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12247110.gif|width=100%]]}}}|| ||<#ddd> {{{#000 '''대머리의 예시'''}}}[* 사진의 캐릭터는 [[크리링]]. 여담으로 크리링은 [[기만|일부러 머리를 밀었을 뿐, 사실 풍성하다.]]] --야 이 [[개새끼|개X끼]]들아-- || {{{+2 👩🏻‍🦲}}} 머리카락이 하나도 없는 머리를 대머리라고 하지만 정확히는 유전적으로 [[머리카락]]이 없거나 매우 적어서 [[뒤통수]]나 [[정수리]]가 드러난 상태를 말한다. 한마디로 자연적으로 [[탈모]]가 된 상태를 가리키는 말. 일부러 머리를 민 경우는 [[스킨헤드]], 혹은 [[빡빡이]] 문서로 가도록 하자. [[탈모]]가 머리가 빠지는 상태를 말한다면, 대머리는 탈모가 심해져서 머리숱이 거의 없어지고, 이마선이 뒤로 밀린 상태를 말한다. == 상세 == 대머리가 나이 든 남성의 상징이라는 인식도 있지만, '''빠르면 20~30대 초중반에도 대머리가 될 수 있다.''' 개인차가 심하기는 하지만 빠른 사람은 정말 빨리 대머리가 된다. 게다가 대머리까지는 아니지만 머리카락이 가늘어지다가 빠지는 [[탈모]] 자체가 과거와는 다르게 아직 어리거나 젊은 사람들에게서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10~20대인데 벌써 [[프로페시아]]를 복용하고 [[미녹시딜]]을 뿌리는 등 탈모로 고생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생각보다 많다. 실제로 탈모를 전문으로 진료하는 피부과 의사의 말에 따르면 특이하다고 넘길 정도로 적은 숫자가 아니라고 한다. 유심히 보면 한국의 남성 연예인들 중에도 대머리가 의심되는 사람들이 꽤 있다. 일부러 머리를 밀고 다니는 사람도 많지만, 남성형 M자 탈모 등이 젊을때 발생해서 중장년 헤어스타일을 하는 바에야 밀고 만다는 생각으로 머리를 밀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예 이렇게 밀어버리면 그나마 스트레스를 덜 받는 효과도 있긴 하다. 한국에서는 [[승려]]가 아닌 이상 머리를 [[삭발]]한 것을 이상하게 보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기 때문에, 10대 고등학생이나 20대 대학생이나 20~30대 초임 직장인들이 1년 365일 삭발을 하고 다닌다면 사회에 불만이 있는 사람으로 찍혀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면접]] 같은 채용 과정에서도 치명적이다. 그나마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머리를 삭발한 사람에 대해선 좋은 첫인상을 가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탈모가 심해서 머리를 밀고 다닌다고 설명을 해 줘야 납득하는 경우가 대다수일 것이다. 어쩔 수 없는 것이 [[동아시아]]권에서는 삭발이 권위에 대한 도전 및 반대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인사업자가 아닌 이상 대부분의 직장은 직원간에 상하 위계 서열을 정해서 업무를 진행하는데, 권위에 대한 저항감이 크다고 생각해, 아랫 사람으로의 채용을 꺼린다. [[문신]]한 사람을 자기 아랫 사람으로 잘 채용하지 않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집회, [[시위]] 등에서 특정 사안을 반대하며, 삭발식을 거행하는 것은 매우 흔하다. [[불교]]를 믿는 [[승려]]들도 [[번뇌]]를 없애기 위해서 머리를 미는데 이는 당연히 탈모가 아니라 일부러 깎아서 만든 머리다. 다만, 머리를 밀지 않는 승려도 드물지만 있다. 한편 [[이슬람교]]의 행사인 하지에서 남자 신도는 머리를 모두 미는 것이 규칙이다. 가끔 큰 시험을 앞둔 사람들은 외출을 자제하기 위해 머리와 [[신승범|'''눈썹'''까지 밀고 다니는 사람]]도 있다 카더라. 탈모가 시작된 사람들이 제일 듣기 싫어하는 말로, 이것이 [[별명]]인 사람도 있다. [[29만원]]으로 유명한 [[전두환|모 전직 대통령]]이라든가... 미국에서는 거의 없던 지도자형이다.[* 굳이 찾자면 2대 대통령과 6대 대통령인 [[존 애덤스|애덤스]] [[존 퀸시 애덤스|부자]], 8대 대통령 [[마틴 밴 뷰런]], 34대 대통령인 [[드와이트 아이젠하워]]가 있다. 특히 퀸시 애덤스는 [[캘빈 쿨리지|장난기 많던 후대 대통령]]에 의해 자기 초상화의 머리 부분에 먹칠을 당하기까지 했다. 굳이 더 찾자면 [[존 F 케네디]]가 탈모 내력이 있어서 늙을 때 까지 살았다면 대머리가 됬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러시아]]의 국가지도자에게서 유독 많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심지어 러시아의 지도자는 [[알렉산드르 3세|대머리 황제(알렉산드르 3세)]]-[[니콜라이 2세|대머리가 아니었던 마지막 황제(니콜라이 2세)]]-[[블라디미르 레닌|소련의 첫 번째 지도자 대머리(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강철의 비대머리(스탈린)]]-[* 이사이에 말렌코프가 있었다.][[니키타 흐루쇼프|쿠바에 폭격기 배치한 간큰 대머리(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체코 들쑤셔놓은 비대머리(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소련 최후의 희망 대머리(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존재감 없는 비대머리(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 대머리(고르바초프)]]가 [[소련]]이 해체될때까지 반복되었다. 이후 [[러시아 연방]]에서도 [[보리스 옐친|옐친]]은 대머리가 아니지만 [[블라디미르 푸틴|푸짜르]]는 대머리, 다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바지대통령(...) 메드베데프]]는 또 대머리가 아니고, 다시 푸틴이 집권하면서 계속 이 패턴이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푸틴의 유력한 후계자 후보들 혹은 그루지닌 같은 경쟁자들도 대부분 대머리가 아니다. 우리보다 대머리가 흔한 유럽 축구리그에서는 선수를 교체할 시기를 고를 때, 선수의 현재 컨디션은 어떤가, 그 선수가 이전에 몇시간 출장했는가와 함께 낮 경기라면 '''그 선수의 머리숱이 얼마나 남았는가'''도 고려한다고 한다. 아무래도 모자를 쓸 수 없는 축구 경기의 특성상 머리숱이 적으면 따가운 햇살 때문에 피로도가 빨리 오른다고 한다. [[정력]]과 대머리는 '''전혀 관계가 없다'''. 과학적인 인과관계가 전혀 없다. [[남성 호르몬]]의 양이 많다고 탈모가 생기는 게 아니고 DHT 또한 양이 많다고 탈모가 생기는 게 아니다. DHT는 남성 호르몬이 많다고 그대로 변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남성 호르몬이 많은 사람도 DHT로 잘 변환되지 않는 체질이라면 탈모가 생길 확률이 낮다. 반대로 남성 호르몬이 적은 사람도 DHT로 활발히 변환되는 체질이라면 탈모가 생길 확률이 높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 DHT가 많더라도 탈모 유전자가 없다면 탈모가 생길 확률은 낮다.[[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774|#]] 흔히 말하는 '탈모 유전자'는 'DHT가 탈모를 유발하게 만드는 유전자'를 말한다. 