍경이 매년 [[뉴스]]에 나온다. 마을 주민이 아닌 학생과 교직원은 허가 없이 학교 담 밖을 나갈 수 없으며, 심지어 공놀이하다 공이 담 밖으로 넘어가도 나갈 수 없어서 원주민 친구한테 주워달라고 부탁해야 한다고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성동(파주), version=469, paragraph=5)]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버스가 다니기는 하지만 [[비무장지대]] 안에 위치한 지역 특성상 통일대교 이북 구간 부터는 출입증을 검사하여 출입증이 없으면 하차해야 하기 때문에 마을 주민이 아닐 경우 버스를 이용할 수 없다.] || {{{#white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 대성동 || [[파주 버스 93|93]], [[파주 버스 93|93-4]], [[파주 버스 93|93-7]] || [[분류:파주시의 초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1968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