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1 '''대동 요금소'''}}}[br]{{{-2 '''大東 料金所'''}}}[br]{{{-2 '''Daedong Tollgate'''}}}}}}}}} || || [[삼락IC|{{{#!html
부산 방면}}}]][[대동IC]][br]← 0.1 km || [[중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5.svg|height=23]]{{{#!html
중앙선}}}]] {{{#ffffff '''{{{+1 TG}}}'''}}} || [[춘천IC|{{{#!html
춘천 방면}}}]][[대감JC]][br] 1.8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대동톨게이트,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김해)|대동면]] [[대동로(김해)|대동로]] 756-118 (괴정리) || ||<-3> {{{#fff '''관리기관'''}}} || || [[중앙고속도로|{{{#fff 중앙선}}}]] ||<-2>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양산지사 || ||<-3> {{{#fff '''개통'''}}} || ||<-3> [[1996년]] [[6월 28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김해)|대동면]] 괴정리에 있는 [[중앙고속도로]] 본선 상에 있는 [[요금소#s-3.2|폐쇄식]] [[요금소]]. 명칭은 소재지인 [[대동면(김해)|대동면]]에서 유래했다. 나들목이 요금소 북쪽과 남쪽으로 위치해 있다. 서부산, 북부산 주민들이 [[경부고속도로]] 연선지역을 가기 위해 꼭 지나가야하는 장소. 부산의 5개 요금소인 부산,북부산,서부산,해운대(송정),대동 중 가장 통행량이 높은 요금소이다.[* 양산이북에서 동래,동부산을 제외하면 경부선보다 본도로를 이용하는게 빠르기 때문.] 밀양,양산의 단거리 수요와 서부산권 주민들이 경부선권으로 나가기 위한 주 통로이며, 부산외곽순환선 개통이후, 해안순환도로가 돈은 돈대로 더 나가는데 완벽개통이 되지않아 이동시간은 안줄어들고 결국 광안대교에서 막히는건 같아 동서고가도로의 우회도로 역할을 톡톡히 하고있기때문에 통행량이 더더욱 높아졌다. [[초정IC|초정 나들목]]부터 이 곳까지의 구간은 갓길 가변차로제가 시행 중인데, 사실상 상습정체구간이라 가변차로는 긴급 차량 통행이 필요할 때가 아닌 이상 항상 통과가 가능하다.--그니까 결국은 삼락~대동 구간을 왕복 8차로로 확장해라는 거다.-- 특히 부산신항을 출/도착으로 하는 대부분의 화물차가 초정IC를 지나 대동TG를 이용하는 문제로, 중앙고속도로지선을 김해JC에서 부산신항까지 연장하는 속칭 김해고속도로, 김해~부산(신항)고속도로가 예비타당성 면제대상으로 선정되었으나 아직 착공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 구조 == === [[춘천IC|춘천]] 방향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 1,2,7 차로 * 일반 진출차로 : 3,4,6 차로 === [[삼락IC|부산]] 방향 === * '''[[하이패스]] 전용 진입차로''' : 1,2,10차로 * 일반 진입차로 : 3,4,5,6,7,8,9,11,12 차로 == 역사 == * [[1996년]] [[6월 28일]] [[남양산IC|남양산 나들목]] - [[대저JC|대저 분기점]] 구간 개통과 함께 요금소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50100209137003&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5-01&officeId=00020&pageNo=37&printNo=23183&publishType=00010|양산~西부산 고속道 부분 개통]], 1996-05-01, 동아일보 서울에서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를 통해 오면 서울TG, 김해부산TG, 대동TG 세개를 거쳐야 했다.] == 일평균 통행량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37,918대 || 39,777대 || 40,578대 || (출처 : 한국도로공사) ==# 둘러보기 #== [include(틀:중앙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요금소]][[분류:중앙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