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4년 1월 13일에 치러지는 총통 선거, rd1=제16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 )]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include(틀:대만의 주요선거)] || [[파일:attachment/taiwanelection1.jpg|width=100%]] || [[파일:attachment/taiwanelection2.jpg|width=100%]] || [[제13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 당시 [[선거]] [[유세]] 모습. [[마잉주]]와 [[차이잉원]]. [목차] == 개요 == [[대만]]의 [[대통령 선거|총통 및 부총통 선거]]로, 정식 명칭은 '대만지구 거주민에 의한 중화민국 총통·부총통 직접선거와 파면(中華民國總統及副總統在臺灣之公民直接選舉與罷免)'이다. 특이하게도 다른 나라의 선거와는 달리 파면도 언급하고 있다. [[러닝메이트]] 제도로 시행된다. 임기는 4년이며 중임 가능하다. 대만에서 가장 중요한 선거로, 대만 총통으로 누가 당선되냐에 따라 중국과의 관계가 완전히 달라지며, 이는 동아시아를 넘어 미국과도 연계된 국제적인 외교, 안보 지형이 변경될 수 있는 큰 이슈가 되기 때문에 많은 국가들에서 관심을 가지는 선거다. == 역사 == ||[[파일:roc_election.gif|width=100%]] || || 역대 선거 결과 [* 역대 부총통 선거는 포함되지 않음] || === 헌정 이전 === ==== 임시정부 시기 ==== 임시정부는 1911년 17개의 성 대표들끼리 투표 실시하여 쑨원이 임시 대총통 당선되었다. ==== 북양정부 시기 ==== 북양정부는 국회의원들을 통한 간선제를 실시하였다. 북양정부 시기는 투표권 행사를 하는 국회의원들에게 소위 거마비니 하는 명분으로 여러 수당을 지급하였기 때문에 재정력에 따라서 투표 결과를 좌우할 수 있는 여력이 컸다. 게다가 어용정당, 깡패, 군경이 총동원되어 제대로 된 민주주의 선거라고 하기는 지극히 어려운 실정이었다. [[회선 사건|1923년 대총통 선거]] 때에는 서로 정통성을 주장하는 여러 지방에서 국회의원들에게 더 많은 출석비를 지급하겠다고 서로 국회의원들을 꼬셔서 국회의원들이 돈 많이 주는 곳으로 몰려가는 실정이었다. 중화민국 임시약법에 따르면 국회의원의 3분의 2가 출석하여 그 중에 75% 이상이 지지하는 후보만이 대총통에 선출될 수 있었기 때문에 선출 자격이 까다로운 편이었다. 이 투표를 통해 위안스카이, 쉬스창, 차오쿤이 대총통으로 당선되었다. 리위안훙과 펑궈장은 전임 대총통의 사망, 궐위에 따라 부총통에서 대총통으로 계임한 케이스다. ==== 국민정부 시기 ==== [[중국국민당]]이 집권하던 중화민국의 [[과도정부]]였다. 1925년 광저우에서 국민정부를 선포하는 것으로 출범하였으며, 공식적으로는 1948년 중화민국 헌법을 시행하며 종결되었다. 중국국민당은 혁명의 완성기를 무력으로 탈환한 지역에서의 안정을 위해 군대에 의한 '[[군정]](軍政)', 과도기로서 국민당의 일당 체제인 '훈정(訓政)', 중국이 민주주의를 받아들일 충분한 준비가 되었을 때 헌법을 제정하여 의회 정치를 이루는 '헌정(憲政)'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1925년부터 1950년까지 중화민국의 주권은 광저우 국민정부(훈정 0기)→우한 국민정부(훈정 1기)→난징 국민정부(훈정 2기)로 계승되었다. 초대 국민정부 주석으로는 [[상계군벌|호남군]]의 영수이자 국민당의 군사지도자 중 가장 연륜이 많았던 [[탄옌카이]]가 당선되지만 얼마 안 가 실질적인 최고 지도자인 [[장제스]]에게 2대 주석직을 넘긴다. 그러나 [[1차 양광사변]]으로 반장제스 세력이 집결하자 모든 공직에서 내려오고 3대 주석으로 [[린썬]]이 당선된다. 양광사변으로 성립된 쑨커 내각이 28일을 버티지 못하고 붕괴하며 장제스가 다시 집권했으나 상징적 국가원수인 주석직은 계속 린썬이차지했다.[* 사실 그보다도 못한 취급을 받았다. 주요 회담에서도 린썬은 얼굴도 비추지 못하고 모든 업무를 군 위원장 장제스에게 맞겨야했다.][* 이는 군사지도자가 최고 권력을 갖는 중국 특유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일례로 현재 중국의 최고지도자 지위는 군사위원회 주석이 가지고 있다.] 린썬이 1943년 사망한 이후에서야 장제스가 공식적으로 국민정부 주석직에 다시 임명되었다. === 헌정 이후 === 1948년 4월 20일에 초대 선거가 실시되었다. 이후 [[리덩후이]] [[정권]]에서 [[민주화]]가 되기 전까지는 [[국민대회]]에서 간접선거를 하고 이를 통해 [[장제스]] - [[장징궈]] - [[리덩후이]]가 당선된다. 임기도 6년이었으며, 따라서 6년마다 선거가 이루어졌고 이것이 1996년(제9대)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1996년]] [[리덩후이]]가 [[대만 헌법]]에 증수조문을 추가하면서 직선제로 바뀌게 된다. 그 이후로는 4년마다 한번씩 직선제 총통 선거를 시행하며, [[2012년]] [[제13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부터는 [[대만 입법위원 선거]]와 동시 시행한다. [[대만]]의 모든 선거와 마찬가지로, [[기호]]는 추첨으로 결정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기호를 [[대한민국 국회|국회]] 의석 순으로 정하고 있다.] [[결선투표제]]는 따로 실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만은 양당제적 구도가 확립된 국가라 3파전으로 치러진 2000년 이외에는 모든 총통이 50% 이상의 득표로 당선되었다. == 선거권 / 피선거권 == * '''선거권자''': 20세 이상의 [[대만인|중화민국 국민]]이 선거권을 갖는다. * '''피선거권자''': 선거권을 가진 40세 이상의 대만인이 피선거권을 갖는다. 