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롱편모조식물문]] ||<-2> '''{{{+1 대롱편모조식물}}}[br]대롱鞭毛藻植物 | Ochrophyt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ph.kyongbuk.co.kr/957677_238336_4556.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Ochrophyta'' '''[br]Cavalier-Smith, 1995 || ||<-2> '''분류''' || || {{{#000 '''계통군'''}}} ||[[SAR 상군]]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아계'''}}}]] ||할바리아아계^^Halvaria^^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하계'''}}}]] ||부등편모조하계^^Heterokont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상문'''}}}]] ||자이리스타상문^^Gyrist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대롱편모조식물문^^Ochrophyta^^''' || [목차] [clearfix] == 개요 == {{{+1 대롱편모조식물 / 오크로피타}}} {{{+1 Phylum Ochrophyta}}} [[세포 내 공생설|내공생]] 홍조류를 [[색소체]]로 삼아 광합성을 하는 [[조류(수중생물)|조류(藻類)]]로, '''갈조류''' 라고도 불린다. [[다시마]]나 [[미역]] 등이 대표적인 대롱편모조식물이다. 이름에 '식물'이 붙었으나 이름과는 달리 [[식물]] 또는 [[조류(수중생물)#s-4.1|원시색소체생물]][* 넓은 의미의 [[식물]]. 좁은 의미의 식물은 "녹색식물"이다.] 계통이 아니며, [[학질원충]][* 말라리아(학질)를 일으킨다.]이나 [[짚신벌레]] 등과 함께 [[SAR 상군]]에 속한 [[다세포 생물]]이다. == 상세 == 대롱편모조식물은 육상식물(유배식물)에 필적하는 다양성과 생태적 의의를 가진 그룹이며, 다시마와 미역 등 대형 해조에서 돌말과 같은 미세 조류, 일부에는 엽록체를 잃은 원생 동물 적인 생물도 포함된다. === 세포 구조 === 대롱편모조 세포 구조는 각 강마다 어느정도 차이가 나타나긴 하나, 부등편모조류로써 기본적으로 복실복실한 앞편모와 매끈한 뒷편모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 클로로필 a / c 를 가지는 누런색 엽록체와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 색소체 ==== 이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으로 바로 엽록체를 통해 [[광합성]]을 한다는 것으로, 보통 세포당 엽록체를 2개씩 가지고 있다. 대롱편모조 엽록체는 홍조류가 세포 내 공생을 하는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광합성 색소로 [[클로로필]] a / c를 이용하고, 주요 보조 색소로는 [[푸코크산틴]], [[카로티노이드]] 등을 가지고 있다. 엽록체는 사중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최외막은 [[핵막]]과 융합된 형태이다. 그리고 핵양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상술된 내용을 보면 대롱편모조 엽록체는 착편모조류{{{-3 Haptophyceae}}} 엽록체와 닮아 있지만, 대롱편모조 엽록체는 거들 라멜라를 갖는 점이 다르다. 거들 라멜라는 엽록체막 바로 아래에 있는 주머니 모양의 라멜라로, 이 안에 삼중 [[틸라코이드]]가 들어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대롱편모조 엽록체 속 DNA는 거들 라멜라의 내측을 따라 고리 모양으로 분포되어 있다. ==== 기타 ==== 대롱편모조들은 양분을 β-1,3 글루칸(라미나란)이나 [[만니톨]] 형태로 만들어 세포내 소포에다 저장한다. == 계통별 특징 == === Chrysista[anchor(갈조류)] === * {{{+1 갈조강}}} Phaeophyceae 녹갈색 또는 담갈색을 띤 해조류(海藻類). 한류가 흐르는 곳의 깊은 곳에 난다. [[광합성]]을 하여 동화(同化) 산물을 생성하며 대부분 세대 교번으로 증식한다. [[미역]], [[다시마]] 따위가 있고 식용하며 [[아이오딘|요오드]]의 원료로 쓴다. * {{{+1 진안점조강}}} Eustigmatophyceae 종다양성은 십수종 정도이며 주로 [[담수]]에서 서식한다. 다른 대롱편모조와는 달리, 유일하게 클로로필 c 가 없다. 이름이 유래된 [[눈|안점(눈)]]은 엽록체 내가 아니라 세포 전방 편모 기부 부근에 존재하며, 광학현미경 관찰에서도 매우 두드러진다. * {{{+1 황록조강}}} Xanthophyceae (Yellow green algae) * {{{+1 황조강}}} Chrysophyceae === 돌말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규조강)] == 항목이 있는 생물 == * 갈조류 * [[곰피]] * [[괭생이모자반]] * [[모자반|참모자반]] * [[다시마]] * [[뜸부기(해조류)]] * [[미역]] * [[톳]] * [[규조강|돌말]] == 출처 == * [[https://ja.m.wikipedia.org/wiki/%E4%B8%8D%E7%AD%89%E6%AF%9B%E8%97%BB|일본어 위키백과 - 부등모조]] * [[https://www.gijang.go.kr/seaweed/index.gijang?menuCd=DOM_000000903000000000]] * [[https://www.google.com/amp/s/wordrow.kr/%25EC%259D%2598%25EB%25AF%25B8/%25EA%25B0%2588%25EC%25A1%25B0%25EB%25A5%2598/amp/?deb=0mobile1gsa&uuld=37.635197,126.8331&expflags=GenieDiscoverability__enable_discoverability: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