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영국의 음성학자, rd1=대니얼 존스(언어학자))] [include(틀:뉴욕 자이언츠/선수단)]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nielJones.jpg|width=100%]]}}} || ||<-2> '''뉴욕 자이언츠 No.8''' || ||<-2> '''{{{+2 대니얼 존스}}}[br]Daniel Jones''' || || '''본명''' ||대니얼 스테픈 존스 3세[br]Daniel Stephen Jones III || ||<|2> '''출생''' ||[[1997년]] [[5월 27일]] ([age(1997-05-27)]세)|| ||[[노스캐롤라이나|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롯||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샬롯 라틴 스쿨 - [[듀크 대학교]]|| || '''신체''' ||196cm | 100kg|| || '''포지션''' ||[[쿼터백]]|| || '''프로 입단''' ||2019년 [[NFL 드래프트|드래프트]] 1라운드 6순위 [br] [[뉴욕 자이언츠]] 지명|| || '''소속 팀''' ||[[뉴욕 자이언츠]] (2019~)|| || '''계약''' ||2023 ~ 2026 / $160,000,000 [* 2023 - $9.5M, 2024 - $35.5M, 2025 - $30M, 2026 - $46.5M, $36M signing bonus]|| || '''연봉''' ||2023 / $9,500,000|| [목차] [clearfix] == 개요 == [[뉴욕 자이언츠]]의 쿼터백. 2018년부터 급격한 노쇠화를 보이는 [[일라이 매닝]]의 대체자가 되었다. 보여지는 성적 자체는 그다지 인상적이지 못하지만, [[뉴욕 자이언츠|팀]]이 워낙에 약해서 어쩔 수 없이 주전으로 나오고 있는 쿼터백이다. 딱 브릿지 QB 정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고 한 번 잘못 넘어져서 평생 혼자 나자빠진 선수로 기억되게 생겼다-- == [[대학 풋볼]] 무대 == [[듀크 대학교]]에서 쿼터백으로 뛰었다. 듀크대는 원래 농구 명문대학이지[* 많은 [[NBA]] 선수들을 배출했고 가까운 곳에 위치한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와의 농구 라이벌전은 매우 뜨겁다.] 미식축구는 전국적인 인지도가 낮은 수준이라 대니얼 존스의 실력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실제로도 자이언츠는 듀크 대학교 미식축구와 안 좋은 기억이 있다. 1992년 Supplementary Draft에서 동교 쿼터백 데이브 브라운{Dave Brown}을 픽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후에는 자이언츠 팬들에겐 흑역사로 취급되어 언급마저 꺼리는 형편이다. 자이언츠에서 5시즌, [[애리조나 카디널스]]에서 3시즌, 통합 8시즌 동안 44개의 터치다운에 58개의 인터셉션, 10,248 총 패싱 야드를 기록했으며 쿼터백 총 평점은 67.9점으로 마감했다.]. 대니얼 존스보다는 미식축구 명문인 [[오하이오 스테이트 버카이즈/미식축구|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출신인 [[드웨인 해스킨스]]가 더 많은 주목을 받았다. 결국 그가 드래프드되었을 때 자이언츠 팬들은 야유를 퍼부었다. 그나마 해스킨스가 완전히 폭망해 2년도 못 채우고 방출당한 것이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도. 여담으로 1라운드 출신의 현역 쿼터백 중 대학 통산 승률이 5할이 안되는 세명 중의 한명이다. 나머지 둘은 [[패트릭 마홈스]]와 [[제러드 고프]]다. == [[NFL]] 시절 == === [[뉴욕 자이언츠]] === ==== 2019시즌 ==== 2019년 드래프트에서 [[뉴욕 자이언츠]]로 드래프트됐다. 당초 자이언츠는 해스킨스를 지명할 거라는 예측이 우세했으나 일라이와 스타일이 비슷하고 해스킨스보다 실링은 더 높다고 평가되던 대니얼 존스를 뽑았다. 