실제 출마자는 직전 국정선거(입법위원 선거, 총통선거, 지방선거 등)에서 5% 이상 득표한 정당의 추천을 받거나 두 개 이상의 정당에서 추천을 받고 그 정당들이 직전 국정선거에서 총합 5% 이상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 무소속인 경우 유권자의 1.5% 이상의 지지 서명이 필요하다. == 역대 선거 == === 임시정부 시기 === * 1911년 12월 29일 임시 대총통 선거: 17개의 성 대표들끼리 투표 실시, 1912년 1월 1일 [[쑨원]] 임시 대총통 당선. === 북양정부 시기 === * 1913년 10월 6일 1대 대총통 선거: 베이징에서 대총통 선거가 실시되었으나 75%의 지지가 확보되지 않아 2차 투표, 3차 투표까지 이어졌고 밤 10시가 되어서야 겨우 [[위안스카이]]를 [[대만 총통|대총통]]으로 선출했다. * 1913년 10월 7일 1대 부총통 선거: [[리위안훙]]이 [[대만 부총통|부총통]]에 당선되었다. * 1916년 10월 30일 계임 부총통 선거: 강소도독 [[펑궈장]]이 부총통에 당선되었다. * 1918년 9월 4일 2대 대총통 선거: [[북양군벌]]의 원로인 [[쉬스창]]이 436표 중 425표를 얻어 대총통에 선출되었다. * 1918년 9월 5일 2대 부총통 1차 선거: 88명의 국회의원만 출석하여 무산되었다. * 1918년 10월 9일 2대 부총통 2차 선거: 정족수 미달로 무산. * 1918년 10월 16일 2대 부총통 3차 선거: 정족수 미달로 무산. 이 선거까지 무산되자 북양정부는 부총통 선거를 무기한 연기한다고 선포했다. * 1923년 10월 5일 3대 대총통 선거: 이른바 [[회선 사건]]이라 불리는 뇌물 선거. 직예군벌의 수령인 [[차오쿤]]이 뇌물을 처발라서 593표 중 480표를 얻어 대총통에 당선되었다. === 국민정부 시기 === 1925년 광저우에서 국민정부를 선포하는 것으로 출범하였으며, 공식적으로는 1948년 중화민국 헌법을 시행하며 종결되었다. 1948년 헌정 실시 이전까지는 훈정에 해당되어 과도정부로서 중국국민당의 일당 체제가 이루어졌다. === 헌정 시기 === 1996년부터(제9대~)는 토요일에 실시되고 있으며, 직접 선거로 전환하였다. * [[1948년]] [[4월 19일]]~[[4월 29일]]: [[제1대 중화민국 정부총통 선거|초대 선거]]: 총통에 [[장제스]], 부총통에 [[리쭝런]]이 당선되었다. * [[1954년]] [[3월 21일]]: [[제2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2대 선거]]: 총통에 [[장제스]], 부총통에 [[천청]]이 당선되었다. * [[1960년]] [[3월 21일]]: [[제3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3대 선거]]: 총통에 [[장제스]], 부총통에 [[천청]]이 당선되었다. * [[1966년]] [[3월 21일]]: [[제4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4대 선거]]: 총통에 [[장제스]], 부총통에 [[옌자간]]이 당선되었다. * [[1972년]] [[3월 21일]]: [[제5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5대 선거]]: 총통에 [[장제스]], 부총통에 [[옌자간]]이 당선되었다. 75년 장제스는 사망하였다. 잔여임기는 옌자간이 승계했다. * [[1978년]] [[3월 21일]]: [[제6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6대 선거]]: 총통에 [[장징궈]], 부총통에 [[셰둥민]]이 당선되었다. * [[1984년]] [[3월 21일]]: [[제7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7대 선거]]: 총통에 [[장징궈]], 부총통에 [[리덩후이]]가 당선되었다. 88년 장징궈는 사망하고, 장씨가문의 통치가 종결되었다. 잔여 임기는 리덩후이가 승계하였다. * [[1990년]] [[3월 21일]]: [[제8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8대 선거]]: 총통에 [[리덩후이]], 부총통에 [[리위안추]]가 당선되었고, 이 선거를 마지막으로 간접선거가 폐지되었다. * [[1996년]] [[3월 23일]]: [[제9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9대 선거]]: 총통에 [[리덩후이]], 부총통에 [[롄잔]]이 당선되었다. 대만 최초의 총통 직접 선거. * [[2000년]] [[3월 18일]]: [[제10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0대 선거]]: 총통에 [[천수이볜]], 부총통에 [[뤼슈롄]]이 당선되었다. 대만 최초의 정권교체. * [[2004년]] [[3월 20일]]: [[제11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1대 선거]]: 총통에 [[천수이볜]], 부총통에 [[뤼슈롄]]이 당선되었다. * [[2008년]] [[3월 22일]]: [[제12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2대 선거]]: 총통에 [[마잉주]], 부총통에 [[샤오완창]]이 당선되었다. 국민당의 재집권. * [[2012년]] [[1월 14일]]: [[제13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3대 선거]]: 총통에 [[마잉주]], 부총통에 [[우둔이]]가 당선되었다. * [[2016년]] [[1월 16일]]: [[제14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4대 선거]]: 총통에 [[차이잉원]], 부총통에 [[천젠런]]이 당선되었다. 