이는 머리카락을 제외한 털의 성장도 마찬가지다. 체모가 많은 것은 남성 호르몬과 DHT 양의 많고 적음과는 상관없고, DHT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체모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유전자가 있어야 비로소 체모가 많아지는 것이다. 참고로 DHT를 잘못 이해하여 DHT가 많으면 힘도 세고 근육도 더 잘 크는 거 아니냐고 말하는 사람이 있지만, DHT는 근육과는 상관없다. >남성형 탈모의 가장 주요한 원인은 '''유전'''과 '''DHT'''로, '''이 두 가지 원인이 동시에 작용해야만 탈모 증상이 발현'''된다. DHT는 탈모 유전자를 지닌 사람의 모낭에 작용해 모낭을 위축시키고 모발의 성장기를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다름아닌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이 특정 효소에 의해 변환된 물질이다. '''비록 DHT가 테스토스테론 변환 물질이기는 하나, 그 역할은 테스토스테론과 상이해 성인 남성의 근육 및 성징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탈모 치료제의 역할 역시 탈모 원인 물질인 DHT의 생성을 억제해 모낭 위축에 따른 모발 연모화 및 탈모를 막는 것이지, 남성호르몬을 자체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다.[[http://m.kmib.co.kr/view.asp?arcid=0009597156|#]] 그래서 탈모 치료제를 복용하면 남성 호르몬이 줄어들 것이라는 걱정과는 전혀 다르게, 오히려 남성 호르몬의 양이 증가하기도 한다. 따라서 탈모 치료제는 스포츠에서 금지약물로 분류되기도 한다.[* 축구선수 [[강수일]]이 발모제를 발랐다 도핑 검사에 걸려 징계를 먹은 적이 있다.] 법적으로는 대머리보고 대머리라고 부른다는 이유로 고소는 할 수 없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 MLT-35 [[김가연]]과 [[임요환]], [[홍진호]] 방에서 김가연이 게스트로 부른 김도영 변호사 말에 따르면 대머리는 신체적 특징을 언급하는 표준어라서 법적으로 모욕죄 성립이 되지 않는다고 언급. 그래도 이런 표현을 싫어하는 사람에게 함부로 말하지 않도록 하자. 대머리라고 불러서 빡친 사람--빡빡--이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법으로 단죄할 수 없지만 주먹으로 단죄하는 경우]]도 없다고는 말 못하니까. 대머리에게만큼은 장애인을 [[병신]]으로 부르는 것만큼 모욕적일 수도 있다. [[우월한 빡빡이]], [[탈모르파티]], [[https://youtu.be/OYs_JtTa6kA|탈모 점프]]라는 대머리에 대한 노래가 있다. [[청주시]]에는 대머리라는 이름의 마을도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상당구]] 방서동에 소재한다. 대머리 북쪽에는 작은대머리라는 마을도 있으며 버스 정류장 이름마저 작은대머리라고 되어 있다. [[https://youtu.be/yqp6SfENLaw|대머리이신 분들은 머리를 어떻게 감을까?]] == 애환 == 수많은 사람들이 대머리로 고통받는다. 사람 외모와 성적 매력에서 [[머리카락]]과 헤어 스타일이 차지하는 비중(약 50~70% 가량)이 굉장히 크다. 여자 대머리를 생각하면 확 체감이 되는데, 아무리 이목구비 얼굴형이 절세미인이라 하더라도, 탈모가 있어서, 머리 숱이 별로 없다면, 매력이 폭락하며 남자들에게 인기가 별로 없을 것이다. 결혼적령기 여성에게 있어, 결혼 상대를 찾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다. 여자는 대머리가 없다는 생각이 많지만, 형태와 출현 빈도가 다를뿐 여자도 엄연히 대머리가 있다. 물론 여자는 대머리라기보다는 탈모에 가깝긴 하다. 머리 숱이 적어지긴 하지만, 남자처럼 이마선이 뒤로 완전히 밀리고, 두피색이 피부색으로 완전히 바뀌는 남성형 탈모와는 다른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남자 대머리도 젊은 나이에 대머리가 되면, 사회 생활에 치명적이며, 애로사항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결혼 상대자를 구하는 것도 매우 매우 힘들며, 대머리라는 이유로 자기보다 조건(학력, 재산, 직업, 외모 등)이 훨씬 떨어지는 여자에게도 까이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어쩔 수 없는 것이 대머리가 일종의 [[유전병]]이라서 자식을 낳을 경우 2세와 3세가 대머리일 확률이 매우 높아서 본능적으로 피하기 때문이다. 대머리는 건강에는 특별히 문제가 없지만 일종의 사회적 질병 취급을 받는다. 탈모 및 대머리로 인하여 수많은 상품들이 나와 있으며, 단순히 머리에 검은 가루를 뿌리는 [[흑채]]에서 두피를 자극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상품이나 모발 이식 수술까지 이어진다. 모발이식수술 중에서 마치 여성들의 지방이식수술과 똑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수술도 있는데 여성의 지방이식수술이 뱃살을 떼어다 가슴에 붙이는 수술이라면 대머리의 모발이식수술은 수염과 가슴털 등에서 떼어다 머리에 붙이는 수술이다. 2015년 9월 MBC에서 방송된 다큐스페셜 "대머리라도 괜찮아" 를 보면 대머리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특히 정상인이 대머리로 분장을 한 채 몰래카메라를 촬영하는데, 피실험자는 대머리들이 심리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느낄 수 있으며, 다큐멘터리를 보는 일반인들은 그것을 관찰할 수 있다. 피실험자나 집에서 다큐멘터리를 시청하는 일반인이나 대머리들이 받는 심리적 영향력이 상당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다만 이런 종류의 다큐멘터리는 결과를 정해놓고 찍는 일이 많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은 편은 아니다. 이런 식으로 실험 카메라 형식으로 조사한 걸 내보내는 방송 중에서 조작 혹은 왜곡 논란이 있던 사례가 꽤 있다. 심지어 나이지리아에서는 대머리들 머리에 금이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안 자란다는 이상한 믿음에 대머리들이 살인 당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한국에서도 대머리라고 놀린 사람이 [[https://m.news.naver.com/read.nhn?oid=025&aid=0002899071&sid1=102&mode=LSD|살해당하는 일이 일어났다.]] 그런데 댓글의 반응은 대부분, 남의 민감한 신체를 가지고 놀렸으니 죽을만도 했다는 반응이 많다. 심지어 [[모잠비크]]에선 미신 때문에 살해 당한 후 주술의 재료로 쓰인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81&aid=0002827375|기사]] 50대 이상 고령층 탈모는 그냥 자연스러운 현상처럼 받아들이고, 그러려니 하는 분위기가 있지만, 한창 [[학교]]를 다니고, 구직 [[면접]]을 보고, 여자를 사귀고, [[결혼]]을 해야하는, 20대/30대의 조기 탈모 및 왕성한 사회 활동을 하는 40대에게는 치명적이다. 