다만 이에 대해 자이언츠 팬들은 야유를 쏟아내었다. 그래도 2019년 프리시즌 경기에 나와서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며 야유의 목소리는 한결 잦아들었다.[* 물론 존스를 주전으로 기용하기 시작한 뒤로 존스의 성적도 영 별로이다. 하지만 해스킨스는 그보다 더 못하고 워크에씩면에서도 최악으로 평가받아 [[테일러 하이니키|논드래프티]]한테 밀려 3옵션이 되었다가 2년도 못 채우고 방출되었다. 아예 해스킨스는 그 조니 맨지엘보다도 더한 것은 물론이고, 조쉬 로젠에 비견되는 버스트로 꼽히는 중이다.] 하지만 프리시즌은 프리시즌인 만큼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일단 2019년 정규시즌에서는 일라이 매닝이 주전으로 나오고 있다. 자이언츠의 입장은 일라이 밑에서 1,2년간 배우게 하고 그 후에 주전으로 뛰게 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2019년 위크2가 끝난 9월 17일, 자이언츠는 존스를 주전으로 쓰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일라이의 기량이 생각보다 상당히 떨어져 있었는데다 주변의 선수들도 에반 잉그램과 스털링 셰퍼드, 그리고 세이퀀 바클리외엔 별로 많지 않은데다 일라이가 특정 선수만 주구장창 이용하는 성향이 짙어서 수비진들이 수비하기 쉬운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첫 선발출장한 3주차 [[탬파베이 버커니어스]]와의 경기에서 팀의 에이스 [[세이콴 바클리]]가 경기 중간 부상으로 이탈했음에도 불구하고 패싱 336야드에 패싱과 러싱 TD를 2개씩 기록하며 맹활약하여 팀의 19시즌 첫승과 본인의 선발 데뷔전 승리를 기록한다. 4주차 [[워싱턴 레드스킨스]]와의 경기에서는 비록 인터셉션을 2개 던졌으나 준수한 활약을 보이며 팀의 2연승에 기여하였다. 결국 2019시즌은 13경기(선발 12경기) 출전하여 3,027 패싱야드와 터치다운 24개, 인터셉션 12개, 쿼터백 점수 87.7점을 기록했다. 루키 쿼터백으로서는 그럭저럭 괜찮은 스탯이라 하겠으나, 시즌을 전 경기 출전하지도 않았는데 펌블 횟수가 무려 '''18번'''으로 모든 선수 중 가장 많았고, 그 18번 중 무려 '''11번'''은 그대로 공격권을 상대팀으로 넘기는 꼴이 되어버렸다. 현지 언론은 정말 대책없는 '''기름손'''이라고 혹평하는 중. 쿼터백은 볼의 안전한 관리가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나이기에 이 단점을 빨리 고치지 못하면 존스의 커리어 미래는 암울하다고 할 수밖에... ==== 2020시즌 ==== 2020시즌도 절찬리에 펌블 중이다. 그러던 중 7주차 [[필라델피아 이글스]]전에서 대형사고(?)를 치는데, 패스하는 척 하다가 무주공산이 된 이글스 진영으로 뛰어들어가면서 터치다운이 거의 확정적이었는데, 10야드 정도 남긴 지점에서 ~~투명물약 먹은 상대 수비의 태클을 맞고~~ [[https://youtu.be/jame8wo87oc|걍 지혼자 자빠링 하면서 터치다운 실패]][* 그것도 외력에 의해 갑자기 쓰러진 것도 아니고 몇 걸음에 걸쳐 중심을 잃었다. 그니까 지 혼자 자빠진게 맞다...]라는 과거 [[마크 산체스]]가 10여년간 짱 먹고 있던 가장 멍청한 플레이를 위협하는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심지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flgall&no=100697&_rk=eYK&exception_mode=recommend&page=1|팀 동료들도 빵 터졌고]] 경기 직후에 바로 [[밈]]으로 등극....[* 한 예로 같은 주에 열렸던 [[2020 월드 시리즈]] 4차전 경기에서 넘어진 [[랜디 아로자레나]]와 엮여 '이번 주 최고의 꽈당은? 아로사레나 vs 존스']결국 경기는 21:22 단 한점차로 패배했다. 참고로 저날 자이언츠 [[러닝백]]과 [[타이트 엔드]]가 기록한 러싱/리시빙 야드 수가 존스 러싱 야드보다 적다. 물론 [[세이콴 바클리]]가 없지만 그래도 처참한 수준이다. 