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온라인 게임에서의 대리 게임, rd1=대리게임)] [목차] == 개요 == 리듬 게임에서 일어나는 대리 플레이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온라인 게임에서의 대리 게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이쪽은 불법이 아니다. == 역사 == 초창기의 리듬 게임은 계정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 콘솔의 경우 게임에 따라 닉네임을 설정하고 시작할 수 있었으나 그 닉네임으로 낸 스코어를 어딘가에 게시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었다. 오락실 기기의 경우도 다른 오락실 게임들처럼 하이스코어 등록시 이름을 새길 수 있었는데, 이걸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등록하는 건 누구나 가능한 행위였기 때문에 [[사칭]]이라 불렀지 대리플이라 부르지는 않았다. 후일 패스워드나 USB 등의 원시적인 형태로 스코어를 인터넷에 등록할 수 있게 되었으나 콘솔의 경우 남이 대신해준 것인지 알 방법이 전혀 없었기에 문제되지 않았고, 오락실 기기의 경우 이전과 마찬가지로 사칭으로 간주될 뿐이었다. 이후 PC 플랫폼의 온라인 리듬 게임이 출시되며 계정 개념이 생겼지만 이 역시 대리플을 한다고 해도 남이 그걸 알 수 없기 때문에 전혀 공론화되지 못했다. 대리플이라는 단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케이드 리듬게임에서 [[BEMANI|BEMANI 시리즈]]의 [[e-amusement]] 네트워크 등의 형태로 계정 서비스를 지원하여 모든 플레이어의 기록을 집계하면서부터이다. 한국의 경우 [[유비트 시리즈]], [[DJMAX TECHNIKA]]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 기기에 로그인을 하면 ID나 닉네임이 표시되기 때문에 개방된 공간인 오락실에서는 대리로 플레이하는 현장을 목격하기 수월했다. 그런데 친구 등이 대신 기록한 스코어를 마치 자신의 성과인 양 [[주작]]을 하고 다니는 사람들이 다른 플레이어들의 눈쌀을 찌푸려지게 만들면서 본격적으로 비판을 받게 된다. 대표적으로 [[DJMAX TECHNIKA 2]]에서 모든 곡의 스코어 합계로 줄을 세우는 팝마스터 최상위권이나 [[유비트 리플즈]]의 [[Excellent Master]] 칭호 등의 성과를 대리플을 받아 이루어내는 사례가 있었다. 이외에도 [[유비트]] 온라인 대회에서 대리플 기록으로 대회 점수를 갱신한 사례도 있었는데, 이는 대회 규정 위반이기도 했다. == 문제점 및 고찰 == * 약관 위반 문제 온라인 게임 ID와는 달리 리듬 게임의 계정은 대체로 대리 플레이에 대해 허술한 형태이다. 대표적으로 [[e-amusement pass]]의 뒷면을 봐도 취급시 주의사항 등만 적혀있을 뿐, 타인에게 양도하는 것을 금지하는 문장이 없다.[* 다만, e-amusement 사이트의 약관에서는 금지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내용은 '당사가 명시적으로 인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본 서비스 내의 데이터나 캐릭터, 아이템 등의 양도, 교환, 대여, 재허락 등의 행위, 또는 그에 준한 행위 혹은 발언을 하는 행위'. 카드를 빌려주는 것은 데이터 대여에 해당하므로, 일종의 약관 위반이다.] [[KAC]] 등의 큰 규모의 대회에서는 당연히 이를 명문으로 제재하지만 이런 케이스를 제외하면 한 개의 카드로 여러 명이 플레이 해도 법적인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애초에 이런 카드들이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사는 물건도 아니기 때문에 남에게 빌려 주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줘버려도 상관 없다. * 랭킹 문제 대리플을 해준 유저도 계정을 갖고 있을 경우, 실질적으로 한 명이 기록을 두 번 남긴 셈이 되어 그 사람보다 스코어가 낮은 유저들은 본래 자신의 위치에 비해 등수가 더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술하였듯 대부분의 카드는 양도에 문제가 없으므로 본질적으로 [[부캐]]의 문제와 같다. 현재 절대다수의 아케이드 리듬게임은 부계정(부카드)을 제재하지 않으며, 제재할 수단도 없다. 아래 코나미의 FAQ도 참조하면 좋다. 따라서 타인의 등수를 떨어뜨린 것에 대해 도의적으로는 비판할 수 있으나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질문 >e-amusement pass에 복수의 플레이 정보를 저장하고 싶은 경우에는 카드를 여러 장 소지해야 합니까? > >답변 >1매의 e-amusement pass에 대응하는 모든 상품의 정보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일한 상품의 플레이 정보는 1매의 e-amusement pass에 보존할 수 없습니다. >대응 상품의 플레이 정보를 복수 소지하고 싶은 경우, '''복수의 e-amusement pass를 소유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인성]] 문제 남이 대신 올려준 성과를 자신이 했다고 [[거짓말]]한다면 그 사람의 인성에 대해 비판할 수 있다. * 원하지 않은 스코어 갱신 문제 남에게 카드를 빌려주었다가 본인의 기록이 갈리는 일을 겪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리듬게임은 더 낮은 스코어로 되돌리는 기능이 없으므로 자신이 더 높게 갱신하지 못한다면 계속 남의 기록이 남아있게 된다. 