특히 20대 초반에 탈모가 올 경우, 한창 대학을 다녀야 하는 나이인데, 대인 관계 특히, 이성과의 교류가 매우 어려워지고, 대인 기피증이 생기고, [[우울증]]이 생기고, 여자를 사귀기 힘드는 등 어려운 점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구직 면접에서도 탈모 및 대머리는 치명적이다. 30대를 넘어가면 탈모 인구가 꽤 있는 편이라서 좀 덜하지만, 20대에 탈모가 오면 일자리를 잡는데에도 어려움이 많다. 사람과의 관계가 별로 안 중요한 연구직 등 일부 직종을 제외하고, 대면 영업직군 등에서는 면접에서 탈락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 역사, 종교경전 === [[명나라]]의 태조 [[주원장]]은 자신의 옛날 빡빡이 스님 생활에 콤플렉스가 있어서 자신에게 바치는 글에 대머리란 한자(禿)[* 禿 : 대머리 독]를 쓴 사람을 죽여버렸다. 심지어는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한자인 [[光]](빛 광)자도 사용을 금지했을 정도였다. 로마시대 [[투석구]]에 적힌 낙서 중에는 "루키우스는 대머리"라는 것이 있었다. 출처는 앤서니 에버렛, [[http://gezip.net/bbs/board.php?bo_table=realtime&wr_id=1540798|아우구스투스: 로마 최초의 황제]] 또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젊은 나이에 탈모가 왔는데 [[개선식 ]] 때 병사들이 바람둥이 대머리라고 놀리자 무척 불쾌해 했다고 전한다. 본디 개선하는 주인공을 일부러 신명나게 놀려먹는 것은 당시의 관습이자 일종의 축하인사인지라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어떤 놀림을 받든지 그냥 웃어넘겼음에도 불구하고 대머리라는 놀림만은 속이 상했다보다. [[열왕기]]에 나오는 예언자 [[엘리사]]는 동네 아이들에게 대머리라고 놀림받았는데 갑자기 암곰 2마리가 튀어나와 아이들 중 42명을 찢어 죽였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제사장]]이 대머리가 되면 신의 저주를 받았다고 보고 [[참수]]했다고 한다. 그래도 중세 유럽에서는 성직자나 학자가 대머리인 것은 드높은 지성의 상징과도 같았다. 즉 존경의 대상이었던 것. 하지만 보통 사람들이 대머리였을 경우에는 어땠을지… === 대머리가 되는 원인 === 현재는 [[유전자]] 분석 기술이 발달해서, [[침]] 한방울로 유전자 검사만 받아봐도, 탈모 유전자 여부와 탈모가 올 확률을 알 수 있다. 남녀 모두 탈모 유전자가 유전될 확률은 같다. 하지만 남성이 여성보다 탈모 유병률이 높은데, 여성도 난소와 부신에서 테스토스테론이 발생되기 때문에, 탈모 유전자를 보유했고, DHT가 이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면 탈모가 진행되지만, 여성의 앞머리 헤어라인 쪽에는 탈모 유전자에 반응한 DHT로부터 모낭을 보호하는 아로마타제가 많이 분피되어 있어서 정수리에서 유전성 탈모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모발의 탈모 진행을 방지하고 모발을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탈모가 대부분 억제된다. 본인을 기준으로 삼촌 항렬에 대머리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있다면 본인도 대머리가 될 확률이 있으며 주변 가족들과 친/외가 친척 중에서 아무도 대머리가 없어도 본인은 얼마든지 대머리가 될 수 있다. 실제 피부과에서도 이미 대머리로 변한 사람이든 아니면 한참 탈모로 스트레스 받는 사람이든 주변 가족이나 친척들 중에서 누군가 탈모로 고생하고 있거나 이미 대머리로 변한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은 하지만,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러니 자신은 가족들도 또 친척들도 아무도 대머리로 변한 사람이 없거나 탈모가 없다는 이유로 안심하면 안된다. 사람마다 헤어 사이클이 존재하는데, 그 사이클의 숫자가 사람마다 다르고 대머리인 사람은 그 사이클의 횟수가 짧아 일정 나이가 되면 머리가 빠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또 직접적인 원인은 유전이 맞지만, 사람이 어제는 멀쩡하다가 오늘 대머리로 변하지는 않으며 머리숱이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줄어들 때 스트레스, 계절 같은 부차적인 요인도 줄어드는 속도에 분명 영향을 준다. 게다가 고혈압,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도 영향이 준다. 여자 쪽의 아버지가 대머리이면 그 자식이 대머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탈모 유전자는 [[상염색체]] 중 3번과 20번, 성염색체 X 등에서 나타난다. 탈모는 부계로도 유전되고, 모계로도 유전되지만, 최신 연구에서는 부계유전보다 모계유전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성염색체]]는 여성 XX, 남성 XY이다. 이는 모계로 유전될 가능성이 더 높음을 의미한다. 외조부의 X염색체 탈모 유전자가 어머니의 X염색체에게 전해지고, 다시 아들의 X염색체에 실릴 수가 있는 것이다. 노인들이 하는 말에 따르면 '''"공짜 좋아하면 대머리 된다"'''고 하는데, 이 말의 유래는 과거 공짜 이발소에서 머리를 깎은 사람들이 이발소의 불결한 이발 도구로 인해 [[무좀|백선균]]에 걸려 탈모가 되었고, 이를 경계하는 의미에서 공짜 좋아하면 대머리 된다는 말이 생겨났다는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7&dirId=70111&docId=79846500&qb=6rO17KecIOyii+yVhO2VmOuptCDrjIDrqLjrpqwg65Cc64uk&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TM0xqwpVuF4ssZNygIhssssss1w-421175&sid=h5u8W0z2hlxl4/Rqu1vK2w%3D%3D|썰이 있다.]] === 치료법 === 간단히 말해서 '''바르는 탈모약, 먹는 탈모약 복용, [[모발이식]] 외엔 답이 없다.''' 아니면 [[가발]]을 쓰던가. 현재 의학계에서 머리카락이 다시 나오긴 힘들지만 적어도 머리카락이 '''빠지는 건(탈모) 일정 부분 막는다고 인정받은''' 치료 방법은 딱 두 가지인데, 바로 먹는 약 [[프로페시아]](피나스테리드)와 바르는 약 [[미녹시딜]]. 모발이식 중 하나인데 아예 피부이식을 하는 방법도 있다. 털이 나는 피부를 머리에 이식하는 것. 만약 모발이식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먹는 약인 피나스테라이드나 두타스테라이드의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된다. 공여부 우성의 원리[* 모낭은 출신 지역의 성질을 따른다. 즉 옆, 뒷머리에서 채취된 모낭은 앞머리에 이식되더라도 탈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에 따라 이식된 모발들은 빠지지 않지만 이식되지 않은 머리카락들은 약 복용을 중단한다면 탈모가 계속 진행되기 때문이다. 다만 모발이식도 머리카락이 안 빠지는 옆이나 뒤가 풍성해야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대머리 중 상당수는 뒷머리도 별로 없기 때문에 모발이식도 쉽지 않다. 뒷머리가 풍성하더라도, 특히나 뒤통수에 여분의 살집이 없으면 최악의 경우 불가능할 수도 있다. 