그러나 그 이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덩치와는 다르게 스피드가 매우 좋은데 올 시즌 쿼터백 스피드 랭킹 1위다! ==== 2021시즌 ==== 2021시즌도 절찬리에 펌블 중이며 매우 잘 달린다! 다만 팀 자체가 지난 시즌보다 답이 없어졌고[* 2021-22시즌 자이언츠는 '''파워랭킹 32개 구단 중 꼴찌'''를 기록했다! 참고로 당해 자이언츠(4승)보다 적은 승수를 거둔 디트로이트(3.5승)는 27위, 잭슨빌(3승)은 31위.] 가끔씩 번뜩이는 순간이 보이기 때문에 자이언츠팬들에게 희망고문을 선사하는 중. 접전 상황에서 당황해서 플레이가 이상하게 튀는 단점은 여전하다. [[매튜 스태포드]]가 팀을 떠나서 날개를 펼치기 시작하자 QB의 버스트, 부진에는 팀 탓도 크다라는 의견이 리그팬들 사이에서 나오기 시작하기 때문에 평가가 이리저리 엇갈리고 있다.[* 다만 샘 다놀드는 첫 3연승 이후 2승 12패로 폭발해버리며 그냥 제츠가 아니라 본인 실력이 문제라는 쪽으로 완전히 기울었다.] 실제로도 쿼터백 랭킹에서도 아슬아슬하게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 2022시즌 ==== 그러나 결국 팀도 존스의 발전에 한계를 느꼈는지 저니맨 브릿지 쿼터백 타이로드 테일러를 FA로 영입, 1라운드 드래프티에게 적용할 수 있는 5년차 옵션을 거절했다. 기적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않는 이상 루키 계약이 끝나면 팀을 떠날 것으로 보이며, 당장 초반 라운드에서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 시즌중 주전 교체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시즌 시작 후, 신임 [[브라이언 데이볼]] 감독의 지도아래 환골탈태에 성공했다. 팀 전체적으로 단단한 모습을 보였고, 무엇보다 세이콴 바클리가 부상없이 한 시즌을 치러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뉴욕 자이언츠는 한 때 6승1패를 달릴 정도로 순항했고, NFC EAST 최하위를 차지할 것이란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달리, 결국 2016년 이후 6년만에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하였다. 존스 역시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짓는 콜츠와의 경기에서 2개의 러싱 터치다운을 기록하는 등, 그동안 보여줬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팬들의 여론도 다니엘 존스에게 3-4년 계약을 주어 좀 더 지켜보자는 의견이 많이 나오는 중이다. 다만 본인 측 피셜인지는 모르겠지만 '''연 평균 35M~45M'''이라는 얘기가 돌면서 너무 퍼주는 거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 2023시즌 ==== 그러던 중 2023년 오프시즌에 '''4년 $160M''' 이라는 예상보다 매우 높은 금액의 계약을 성사시키며 쿼터백 계약 전쟁의 서막을 알렸다. 계약은 2년 $82M 개런티이고, 옵트아웃 팀 옵션이 걸려있다. 초반에는 [[프랜차이즈 태그]]를 걸지 않을까 하는 의견이 있었지만, [[세이콴 바클리]]에게 태그를 부여하고 존스에게 연장 계약을 선사했다. 실제로 계약 당시만 해도 너무 퍼줬다는 의견이 대다수였지만, 그 이후 [[제일런 허츠]], [[저스틴 허버트]], [[라마 잭슨]] 등 연 평균 50M 이상의 쿼터백들이 연이어 등장하여 쿼터백 평균 연봉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바람에 여론이 점점 "나름 괜찮네?"(...)로 수렴 중이다. 실제로 2024년까지 계약이 끝나면 데드 캡이 급격하게 낮아지기 때문에 2024년까지 부진할 경우 자이언츠가 쿼터백을 갈아엎을 여지를 놔둔 것이다. 하지만... 시즌이 시작한 후 굉장히 부진하고 있다. 몇 년 전의 DJ가 생각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부진하던 도중, [[마이애미 돌핀스]]와의 Week 5 경기에서 부상으로 이탈했다. 