사람에 따라 이것이 불편할 수 있으나 이는 대리플의 문제점과는 거리가 멀다. 그런 일이 발생하는 걸 원치 않는다면 본인이 사전에 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랬음에도 불구하고 기록을 고의로 갈았다면 인성 문제이고, 실수로 갈았다면 사고이다. 허락하지 않았는데 남의 카드로 플레이 했다면 [[절도죄]]가 된다. * 카드 데이터 [[먹튀]] 위와 비슷하게 남에게 카드를 빌려주었다가 카드를 빌린 사람이 카드를 돌려주지 않고 그대로 먹튀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당연히 이 경우도 [[절도죄]]에 해당한다. == 순기능 == 대리 플레이를 동원해서 혼자서는 해금이 어렵거나 아예 불가능한 컨텐츠를 해금하기도 한다. 이 경우 위의 사례처럼 논란이 일어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스코어를 고의로 낮게 내거나 [[폭사(리듬 게임)|폭사]]하는 식으로 해금하는 게 보통이다. * 해금 이벤트 대상 기종을 플레이하기 어려운 경우 주로 [[BEMANI|BEMANI 시리즈]]가 [[BEMANI 시리즈/연동 이벤트|연동 이벤트]]라는 명목으로 여러 기종의 플레이를 강제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 한국에 정발되지 않은 기기가 지정된 경우 일본을 다녀오지 않는 이상 본인이 해금하는 건 불가능했다. [[APPEND FESTIVAL]]의 [[FLOWER(BEMANI 시리즈)|FLOWER]]가 첫 사례인데, 당시 한국에는 유비트 니트 어펜드가 발매되지 않았다. 이 상황에서 일부 유저들이 복수의 카드가 있으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데이터 인계를 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일본에 연락이 닿는 사람에게 자신의 계정을 인계한 후 대리플을 시켜서 FLOWER를 해금했다. 이후 [[Lincle Link]] 등으로도 이런 추세가 이어졌으나 정발되는 기종이 늘어남에 따라 이런 방식으로 해금하는 사례는 점차 줄어들었다. 최근의 사례로는 [[사운드 볼텍스]]의 [[리얼 제네레이터]], [[MÚSECA]]의 한국 한정 삭제곡 [[千本桜]]의 그라피카, [[스틸 크로니클]]을 플레이해야 하는 [[POLICY BREAK]]가 있다. 또 다른 사례로 [[코나스테]]를 플레이해야 아케이드에서 해금 가능한 곡은 코나스테를 플레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갖추지 않았거나 본인의 계정으로 베이직 코스를 결제할 수 없어서 플레이가 어려울 경우 코나스테를 플레이하는 다른 유저에게 해금을 부탁하기도 한다. 그러나 2023년 1월 1일부로 e-amusement pass를 계정에 한 번 등록하고 나면 분리할 수 없게 바뀌면서 이러한 이점을 누릴 수 없게 되었다. * 본인 실력으로 해금할 수 없는 경우 유비트 코피어스 당시 [[yellow head joe]]를 해금하기 위해선 [[WONDER WALKER]] 전보면을 [[풀콤보]]할 필요가 있었다. 사실 투덱 링클을 사용하면 더 쉽게 해금할 수 있었지만 당시 정발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 방법밖에 없었다. 하지만 스스로 이 조건을 채울 실력을 가진 사람은 많지 않았고, 친한 사람 중 고수가 있으면 풀콤보를 부탁해서 해금하는 경우가 있었다. [[사운드 볼텍스]]의 다단계 해금도 이런 경우인데,[*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부터는 전부 PCB해금으로 바뀌어 대리를 받을 필요가 없어졌다.] 특정 곡을 해금하고 클리어(일부 곡은 특정 랭크 이상으로 클리어)해야 다음 곡이 해금되게 해놓았다.[* 특정 랭크 이상 클리어 방식의 다단계 해금의 경우 III까지는 게이지도 랭크에 영향을 주었기에, 클리어는 가능하지만 랭크가 모자라 해금이 안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도저히 클리어할 수가 없는 경우 대리플을 받아 해금하기도 한다. 두 경우 모두 엄밀히는 논란이 될 수 있지만 낮은 스코어로 클리어, 풀콤보 하는 것이 가능한 점과 이처럼 [[코인 러시]]가 안통하는 해금이 흔하지 않은 점을 고려해 눈감아주고 있는 듯 하다. 보통은 실력이 아무리 낮아도 돈을 충분히 부으면 해금할 수 있게 해놓는다. == 그 외 == * 연동 이벤트에서 자신이 주력으로 하지 않는 기종을 주력으로 하는 사람에게 대리플을 받기도 한다. 한쪽만 노동하는 형태보다는 주력 기종이 반대인 두 사람이 합의한 뒤 데이터를 서로 교환해서 플레이하는 경우가 많다. * 특정 조건에서 스테이지 수가 늘어나는 게임에서, 본인 실력으로 추가 스테이지를 개방할 수 없을 때 친한 사람에게 시켜주는 경우도 있다. [[beatmania IIDX]]를 예로 들면 8레벨 클리어 실력이 안되는 유저가 3번째 스테이지에서 친구를 시켜서 엑스트라 스테이지를 열게 한 후 자신이 마지막으로 플레이한다. 이렇게 하면 자신은 평소와 똑같이 3곡을 하면서 친구에게 1곡을 공짜로 시켜준 셈이 된다. [[분류:대리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