모발이식은 빠진 머리카락을 다시 나게 하는게 아니라 있던 머리카락을 다른 곳으로 고르게 분포시키는 수술이기 때문. 특히 대머리 클리닉에 괜히 수백만원 주면서 다니는 것은 그야말로 가성비 떨어지는 돈낭비다. [[마사지]]를 하거나 머리에 마찰을 준다거나 해서 머리카락이 다시 나는 경우는 없다. 클리닉에서 두피 세척을 하면서 두피를 깨끗하게 해야 탈모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맞는 말이긴 하지만 집에서 샴푸로 열심히 머리 감으면 될 일.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대머리 클리닉은 돈낭비이니 가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차라리 그 돈으로 [[모발이식]] 수술을 하는 편이 백 번 낫다. 대부분의 탈모 관련 클리닉은 스트레스성 탈모나 지루성 탈모[* 남성호르몬이 발육과 피지분비를 촉진시켜 지루성이 되고, 그로 인한 과잉 피지가 모근을 손상시켜 가져오는 탈모.] 치료에는 효과를 보일지 몰라도, 유전성 탈모, 즉 '''대머리'''에는 아무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 대부분의 치료 사례로 보이는 사진들은 스트레스나 지루로 인한 일시적인 탈모다. 치료 사례 사진이 남성형 탈모, 즉 M자나 복합성보다는 정수리 쪽이 많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런 거라면 굳이 돈 들여 클리닉 다닐 필요가 없다. 규칙적인 식습관, 수면습관, 청결 유지 등만 해도 충분하기 때문. 즉, 한마디로 잘 먹고 잘 자고 머리 잘 감고 잘 말리면 될 일이다. 그 외 [[보톡스]]가 탈모 방지/재생 효과 기능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새로운 방법을 개발 중이라고 하니 지금 젊은 세대들은 조금 기다려보자. 만에 하나 확실한 탈모 치료제가 나온다면 개발자는 엄청난 이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부자건 가난하건 탈모는 공평하게 찾아오니까...''' [[UNIST]] [[박종화(1967)|박종화]] 교수는, 미래에는 [[게놈]] 치료를 통해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wWQRwHa1a4, height=280)]}}} || ==== [[프로페시아]]에 대한 루머 ==== 프로페시아는 워낙 많은 루머와 사실이 뒤섞여 떠돌아다니고 있다. * 프로페시아는 비타민제와 비슷한 정도의 약효만을 가질 뿐이다? 프로페시아는 의사협회에서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007958714&code=41171911|강력권장]]으로 분류될 만큼 확실한 약효를 가지고 있다.[* 강력권장등급은 정말 몇 없다. 그 [[비아그라]]조차(...) 권장등급. 물론 비아그라는 부작용의 위험성 때문이지만.] 특히 영양제급 효과라는 건 말이 안 되는 게 성분 자체가 특정 호르몬[* 탈모를 촉진한다고 알려진 전립선 호르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중 일부.] 생성의 부촉매 역할이지, 영양분이 들어있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 프로페시아는 내성이 있다? [[프로페시아]]에는 내성효과가 없다. '''하지만''' 대개 1~5년 후엔 효과가 조금씩 떨어지는데, 이는 노화로 인한 탈락과 더불어 약이 차단해 주는 호르몬 비율 외 때문이다. 대머리가 아닌 어른도 나이 50이 넘어가면[* 50대 이상인 남성은 흰머리 염색도 자주 안 하면 이 사람이 대머리인지 아닌지 구분이 안 갈 때가 있다.] 모발이 현저히 얇아지는데, 대머리는 이게 수배~수십 배는 빠른 상황이기에 내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실제로는 약 복용을 그만두면 더 빨리 대머리가 된다. * 프로페시아를 계속 복용하면 [[고자]]가 된다? 소수 부작용이 나타나며, 영구적이지 않다. [[http://www.msd-korea.com/assets/pdf/products/PROPECIA.pdf|매뉴얼]]을 보면 알겠지만, 2%의 환자에게서 성기능 감퇴가 일어났고[* 참고로 자연적 성기능 감퇴 확률이 3.5%다!], 그 중 95%가 넘는 사람들은 다시 성기능이 회복되었다. 즉, 0.1%에 해당되는 사람만이 프로페시아를 복용하면 불임으로 살아야 하는 것. 당연히 복용을 멈추면 정상으로 돌아온다. 일단 이런 루머가 떠도는 이유는 프로페시아가 탈모 호르몬이기도 한 전립선 호르몬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전립선 기능을 유지시키는 전립선 호르몬 생성량이 줄어드는만큼 전립선 기능이 기존보다 약화되어 정액의 양이 줄어드는 것은 합리적 전개로 봐도 사실 그렇게 이상한 것은 아니다. 단지 그 수준이 성기능을 아예 못 쓸 정도로 만드느냐 아니냐에 대한 논란이다.] 물론 고자는 고환이 제 기능을 못하는 거라 아예 다른 얘기가 되지만 성기능 약화로만 본다면 그 부작용을 아예 없다고 하는 것은 사실 문제가 있다[[http://www.danbiscape.co.kr/board/danbiscape_pic_01/15394|.]] * 프로스카를 쪼개 먹는다면? 프로스카는 프로페시아의 5배 용량이며 [[전립선비대증]]용으로 허가가 난 약이다. 피나스테라이드를 포함한 제제이기 때문에 프로페시아와 성분이 동일하며, 함량이 다를 뿐이다. 약을 쪼개기 때문에 매일매일 먹는 약의 용량이 조금씩 달라질 수는 있지만, 두피에서의 DHT 차단률, 부작용 확률 등은 프로페시아를 복용할 때와 별 차이가 없다. 따라서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 참고로 프로스카의 경우 [[인천국제공항]] 초기 의약분업 예외지역 시절 공항에서 많이 팔린 약 중 하나다. 물론 지금은 인천공항도 의약분업 시행 중이며 오남용 우려약이라서 예외지역에서도 처방전이 필수다. == 외모 == 대머리들이 애환을 겪는 근본적인 이유가 외모 문제이다. 대머리는 신체 기능에 심각한 문제를 주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일상 생활이 물리적으로 불편할 이유는 없다. 단, 머리카락이 너무 없으면, 겨울에 두피가 춥다는 명백한 단점도 있긴 하다. 그리고 머리카락이 뇌에 대한 완충 작용으로 보호 역할도 하는데, 머리카락이 없으니 [[군대]]나 [[건설]] 현장 등에서 소위 험한 일을 할 때 부상 위험성이 더 커진다. 남자의 대머리는 외모에는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데, 그로인해 여성의 남자에 대한 [[성욕]]을 심각하게 약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때문에 결혼 적령기 남자가 대머리라면, 연애 대상이나 배우자를 찾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결혼정보회사]]에 등록할 때도, 대머리면, 평가 점수와 매칭 가능 상대 여자의 레벨이 심각하게 폭락한다. [[진화심리학]]적으로 대머리는 기대 수명이 충분히 남아 있어서, 2세가 성년이 되는 시기까지 충분하게 부양이 가능하리라 예상되는 남성을 여성이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는 압력으로 작용한다. 여성 외모와 달리, 남성 외모는 피부 두께, 색깔 등의 문제로 인하여, 나이를 구분하기가 더 어렵기 때문에, 대머리라는 기전을 만들어서, 아직 탈모가 진행되지 않고 기대 수명이 충분히 남아있는 젊은 남자들이 우선 순위로 여성들에게 선택받아서, 2세를 가지도록 하는 시스템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머리는 외모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다만, 대머리가 개성으로 꼽히기도 한다. 