2차 민진당 집권. * [[2020년]] [[1월 11일]]: [[제15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5대 선거]]: 총통에 [[차이잉원]], 부총통에 [[라이칭더]]가 당선되었다. * [[2024년]] [[1월 13일]]: [[제16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6대 선거]] === 역대 지역별 승리 후보 === || || [[타이베이시]] || [[신베이시]] || [[타오위안시]] || [[타이중시]] || [[타이중현]] || [[타이난시]] || [[타이난현]] || [[가오슝시]] || [[가오슝현]] || [[지룽시]] || [[신주시]] || [[자이시]] || [[신주현]] || [[먀오리현]] || [[장화현]] || [[난터우현]] || [[윈린현]] || [[자이현]] || [[핑둥현]] || [[이란현]] || [[화롄현]] || [[타이둥현]] || [[펑후현]] || [[진먼현]] || [[롄장현]] || || [[제9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9대]]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린양강}}}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FFF 리덩후이}}} || || [[제10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0대]]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FFF 천수이볜}}}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FFF 천수이볜}}} || {{{#FFF 쑹추위}}}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FFF 쑹추위}}} || || [[제11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1대]] || {{{#FFF 롄잔}}} || {{{#FFF 롄잔}}} || {{{#FFF 롄잔}}} || {{{#FFF 롄잔}}}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롄잔}}} || {{{#FFF 롄잔}}} || {{{#FFF 천수이볜}}} || {{{#FFF 롄잔}}} || {{{#FFF 롄잔}}} || {{{#FFF 천수이볜}}} || {{{#FFF 롄잔}}}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천수이볜}}} || {{{#FFF 롄잔}}} || {{{#FFF 롄잔}}} || {{{#FFF 롄잔}}} || {{{#FFF 롄잔}}} || {{{#FFF 롄잔}}} || || [[제12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2대]]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셰창팅}}} || {{{#FFF 마잉주}}} || {{{#FFF 셰창팅}}}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셰창팅}}} || {{{#FFF 셰창팅}}} || {{{#FFF 셰창팅}}}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 [[제13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3대]]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3> || {{{#FFF 차이잉원}}} ||<|3> || {{{#FFF 차이잉원}}} ||<|3>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차이잉원}}}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FFF 마잉주}}} || || [[제14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4대]]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주리룬}}} || {{{#FFF 주리룬}}} || {{{#FFF 차이잉원}}} || {{{#FFF 주리룬}}} || {{{#FFF 주리룬}}} || || [[제15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15대]]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한궈위}}} || {{{#FFF 한궈위}}}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차이잉원}}} || {{{#FFF 한궈위}}} || {{{#FFF 한궈위}}} || {{{#FFF 차이잉원}}} || {{{#FFF 한궈위}}} || {{{#FFF 한궈위}}} || || || [[타이베이시]] || [[신베이시]] || [[타오위안시]] || [[타이중시]] || [[타이중현]] || [[타이난시]] || [[타이난현]] || [[가오슝시]] || [[가오슝현]] || [[지룽시]] || [[신주시]] || [[자이시]] || [[신주현]] || [[먀오리현]] || [[장화현]] || [[난터우현]] || [[윈린현]] || [[자이현]] || [[핑둥현]] || [[이란현]] || [[화롄현]] || [[타이둥현]] || [[펑후현]] || [[진먼현]] || [[롄장현]] || == 그 외 == * 현재 대만의 총통선거는 [[재외선거]]・[[사전투표]] 제도가 없다. 무조건 대만 국내 지정 투표소에서 당일 투표만 가능하다. [[부재자 투표]] 제도는 [[중화민국군]] 또는 중화민국의 재외 공관 직원에만 적용된다. [[분류:대만의 선거]][[분류:대만 정부총통 선거]][[분류:대만 총통]][[분류:대만 부총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