그리고 그동안 백업 [[타이로드 테일러]]가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 주전 자리를 위협받는 중. 다만 Week 8 경기에서 [[타이로드 테일러]]가 갈비뼈 부상을 당해 IR에 올라 주전 경쟁이 더 수월해졌다. 하지만 부상 복귀전인 Week 9 [[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전에서 그럭저럭 괜찮은 경기력을 보여주다가 2쿼터 도중 태클을 피하자가 무릎을 부여잡고 경기장 밖으로 나갔다. 그리고 검진 결과 '''ACL 파열'''로 시즌 아웃이 확정되었다. == 여담 == [[일라이 매닝]]의 커리어 말년에 함께 뛰었는데 일라이 특유의 어벙한 표정이 다니엘에게서도 자주 보여서 매닝가의 숨겨진 아들이 아닌가?라는 말도 들었다. 다만 일라이와는 달리 러싱은 쿼터백 중에서도 상위권에 들어간다. 상술했듯 2020시즌의 러싱 스피드 1위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꽈당만 안했어도-- 2020시즌 필리전의 꽈당이 하도 인상깊어서 이후 존스가 잘 달리면 '오늘은 안 넘어지네 ㅋ'라는 말이 나온다. 미식축구 갤러리에서는 일라이에 이은 '''갤주니어''', '''미니갤주'''로 사랑받고 있다. 시골청년같은 순박한 외모와 그렇게까지 잘하지는 않지만 가끔 나오는 뛰어난 플레이가 매력. == 연도별 기록 == ||<|2><:> '''{{{#ffffff 시즌}}}'''||<|2><:>'''{{{#ffffff 소속팀}}}'''||<|2><:>'''{{{#ffffff 출장[BR]경기}}}'''||<-10><:>'''{{{#ffffff 패싱}}}'''||<-4><:>'''{{{#ffffff 러싱}}}'''|| ||<:> '''{{{#ffffff 시도}}}'''||<:>'''{{{#ffffff 성공}}}'''||<:>'''{{{#ffffff 성공률}}}'''||<:> '''{{{#ffffff 야드}}}'''||<:> '''{{{#ffffff 평균[BR]야드}}}'''||<:> '''{{{#ffffff 터치[BR]다운}}}'''||<:> '''{{{#ffffff 인터[BR]셉트}}}'''||<:> '''{{{#ffffff 색}}}'''||<:> '''{{{#ffffff 색야드}}}'''||<:> '''{{{#ffffff 레이트}}}'''||<:> '''{{{#ffffff 시도}}}'''||<:>'''{{{#ffffff 야드}}}'''||<:> '''{{{#ffffff 평균[BR]야드}}}'''||<:> '''{{{#ffffff 터치[BR]다운}}}'''|| || 2019 ||<|5> [[뉴욕 자이언츠|NYG]] || 13 || 459 || 284 || 61.9 || 3027 || 6.6 || 24 || 12 || 38 || 295 || 87.7 || 45 || 279 || 6.2 || 2 || || 2020 || 14 || 448 || 280 || 62.5 || 2943 || 6.6 || 11 || 10 || 45 || 286 || 80.4 || 65 || 423 || 6.5 || 1 || || 2021 || 11 || 361 || 232 || 64.3 || 2428 || 6.7 || 10 || 7 || 22 || 160 || 84.8 || 62 || 298 || 4.8 || 2 || || 2022 || 16 || 472 || 317 || 67.2 || 3205 || 6.8 || 15 || 5 || 44 || 243 || 92.5 || 120 || 708 || 5.9 || 7 || || 2023 || 6 || 160 || 108 || 67.5 || 909 || 5.7 || 2 || 6 || 30 || 167 || 70.5 || 40 || 206 || 5.2 || 1 || |||| [[NFL]] 통산 [br] (5시즌) || 60 || 1900 || 1221 || 64.3 || 12512 || 6.6 || 62 || 40 || 179 || 1151 || 85.2 || 332 || 1914 || 5.8 || 13 || [각주] [[분류:1997년 출생]][[분류:샬럿 출신 인물]][[분류:듀크 대학교 출신]][[분류:미식축구 선수]][[분류:2019년 데뷔]][[분류:뉴욕 자이언츠/현역]]