대머리가 어울리는 사람들이 분명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한국에서는 [[구준엽]]이고 외국인까지 치면 축구 감독인 [[지네딘 지단]]이 여기에 속한다.[* 특유의 카리스마 있는 외모가 대머리와 맞물려 탈모 이전보다도 멋있다는 말이 많다.] 서구권에서도 대머리는 환영받지 못하며, 남성들의 [[열등감]] 포인트이다. 서구권에도 탈모로 고민하는 남자들이 매우 많다. 미국의 국민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에서 대머리 캐릭터 [[호머 심슨]]은 탈모 컴플렉스와 발모제에 관한 에피소드가 수차례 등장했으며, 그와 정반대 캐릭터인 [[네드 플랜더스]]가 풍성한 머리숱에 근육질 몸매인것을 봐도 대머리의 일반적인 이미지를 알 수 있다. 방송 매체에서도 대머리는 농담거리로 삼는데, 한 예로 머리숱 풍성하기로 유명한 배우 [[앤드류 가필드]]가 [[스티븐 콜베어]] 토크쇼에 출연했을때 방청석에 앉아있던 대머리 형과 아버지와 비교되며 머리채를 잡히기도 했다(..) [[https://youtu.be/9PuoDk_88ZM|#해당영상]] 또한, 서구에서 대머리를 미학적으로 높게 쳐주는 것도 어디까지나 그것이 어울리는 사람에 한해서이다. 미드 30Rock에서 대머리들은 사회적으로 성공하거나 행복한 삶을 살 확률이 현저히 낮아진다며 부하에게 [[가발]]을 권유하는 장면이 나온다. 또한, 과거 모 결혼알선업체에서 여성회원들에게 한 설문조사 결과 가장 결혼하기 싫은 배우자 1위로 꼽힌 적이 있다. 탈모가 진행되는 사람들 중엔 [[모발이식]]할 돈이 없다면 오히려 삭발하는게 훨씬 나은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 물론 삭발이 계속 관리를 해 줘야 하는 헤어스타일이기 때문에 좀 귀찮다.] 또 [[오지콘|중년에게 매력을 느끼는 사람들]] 중에 가끔 대머리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http://www.gooddrivers.co.kr/board/gooddrivers_info_07/7522|#]] 창작물에서의 대머리 캐릭터는 높은 확률로 [[악당]]이며 [[간지]] 캐릭터 혹은 [[네타 캐릭터|네타]]/[[개그 캐릭터]]가 된다는 두 가지 극단적인 스펙트럼이 자주 보인다. 악역이 아니라면 어느 쪽이건 주인공 혹은 일행들의 편이거나 조력자가 될 확률이 높다. 가끔 [[간지]]와 개그를 겸비한 대머리 캐릭터도 있겠지만... 과거 라인리그 시절의 [[게임라인]]에서는 게임 속 대머리 캐릭터들을 주제로 다룬 특집 기사를 '''내일은 빛나리(...)'''라는 제하에 실은 적도 있다.[* 참고로 90년대 코미디 프로그램 [[오늘은 좋은 날]]에 동명의 코너가 있었다. 당시 상당한 인기를 끌었던 코너였기에 여기서 기사 제목을 차용한 듯. 이 코너가 워낙 인기였기에 한동안 현실에서나 창작물에서나 대머리라고 하면 죄다 빛나리로 통하던 시기가 있었을 정도.] '''대머리의 매력을 내세우는 여자 캐릭터는 거의 없다.''' 그나마 현실에 가까운 세계관에서는 일부 [[여군]] 캐릭터들, [[사이버펑크]]나 [[포스트 아포칼립스]]같은 일부 SF장르에서는 해당 작품에 따라 인류의 패션 센스가 현실보다 진보되었거나, 혹은 파격적으로 변형되었다거나 한 경우 대머리까진 아니어도 거의 빡빡 깎은 여캐들이 나오긴 하다만, 매력이라기보다는 작품 배경에 감도는 패션센스적 장치에 가깝다. 사실상 남성 전용 속성으로 굳어진 상태. 다만 [[원펀맨]]의 주인공 [[사이타마(원펀맨)|사이타마]] 여체화 팬아트 같은 경우가 예외인데 비록 2차 창작이긴 하지만 대머리 여캐임에도 인기가 제법 있는 편이다. 참고로 1980년부터 1987년까지 대머리를 개그소재로 쓰는 것을 금지했다. 이유는 당시 대통령인 [[전두환]]이 대머리라서(...) 방송법상으로 규정된 것은 아니지만 KBS나 MBC나 전두환의 눈치를 보았기 때문에 알아서 자체검열을 한 것. 이 때문에 [[박용식]]이나 [[이주일]]도 한 동안 출연금지조치를 먹었다는 웃지 못할 후문도 있었고, 만화도 마찬가지로 [[고바우 영감]]의 주인공인 고바우 영감이 대머리를 드러내면서 새해인사를 하는 장면이 나왔다가 한동안 연재가 중단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고, [[김수정(만화가)|김수정]]의 만화가 대머리 악당 캐릭터 때문에 연재가 중단되기도 하는 웃지 못할 일들이 일어났다. smp(Scalp Micro-Pigmentation)이라는 모근을 한 땀 한 땀 문신을 새겨서 머리숱 자체가 풍성하게 보이는 [[http://matbi.co.kr/board/matbi_info_02/10976|대머리치료]] 방법이 나왔다고 한다. 사실 치료라고 하긴 좀 뭣하고 착시효과를 노린 메이크업 정도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다만 이쪽의 경우 또한 단점이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 퍼렇게 피부가 물들어 이상한 색이 그대로 피부에 물들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시술자의 경험이 부족하거나 실력이 미숙할 경우 오히려 안 하니만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 장점? == ~~마약검사를 회피하기에 좋다.~~ 다른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위생 === 대머리는 위생에서 보통 머리보다 관리하기 쉬운 편이다.[* 수십만개의 머리카락들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단 머리카락이 없으므로, 온도 또한 차갑기에 진균이 자랄 확률을 낮춘다. 진균은 최적의 온도 및 습도에서 자란다. 그리고 머리 감는 데 [[샴푸]]나 [[린스]]가 필요하지 않다. 얼굴 씻듯이 씻으면 되며, AHA와 같은 크림을 쓰면 비듬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단, 피부가 연약한 상태에서 쓰는건 금물이다. 수분의 경우 수분크림을 발라주면 된다. 아래에 나오는 기능적 상실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진드기 예방 === 대머리의 두번째 장점은 [[진드기]] 예방이다. 상기 내용에 해당돼야 높은 확률로 예방할 수 있다. 진드기는 비듬을 먹고 자라기 때문이다. 피부 진드기 중에서 흔한 집먼지 진드기는 단지 비듬만 먹고 자라는 것이 아니라, 최적의 온도와 습도에서 자라기 때문에, 대머리가 될 경우 이 조건들이 줄줄이 깨지게 된다. 비듬이 많아도 온도와 습도가 낮기 때문에 자랄 확률이 낮은데, 이마저도 비듬이 상당 부분 제거되면 아얘 사는 것 조차 불가능하게 만든다. === 변온성 === 여름에 피부는 뜨거워지고, 겨울에 피부는 차가워진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을 것이다. 머리카락은 보온 기능이 있는 것인데, 이게 없어진다면 반사율이 낮은 머리카락이 없어지고 대신 반사율이 높은 대머리가 되면서 여름에 시원해진다. 대신 겨울에 차가워진다.[* 아니다. 완전 스킨헤드 대머리든, 아님 반삭이든 여름이라고 시원하다는 건 편견이다. 두피에 햇빛을 직접 쬐인다고 생각해보라. 뜨거워 죽을 지경이다.] 때문에 대머리인 사람은 겨울에 모자를 쓰는 경우가 많다. 반삭은 10분은 커녕 1분만에 뜨거워지는 경우도 있으나, 팔다리 피부와 같이 털이 적은 경우나,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오래 견딜 수 있다는 추측이다. 그래도 머리 쪽은 사실상 직사광선이고, 직사광선에 오래 쬐는 것은 피부 건강에 좋지 않으니 운동시간 외에는 햇빛을 쬐지 않는 것이 좋다. 대머리도 반사율에 얼마나 공을 들이는가에 따라 반사율은 큰 차이를 보인다. 매우 흰 편이고, 자외선 차단제 등을 잘 바르면 50% 급도 가능하다고 한다. --그 사람을 보는 순간 눈부심이 일어난다.-- 반면, 어둡고 평범한 대머리는 20%에도 못미친다. [[스님]]들은 여름에도 그대로 절에서 지낸다. 삭발한 사람이 여름에 뜨겁다고 말하지만, 삭발과 대머리는 반사율에서 압도적인 차이가 난다. 삭발은 어두운 계열에 머리카락이 잔존해 있고, 대머리는 보다 밝은 계열에 모든 곳이 반사지점이기 때문이다.[* 쉽게 생각해보자면 빙하의 반사율 vs 바다의 반사율로 보면 된다.] == 단점 == === 기능적 문제 === 머리카락은 단순 장식용이 아니고 엄연히 자체 기능이 있다. 비록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지만 어쨌든 대머리는 머리카락의 두피 보호, 보온 등의 기능을 상실하는 셈이다. 자세한 건 [[머리카락]] 문서에서 기능 부분을 같이 참조하면 좋다. === [[직장생활]] 면에서 대머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MPvDpeUEAAt4sc.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MPvE18VwAArUlq.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MPvEKVVAAAMUd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MPvFhGU8AEZmtc.jpg|width=100%]]}}}|| --기자 웃음참기 성공-- --모자이크는 왜 한걸까?-- [[서비스업]]이나 영업사원일 경우 불리할 수 있다. 다만 이부분은 대머리임에도 개성적으로 보이는 외모거나 자연스런 가발을 사용한다면 어느정도 커버할 수는 있다. === 대머리는 해군사관학교 불합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군사관학교 신체검사 불합격 기준.jpg|width=100%]]}}}|| 해당 시행규칙은 '''[[전두환]]''' 정권([[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절인 1982년 9월 제정되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성준(정치인)|박성준]] 의원은 "군인사법에도 시대착오적 장애 사유가 수두룩하다"며 "더 이상 시대착오적인 낡은 규정으로 피해 보는 군 장병들이 없도록 군인사법 시행규칙의 대대적인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으며, 이 같은 지적에 해군은 같은 날 "해군건강관리규정에 따르면, 불합격의 기준은 남성형 탈모가 아니고 각종 질환에 의한 탈모증을 의미한다"고 해명했고, "대머리는 불합격"이라는 의미는 아니라고 부인했다. 해당 법안의 "전체면적"은 머리가 아닌 온 몸인 셈. 해군 관계자는 "탈모증으로 입학이 취소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고 말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895167|기사]],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025626&plink=ORI&cooper=DAUM|기사 2]] == [[밈(인터넷 용어)|밈]]으로서의 대머리 == 원래 대머리 및 [[탈모]]는 당사자들에게는 물론이고 모든 사람들이 안타깝게 보는 속성이다. 과거에는 대머리 캐릭터가 화가 많거나 혹은 가발을 쓰고 다니는 속 좁고 뻔뻔하고 능글 맞은 [[악역]]의 [[클리셰|모습]]들이 많이 보였다. 이후에는 물론 현실에서 직접 그러지는 않지만 온라인 상에서 과하게 조롱당하는 이미지가 있다. 모든 둥근 물체, 모든 빛나는 물체, 매끈하거나 미끌거리는 것 웬만한 것에 대머리를 비유하고 놀리는데[* 예시 중 하나로 동요 '햇볕은 쨍쨍 모래알은 반짝'을 '햇볕은 쨍쨍 '''대머리는 반짝''''으로 [[구전 동요|개사]]해서 부르기도 했다. 지역이나 판본(?)에 따라서는 뒷부분까지 "대머리 머리에다 참기름을 발라 놓으면 파리가 앉다가 미끄러져서 사망"으로 개사한 [[https://www.instiz.net/pt/2567691|버전]]도 있다(...).] 사실상 신체적 약점을 가지고 놀리는 인신공격 행위라서 기분이 나쁘기도 할텐데 대부분의 대머리들은 대인배스럽게 웃어 넘기거나 오히려 자기도 동참해서 잘 받아주는 경우가 많다. 또한 법원에서 '대머리는 표준어이며 모욕할 의도가 있었다 하더라도 상대방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말한 객관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명예훼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이 나오면서 더욱더 밈의 가속화를 부추겼다. [[https://www.yna.co.kr/view/AKR20111103039700004|기사]] 하지만, 역으로 대머리 특징을 찬양하는 [[밈(인터넷 용어)|밈]]도 존재하는데 이는 액션 영화나 게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하는 대부분의 [[스킨헤드]] 등장인물은 엄청난 활약을 한다는 것과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서도 대머리 관련 캐릭터들이 엄청난 힘을 지녔거나 활약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펀맨]]이라는 작품에서 [[사이타마(원펀맨)|주인공]]은 평범한 인간이었는데 최강이 되면서 대머리가 되었다고 하는데 개그 요소이긴 하지만 이 [[밈(인터넷 용어)|밈]]에 가장 노골적으로 부합한다.] 또한 이러한 밈이 유명해지면서, 힘이 세거나 액션에 재능이 있어보이는 인물이 사실은 대머리인데 가발을 썼다거나 조만간 곧 대머리가 될거라는 식의 밈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반대 속성 및 빌런(?) 개념으로 '''풍성충'''도 생겼다. 머리카락이 많은 인물에게 붙이며 이들도 언젠가는 대머리로 회개할 것이라는 저주를 한다. 대머리들은 [[태양권(드래곤볼)]]을 사용할 수 있는데, 대머리가 두 명 이상 있는 상황에서 '''살다살다 태양이 두 개 뜨는 날도 보는구나'''같은 반응을 들을 수 있다. 대머리들은 머리가 좋아, 머리에 [[https://youtu.be/x9q3SpvSZXk?t=62|후광이 비친다]]고 한다. 간혹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14&aid=0001077217|대머리를 축구공으로 착각]](...)하는 AI도 있다.--슬퍼요가 압도적으로 많다-- 또한 대머리들은 수영장에서 수모(水帽)를 쓰지 않는 수모(受侮)를 겪는다. 말(馬)들이 사람의 [[https://www.youtube.com/watch?v=NSD1VDubAWU|대머리를 핥기도 한다]]. 일본에서 탈모 환자들을 놀리는 말로는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7418005?|지우개가 있다]]. [[지우개]]를 사용할수록 머리가 닳기 때문. 과학이 고도로 발달한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스페이스 오페라]]나 [[사이언스 픽션]] 등의 작품에 대머리 캐릭터가 등장하는 경우 XX세기가 되어도 '대머리는 치료하지 못한다', '은하를 정복해도 대머리는 정복하지 못한다' 등의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다만 만일 과학이 실제로 고도로 발달해서 대머리를 손쉽게 치료할 수 있다면 오히려 대머리가 콤플렉스가 아니게 될 수도 있다. 너도나도 아바타 꾸미듯 외모를 손쉽게 바꿔서 전형적인 미남미녀가 될 수 있다면 오히려 남들은 안 하는 특이한 외모로 꾸미는 것이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MMORPG 게임에서 진성 고인물들이 왜 미남미녀 커스터마이징이 아닌 팬티차림 할배 커스터마이징을 하고 다니는지 생각해보자.] [[메탈기어 솔리드 3]]에서 [[코브라 부대]]의 일원으로 등장한, 디 엔드(The End)는 저격수로서 자신의 위치를 드러내지 않지만, Normal 난이도에서 대머리가 햇빛에 반사된다. [[주호민]]은 뮤지컬 보러 갈 때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8986198|모자를 썼다]]. 대머리에 빛이 반사되어 무대 위 배우들이 놀랄 가능성을 고려했기 때문. == [[대머리/목록|이 속성을 지닌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머리/목록)] == 언어별 명칭 == ||<-2> '''언어별 명칭''' || ||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대머리(ˈtɛ(ː)mʌɾi ~ ˈte(ː)mʌɾi, daemeori), 민머리, 맨머리 || || [[한자|{{{#373a3c,#ddd '''한자'''}}}]] ||[[禿]]([[독]]), [[禿]][[頭]](독두), 頇(안), 鬝(간), 鬜(간) || ||<|2> [[그리스어|{{{#373a3c,#ddd '''그리스어'''}}}]] ||φαλακρός(falakrós), καραφλός(karaflós) || ||φαλακρός(phalakrós)([[고대 그리스어]]) || || [[독일어|{{{#373a3c,#ddd '''독일어'''}}}]] ||Glatze, Kahlkopf, Kahlköpfe, Glatzkopf || || [[라틴어|{{{#373a3c,#ddd '''라틴어'''}}}]] ||calvus, calvitium/calvítĭum, depilatio/dēpĭlátĭo, madarus/mádărus, recalvaster/recalváster, recalvatio/recalvátĭo || || [[러시아어|{{{#373a3c,#ddd '''러시아어'''}}}]] ||лысый(lýsyj), плешивый(plešívyj), лысая голова, лысина || || [[마인어|{{{#373a3c,#ddd '''마인어'''}}}]] ||botak || || [[베트남어|{{{#373a3c,#ddd '''베트남어'''}}}]] ||trọc, hói || || [[산스크리트어|{{{#373a3c,#ddd '''산스크리트어'''}}}]] ||कुल्व(kulva), खार्वाटक(khārvāṭaka), ऋक्ष(ṛkṣa) || ||<|2> [[스페인어|{{{#373a3c,#ddd '''스페인어'''}}}]] ||calvo, calvicie, pelado, peladera, pelón([[구어]]) || ||calvu([[아스투리아스|아스투리아스어]]) || ||<|3> [[아랍어|{{{#373a3c,#ddd '''아랍어'''}}}]] ||أَقْرَع(ʾaqraʿ), أَصْلَع(ʾaṣlaʿ), أَجْرَد(ʾajrad) || ||قرع(qraʿ)([[아랍어 방언|모로코 아랍어]]) || ||أقرع(aʾraʿ)([[이집트 아랍어]]) || || [[에스페란토|{{{#373a3c,#ddd '''에스페란토'''}}}]], [[이도|{{{#373a3c,#ddd '''이도'''}}}]] ||kalva, senhara || ||<|3> [[영어|{{{#373a3c,#ddd '''영어'''}}}]] ||[[발드|bald(발드)]], baldhead(발드헤드) || ||calu, hnot([[고대 영어]]) || ||calwe, balled([[중세 영어]]) || ||<|2> [[이탈리아어|{{{#373a3c,#ddd '''이탈리아어'''}}}]] ||calvizie, calvo, senza capelli, pelato, rasato || ||scucciato, zelluso(나폴리어) ||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ruby(禿, ruby=は)]げ(hage, 하게), ハゲ(hage, 하게), [ruby(禿頭, ruby=とくとう)](tokutou) ||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ruby(光头, ruby=guāngtóu)]([[정자(한자)|光頭]]), [ruby(秃头, ruby=tūtóu)](禿頭) || ||<|2> [[페르시아어|{{{#373a3c,#ddd '''페르시아어'''}}}]] ||طاس(tâs), کچل(kačal), [[칼|کل(kal)]] || ||тос(tos)([[타지크어]]) || ||<|2> [[포르투갈어|{{{#373a3c,#ddd '''포르투갈어'''}}}]] ||calvo, careca || ||calvo([[갈리시아어]]) || || [[프랑스어|{{{#373a3c,#ddd '''프랑스어'''}}}]] ||crâne chauve, chauve || ||<|2> [[히브리어|{{{#373a3c,#ddd '''히브리어'''}}}]] ||התקרחות(hitkaʁˈxut), קירח / קֵרֵחַ(keréakh) || ||[[고라|קֹרַח(Core/Korah/Kórach, 고라)]][* 두에이 성서에서는 Core로 표기하며, 동유럽에서는 Korak으로 표기한다.](고대 히브리어) ||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교회 슬라브어|{{{#373a3c,#ddd '''교회 슬라브어'''}}}]] ||възлꙑсъ(vŭzlysŭ) || || [[나바호어|{{{#373a3c,#ddd '''나바호어'''}}}]] ||dilkǫǫh || || [[네덜란드어|{{{#373a3c,#ddd '''네덜란드어'''}}}]] ||kaal || ||<|2> [[노르웨이어|{{{#373a3c,#ddd '''노르웨이어'''}}}]] ||skallet(보크몰) || ||skalla(뉘노르스크) || || [[덴마크어|{{{#373a3c,#ddd '''덴마크어'''}}}]] ||skaldet || || [[라딘어|{{{#373a3c,#ddd '''라딘어'''}}}]] ||las || || [[라오어|{{{#373a3c,#ddd '''라오어'''}}}]] ||ລ້ານ(lān), ໂລ້ນ(lōn) || || [[라트비아어|{{{#373a3c,#ddd '''라트비아어'''}}}]] ||plikgalvains || || [[루마니아어|{{{#373a3c,#ddd '''루마니아어'''}}}]] ||chel, pleșuv || || {{{#373a3c,#ddd '''루히아어'''}}} ||sipara || || [[리투아니아어|{{{#373a3c,#ddd '''리투아니아어'''}}}]] ||plikas || || [[마야어|{{{#373a3c,#ddd '''마야어'''}}}]] ||k'olis(유카탄 마야어) || || [[마오리어|{{{#373a3c,#ddd '''마오리어'''}}}]] ||pākira, porohewa, hewa || || [[마케도니아어|{{{#373a3c,#ddd '''마케도니아어'''}}}]] ||ќелав(ḱelav) || || [[만주어|{{{#373a3c,#ddd '''만주어'''}}}]] ||ᡥᠣᡨᠣ(hoto) || || [[말라얄람어|{{{#373a3c,#ddd '''말라얄람어'''}}}]] ||കഷണ്ടി(kaṣaṇṭi) || || [[반투어군|{{{#373a3c,#ddd '''메루어'''}}}]] ||kimencu || || [[몽골어|{{{#373a3c,#ddd '''몽골어'''}}}]] ||халзан(khalzan) || || [[바스크어|{{{#373a3c,#ddd '''바스크어'''}}}]] ||soil, burusoil || || [[벨라루스어|{{{#373a3c,#ddd '''벨라루스어'''}}}]] ||лысы(lýsy), пляшывы(pljašývy) || || [[벵골어|{{{#373a3c,#ddd '''벵골어'''}}}]] ||টাক মাথা(ṭak matha), টাকলু(ṭaklu)([[구어]]), টেকো(ṭeko)([[속어 유행어 관련 정보|속어]]) || || [[불가리아어|{{{#373a3c,#ddd '''불가리아어'''}}}]] ||плешив(plešív), лис(lis) || || [[세르보크로아트어|{{{#373a3c,#ddd '''세르보크로아트어'''}}}]] ||ћелав/ćȅlav || || [[세부아노어|{{{#373a3c,#ddd '''세부아노어'''}}}]] ||upaw, upawon || ||<|2> [[소르브어|{{{#373a3c,#ddd '''소르브어'''}}}]] ||goły(상소르브어) || ||plěchaty(하소르브어) || || [[쇼르어|{{{#373a3c,#ddd '''쇼르어'''}}}]] ||тас(tas) || || [[발트어파|{{{#373a3c,#ddd '''수도비아어'''}}}]] ||plikas || || [[순다어|{{{#373a3c,#ddd '''순다어'''}}}]] ||butak || || [[스웨덴어|{{{#373a3c,#ddd '''스웨덴어'''}}}]] ||flintskallig, skallig || || [[슬로바키아어|{{{#373a3c,#ddd '''슬로바키아어'''}}}]] ||plešatý || || [[슬로베니아어|{{{#373a3c,#ddd '''슬로베니아어'''}}}]] ||plešast || || [[아르메니아어|{{{#373a3c,#ddd '''아르메니아어'''}}}]] ||քաչալ(kʿačʿal), ճաղատ(čałat) || || [[아이슬란드어|{{{#373a3c,#ddd '''아이슬란드어'''}}}]] ||sköllóttur || ||<|5> [[아일랜드어|{{{#373a3c,#ddd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373a3c,#ddd '''스코틀랜드 게일어'''}}}]] ||maol || ||meayl([[맨어]]) || ||moal([[브르타뉴어]]) || ||moel([[웨일스어]]) || ||máel([[켈트어파|고대 아일랜드어]]) || || [[아제르바이잔어|{{{#373a3c,#ddd '''아제르바이잔어'''}}}]] ||keçəl, daz || || [[알바니아어|{{{#373a3c,#ddd '''알바니아어'''}}}]] ||tullac || || [[왈롱어|{{{#373a3c,#ddd '''왈롱어'''}}}]] ||tchenou, pelot, pelake, pelé || || [[우랄어족|{{{#373a3c,#ddd '''에르자어'''}}}]] ||кепебря(kepebrja) || || [[에스토니아어|{{{#373a3c,#ddd '''에스토니아어'''}}}]] ||kiilas || || [[오크어|{{{#373a3c,#ddd '''오크어'''}}}]] ||calvet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우디어'''}}}]] ||каьчаьл(käčäl) || || [[우즈베크어|{{{#373a3c,#ddd '''우즈베크어'''}}}]] ||[[칼|kal(칼)]], toz, siyqa || || [[우크라이나어|{{{#373a3c,#ddd '''우크라이나어'''}}}]] ||лисий(lýsyj), плішивий(plišývyj) || || [[원시 인도유럽어|{{{#373a3c,#ddd '''원시 인도유럽어'''}}}]] ||kalwos, *gelH-, *klH- || || [[위구르어|{{{#373a3c,#ddd '''위구르어'''}}}]] ||يالىئڭاچ(yali'ngach) || || [[이디시어|{{{#373a3c,#ddd '''이디시어'''}}}]] ||ליסע(lise), פּליכעוואַטע(plikhevate) || ||<|2> [[자바어|{{{#373a3c,#ddd '''자바어'''}}}]] ||buthak || ||buṭak(고대 자바어) || || [[조지아어|{{{#373a3c,#ddd '''조지아어'''}}}]] ||მელოტი(meloṭi), ქოსა(kosa) || || [[체코어|{{{#373a3c,#ddd '''체코어'''}}}]] ||plešatý || || [[카자흐어|{{{#373a3c,#ddd '''카자흐어'''}}}]] ||жалтыр(jaltyr), қасқа(qasqa), таз(taz) || || [[카탈루냐어|{{{#373a3c,#ddd '''카탈루냐어'''}}}]] ||calb || || [[케추아어|{{{#373a3c,#ddd '''케추아어'''}}}]] ||pagla || || [[쿠르드어|{{{#373a3c,#ddd '''쿠르드어'''}}}]] ||کەچەڵ(keçell)(소라니 방언) || || [[크림 타타르어|{{{#373a3c,#ddd '''크림 타타르어'''}}}]] ||tazbaş || || [[크메르어|{{{#373a3c,#ddd '''크메르어'''}}}]] ||តម្ពែក(tɑmpɛɛk), ត្រងាល(trɑngaal) || || [[키르기스어|{{{#373a3c,#ddd '''키르기스어'''}}}]] ||кашка(qaşqa), таз(taz) || || [[타밀어|{{{#373a3c,#ddd '''타밀어'''}}}]] ||சொட்டை(coṭṭai) || || [[태국어|{{{#373a3c,#ddd '''태국어'''}}}]] ||ล้าน(láan), โล้น(lóon) || ||<|2> [[터키어|{{{#373a3c,#ddd '''터키어'''}}}]] ||Kel, Dazlak || ||طازلاق(dazlak), كل(kel)([[오스만어]]) || || [[텔루구어|{{{#373a3c,#ddd '''텔루구어'''}}}]] ||బట్టతల(baṭṭatala) || || [[투르크멘어|{{{#373a3c,#ddd '''투르크멘어'''}}}]] ||sakar || || [[페로어|{{{#373a3c,#ddd '''페로어'''}}}]] ||skallutur || || [[폴란드어|{{{#373a3c,#ddd '''폴란드어'''}}}]] ||łysy || || [[프리지아어|{{{#373a3c,#ddd '''프리지아어'''}}}]] ||keal(서프리지아어) || || [[핀란드어|{{{#373a3c,#ddd '''핀란드어'''}}}]] ||kalju || || [[필리핀어|{{{#373a3c,#ddd '''필리핀어'''}}}]] ||kalbo, upaw, kutipyo || || [[헝가리어|{{{#373a3c,#ddd '''헝가리어'''}}}]] ||kopasz, tar || ||<|2> [[힌디어|{{{#373a3c,#ddd '''힌디어'''}}}]] ||गंजा(gañjā) || ||گنجا(gañjā)([[우르두어]]) ||}}}}}}}}} || [[영어]]로는 [[https://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english-korean/bald|bald]]라고 한다. [[한자어]]로는 禿頭가 있다. [[중국어]]로는 光头라고 한다. 말 그대로 빛나는 머리(…). == 관련 문서 == * [[대머리야 올라가라]] * [[빡빡이]] * [[스킨헤드]] * [[탈모]] * [[헤어 스타일]] * --[[무모증]]-- [[분류:유전병]][[분류:헤어 스타일]][[분류:인물 특징]][[분류:인터넷 밈/기타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